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의 세계관을 담은 그릇
톨스토이가 ≪전쟁과 평화≫·≪안나 카레니나≫ 등의 훌륭한 예술 작품들과, ≪참회록≫·≪나의 종교는 어디에 있는가?≫ 등의 종교와 사상에 관한 저술들을 발표해 그의 명성이 날로 높아졌다. 그러나 그는 다양한 부류의 방문객들을 반갑게 맞이해 다양한 주제로 토론을 벌이면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견해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그들과 자신 사이에 인생의 근본 원리에 대한 이해 차이가 있거나 심지어 그들과는 의견이 상반된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의 종교와 연관된 “주요한 철학 전문서”인 ≪인생론≫을 집필했다.
그는 최고선의 완성, 즉 도덕적 진실의 수행에서 인생의 의미를 인식하는 사람에게는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확신, 즉 정신적 탄생이 인간을 죽음으로부터 해방시킨다는 확신에 도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삶과 죽음에 대한 긴장된 생각 속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인생의 정의, 그리고 삶의 최고 목표
톨스토이는 이 책에서 인생을 선(善)에 대한 욕구로 보고 있으며, 인생의 의의를 선에 대한 추구로 보고 있다. 즉 인간이 각자 가지고 있는 ‘이성’, 즉 ‘신의 활동인 사랑’을 통해 선을 목표로 살아가는 노력을 ‘인생’이라고 정의한다.
그래서 그는 삶의 의미를 잘못 알고 있는 그릇된 과학, 사이비 종교 등을 신랄히 비난하고 있다. 또한 개인적인 행복과 진정한 행복의 차이를 논하고, 동물적인 삶과 이성적인 삶의 차이를 비교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인간이 이성에 의해 살아야만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그는 개인적인 삶은 동물적인 삶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삶을 이성적인 삶에 종속시킴으로써 진실한 인생을 살 수 있다고 주장한다.
톨스토이는 미래가 아닌 지금 당장 현실에서 사랑을 실천할 것을 요구한다. 그래서 톨스토이는 자기 혼자만의 이익을 위해 살아가는 이기적인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전 인류의 행복을 위해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톨스토이는 ‘(인간의 이성적 활동인) 사랑으로 남에게 선을 베풀면서 사는 것이 인생의 최고의 목적이며, 이렇게 삶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