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악보에 나타난 문학 장르는 ①악장(樂章), ②사(詞), ③단가(短歌), ④가사(歌詞), ⑤창작 가사(創作歌詞), ⑥민요(民謠), ⑦무가 등을 포함하고 있어, 조선 초기의 가요 분포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으나, 가사는 모두 초장(初章)밖에 없다.
197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책. 목판본. 지질은 고백지(古白紙)이고, 판심(板心)에 흑구(黑口)는 없으나, 어미(魚尾)는 중종 때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체(字體)는 사자관체(寫字官體)이다.
또한 구한말에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아들을 낳기 위해 전국의 명산대천에 국무당(國巫堂)을 시켜 빌게 한 문서가 발기[件記]로서 장서각에 남아 있는데, 이 책은 앞의 4장이 분실되었고, 4장이 필사로 보완되어 있다.
1954년에 연희대학교에서 영인했는데, 여기에는 분실이 없는 점으로 보아 영인하기 위해서 책을 해체할 때 분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겸로가(李謙魯家)에 소장되어 있다.
이 악보에는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는 전하지 않는 고려 가요가 상당수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노래는 총 26편으로 이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납씨가(納氏歌)
(2) 유림가(儒林歌)
(3) 횡살문(橫殺門)
(4) 사모곡(思母曲)
(5) 서경별곡(西京別曲)
(6) 쌍화곡(雙花曲)
(7) 나례가(儺禮歌)
(8) 정석가(鄭石歌)
(9) 청산별곡(靑山別曲)
(10) 유구곡(維鳩曲)
(11) 귀호곡(歸乎曲)
(12) 생가요량(笙歌寥亮)
(13) 상저가(相杵歌)
(14) 풍입송(風入松)
(15) 야심사(夜深詞)
(16) 성황반(城隍飯)
(17) 내당(內堂)
(18) 대왕반(大王飯)
(19) 잡처용(雜處容)
(20) 삼성대왕(三城大王)
(21) 군마대왕(軍馬大王)
(22) 대국(大國)
(23) 구천(九天)
(24) 별대왕(別大王)
오례의(五禮儀)나 가례(家禮)가 철저하게 시행되기 전에, 또 시행되었더라도 궁중의 비빈(妃嬪)이 환시(宦侍)나 무당(巫堂)을 보내 명산대천에 제사지내면서 부른 무가였기 때문에, 당시 사회의 이중 전통(二重傳統) 중 국속 전통(國俗傳統)을 이어받은 귀중한 무속 전통으로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