뚱보 아빠, 건강해지기로 약속하다
저자인 브라이언 킹은 오랜 기간 유머의 유익함과 스트레스 해소법을 대중강연을 통해 가르쳐온 심리학 박사이다. 그리고 그 자신 역시 몸무게가 180킬로그램까지 나갔던 고도비만이지만 성격만은 낙천적이어서 거대한 몸 때문에 생기는 불편쯤은 먹고 싶은 음식을 마음껏 먹는 대가로 여기며 살아왔다. 그런 그에게 평생 함께할 여자가 생기고, 50 가까운 나이에 딸까지 태어났다. 책임감이 느껴지고, 결국 등 떠밀려 건강검진을 받았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에 신체 각 부위의 통증까지. 이대로 살다가는 사랑스러운 딸의 결혼식은커녕 십대의 딸을 온전한 신체로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걱정이 든다. 몸의 위기가 삶의 위기가 되고, 이제부터 다이어트는 단순히 체중 감량을 넘어서 인생의 절박한 숙제가 된다.
배고프지 않아도 먹는 이유
킹 박사는 자신의 식탐과 뚱뚱한 몸, 건강 문제에 얽힌 에피소드를 마치 스탠드업 코미디처럼 화려한 입담으로 늘어놓는다. 나아가 날씬한 사람들은 결코 고민하지 않을 인생의 다양한 문제들을 소개하며, 자신의 심리학 지식을 바탕으로 왜 사람들이 먹는 일에 그토록 열심인지, 어떻게 해야 식탐과 비만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를 소개한다.
“우리의 체중이 늘어나는 큰 이유는 배고프지 않을 때 먹는 법을 배웠기 때문이다. 허기와 전혀 관계없는데도 먹어야 할 이유는 차고 넘친다. 나는 180킬로그램의 거구가 되기까지 많이도 먹었다. 하지만 장담컨대 실제로 배가 고파서 먹은 경우는 많지 않았다. 물론 배가 고플 때도 먹지만 지루해서 먹을 때도 있다. 사람들과 어울리려고 먹기도 한다. 음식이나 돈을 낭비하지 않으려고 먹을 때도 있다(음식 남기면 못 쓴다!). … 누군가 밥을 산다고 하면 대개는 얼마나 배가 고픈지와 관계없이 따라가서 먹는다.” (115쪽)
살 빼는 사람이 당신만 있는 것은 아니다
킹 박사의 조언에 따르면, 주변에 자신의 다이어트를 지지하고 협조하는 사람들이 있을 때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 그래서 그가 만난 어떤 이는 아침마다 두 친구와 전화하여 오늘 하루 자신의 다이어트 계획과 결심을 공유한다. 또한 저자는 상당한 체중 감량에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성공적인 다이어트에는 여러 방법과 마인드가 있음을 알려준다.
“30세가 되기 전까지는 무엇을 먹든, 언제 먹든, 얼마만큼 먹든 상관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저 먹고 마시며 재밌게 살았죠. 술집에도 가고 파티도 벌이고 술도 마셨습니다. 그래도 아무 문제가 없었거든요. 하지만 30대 중반이 되자 결국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더군요. 갑작스럽지는 않았지만 알아차릴 만한 변화였습니다. 늦어도 40세부터는 더 주의를 기울이며 살기 시작해야 하고, 전에 살던 방식을 유지할지 말지 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계속 살아도 되나, 이렇게 계속 살고 싶은가, 계속 이렇게 살아도 될 만큼 여력이 있는가? 이런 삶을 지속하는 것이 내 몸에 유익한가?”(199쪽)
그들은 식단의 중요성을 얘기하고, 킥복싱이나 걷기 등의 운동 효과를 소개한다. 금주와 간헐적 단식도 있으며, 심지어 치통 덕분에 살이 빠지기도 하고, 클리닉을 통해 약 처방과 위 절제 수술로 살을 빼기도 한다. 이들 모두 비만이 어떻게 자신의 인생에 해가 되었는지, 그리고 비만에서 벗어난 삶이 어떤 의미에서 유익이 되었는지 고백한다.
체중 문제는 결국 건강 문제이자 인생 문제였다
45kg의 체중 감량을 하기 전 킹 박사는 오랫동안 일상적으로 온갖 종류의 음식과 술을 탐닉한 결과가 몸에 나타나는 중이었다고 한다.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지만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 결국은 음식 문제였던 것이다. 너무 많이 먹은 음식은 체중을 늘게 하고, 늘어난 체중은 건강에 적신호를 보내고 나아가 인생을 위기로 빠뜨린다.
현대인에게 다이어트는 영원히 끝내지 못할 숙제처럼 느껴진다. 매일 분투하지만 언제까지 해야 할지 모르겠다. 맛있는 음식을 앞에 두고 먹어도 안 먹어도 죄책감이 느껴진다. 그러다 ‘이게 뭐라고, 생긴 대로 살자’ 하고 긴장을 늦추면 살이 찌고 어림없이 건강 문제가 찾아온다. 자신감도 자존감도 떨어진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체중 감량의 기술이 아닌 유익한 마인드를 얻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