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상담의 실천신학적 위치를 생각해 보면, 목회적 돌봄(pastoral care)의 한 부분이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는 지금까지 목회상담학적 연구들이 다소 현대심리학 이론과 실제에 기울어진 경향이 있어서 목회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고로 필자는 기독교 영성(Christian Spirituality)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나님 형상으로 지음을 받은 영성적 존재인 내담자에 대해 영혼 돌봄과 영적 지도의 입장에서 본서를 저술하였다.(서문 중)
김상백 박사의 "목회상담과 영성"은 현대 사회의 목회자와 상담자를 위한 필독서입니다. 이 책은 목회상담의 이론적 기초와 실제적 접근 방식을 총망라하여, 목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중략) 이 책을 통해 목회자 들은 자신의 사명을 다시 한번 되새기고, 교회와 사회에서 치유와 화해의 사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순복음대학원대학교 총장 한사무엘 박사 추천사 중)
저자는 인간을 ‘창조의 면류관’으로 규정하며, 한 인간이 주어진 삶을 일구어 갈 때 반드시 영적으로 회복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인간 개인과 그가 속한 공동체 속에서 어떻게 목마름을 해갈할 수있는지에 대하여 기독교 목회상담학자로서 섬세한 논의를 풀어내었다.(중략) 목회자는 물론 신학을 배우는 목회 후보생들에게 또 목회상담학을 전공하는 신학도에게 나아가 교회에서 지도자로서 사역하는 모든 분에게 이 책을 권한다. (현 생명빛교회 이명희 담임목사 추천사 중)
이 책은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론적 측면에 서는 상담에서의 성령의 역할, 상담 과정에서의 성경 활용, 목회상담과 영적 지도의 관계, 상담과 교회의 연계성, 현대 심리학과의 통합 문제, 그리고 인간 이해에 대한 신학적 관점을 심도 있게 논의합니다.(현 호서대학교 기독교학과 실천신학전공 황병준 주임교수 추천사 중)
21세기 현대목회에 있어서 목회상담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중략)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일반상담에서 다루기 힘든 귀신들림이나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중독의 문제 등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제, 주요 주제들에 폭넓은 이해를 갖게 될 것이다. (개신대학원대학교 구병옥 교수 추천사 중)
김상백 박사님의 옥고인 “목회 상담과 영성”은 신학적 측면과 심리학적 측면의 균형을 탁월한 수준으로 제시 하여 주고 있다. 본 저서를 통하여 독자들은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특별 계시로써의 신학적 측면과 일반계시로써의 심리학적 측면을 통합한 목회 상담의 정석을 사역 현장에서 이론적,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최고의 길잡이를 만나게 될 것이다.(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상담심리학과장 박은정 교수 추천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