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비드 시기 재발견되어 전 세계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자연문학의 고전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작가 낸 셰퍼드 문학의 정수
“나에게는 이 책이 산의 색, 빛, 소리 같은 생명에 관한 그야말로 눈부신 이야기로도 읽히고, 동시에 오감을 가진 우리 ‘몸’으로 어떻게 살아갈까에 대한 이야기로도 읽힌다.”
_정혜윤 (PD, 작가)
낸 셰퍼드는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시인 겸 작가로, 2016년 스코틀랜드 왕립은행에서는 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며 5파운드 지폐에 그의 초상화를 싣기도 했다. 『살아 있는 산』은 산 애호가이기도 한 낸 셰퍼드가 자신이 나고 자란 하일랜드의 케언곰 산맥에 바치는 헌사와도 같은 자연 에세이로, 스스로 이 작품을 케언곰과의 ‘사랑의 교류’에 대한 기록이라고 밝혔다. 바위와 흙, 물과 공기, 태양과 빛, 그리고 그곳에 사는 생명체 등 산을 이루는 ‘살아 있는 존재’에 관한 생동감 넘치는 통찰과 깊은 사유가 돋보이는 이 작품은,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존 뮤어의 전통을 잇는 자연철학과 시적 문장이 만난 독창적인 에세이로 재조명 받으며 영미권 국가에서 2011년과 2019년, 연달아 재출간되었다.
온몸의 감각으로 그려내는 자연의 실체
살아 있는 산을 통해 깨닫는 존재의 이유
『살아 있는 산』은 강의 발원지이기도 한 고원으로 시작해 바위가 흩어진 평원, 고요히 빛나는 호수, 거무스름하게 튀어나온 절벽, 호수 위의 깎아지른 벼랑과 호수 너머 바리케이드처럼 우뚝 솟은 케언곰 산 등 케언곰 산맥을 이루는 요소 하나하나를 속속들이 들여다본다. 낸 셰퍼드는 1년 내내 산을 찾는 산 애호가답게 꽃과 잎이 만발하는 봄과 여름을 거쳐 서리와 눈이 감탄할 형상을 만들어내는 겨울에 이르기까지 기후가 빚어내는 다채로운 풍광을 놀랍도록 생생하게 포착하고 있다.
“보름달이 은은한 초록빛을 발하며 떠올랐다. 눈 쌓인 땅과 하늘 위로 장밋빛 어린 보랏빛이 번져나갔다. 실제로 살아 있고 실체와 생명력을 지닌 것 같은 색,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 안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색이었다”(p.55)와 같이 시각에서 비롯된 구체적인 묘사와 더불어, “사방에서 움직이는 물소리는 꽃에 꽃가루가 필요하듯 산에 꼭 필요한 존재다.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이 숨 쉬듯 귓가에 전해지는 물소리를 듣는다. 그러나 주의 깊은 사람의 귓가에서 그 소리는 온갖 다양한 음들로 분해된다. 호수가 느리게 철썩대는 소리, 시냇물의 높고 맑은 지저귐, 급류의 포효. 귀는 한 줄기의 작은 하천에서 수십 가지의 다른 음을 구분할 수 있다”(p.51)와 같은 청각을 이용한 묘사, “소나무는 히스처럼 햇볕을 받으면 향기를 뿜어내지만 숲지기에게 벌목될 때도 강렬한 냄새를 풍긴다. 산자락에서 자라는 식물 중에는 가문비나무가 톱으로 베일 때 유난히 짙은 향을 내뿜는다. 뜨거운 햇볕 아래 발효 음식처럼 훅 끼쳐오는 냄새다. 딸기 잼을 끓이는 냄새와도 비슷하지만, 코와 목의 점막을 당기듯이 톡 쏘는 맛이 있다”(p.86)처럼 남다른 후각적 묘사는 낸 셰퍼드가 어떻게 몸뿐만 아니라 온 마음을 다하여 자연을 감각하고 있는지 실감하게 한다.
낸 셰퍼드가 그려내는 산의 세계는 모든 것이 살아 있다. 산에서 실제로 살아가고 있는 생명체인 식물이나 동물, 곤충, 산사람들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창조하는 힘이기도 한 풍화되어가는 바위, 대지를 살찌우는 비, 산을 휘감는 안개, 활기를 불어넣는 태양 같은 요소들까지 모두 살아 있는 세계에 포함된다. 이렇게 ‘살아 있는 산’을 걷고 호흡하고 감각하다 보면, 어느새 나의 존재도 산의 일부임을 체감하게 된다. “몸은 무시할 수 없는 최우선의 존재이며, 육체는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채워지는 것이다. 인간은 육체 없는 존재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육체다”(p.168)라며 그가 흡사 물아일체와도 같은 감각으로, 자신의 존재 또한 산이 지닌 생명력의 발현이라는 깨달음을 고백하는 장면은, 결국 그 존재론적 자각이 산이 내려주는 가장 최후의 은총임을 알게 한다. 산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할수록 나 자신의 삶도 이해할 수 있다는 진실, 바로 이것이 케언곰 산맥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전 세계 독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한 이유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