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와 교부 전통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수행
이 책은 현대 서구의 ‘증발하는 신앙’에 대한 한 정교회 수도승의 응답이다. 저자에 따르면 신앙이 신앙의 본질과 부합하는 방식으로 실천되지 않을 때 신앙은 증발한다. 여기서 ‘신앙의 본질과 부합하는 방식’이란 바로 성서와 교부 전승을 따르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책의 원제는 「질그릇: 거룩한 교부들의 전통에 따른 개인 기도의 실천」이다. 저자는 교부들과 사막의 사부들이 기도를 어떻게 이해했고 어떤 방식으로 기도를 생활화했는지 다양한 사례를 들면서 일상에서 개인 기도를 실천하는 길을 쉽게 설명해 준다. 이 책의 목적은 영적 길을 모색하는 신앙인에게 참으로 그리스도교적인 응답을 제공하는 것이다. 저자는 성서의 인간과 고대 교부들에게서 ‘그리스도교적 응답’의 핵심을 찾으며, 이에 상응하는 여러 성서 구절과 다양한 교부 문헌을 ‘실천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그리스도교 신앙의 본질을 추적한다.
저자는 교부 전승에 따른 개인 기도의 실천을 학술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제시하고자 하지 않으며, 이 책이 개인 기도에 관한 실천적 지침서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래서 학문적이기만 한 교부학 연구를 경계하며 곳곳에서 실천을 강조한다. “그리스도인이 거룩한 교부들을 공부할 때에는 학문적 교부학 연구에 그쳐서는 결코 안 된다. 학문적 연구가 공부하는 사람의 삶에 반드시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거룩한 교부들의 본보기, 그들의 말씀과 행적은 오히려 그들을 모방하라고 강하게 요구하는 하나의 모범이다.”
이 책은 네 부분과 부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부분 「묵은 포도주를 마셔 보고서는 아무도 새 포도주를 원치 않는다」에서는 ‘묵은 포도주’에 해당하는 것, 곧 기도와 관련해 “처음부터 목격하고 말씀의 시종이 된 사람들이 우리에게 전해 준” 것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전통의 중요성, 영성과 영성 생활, 활동과 관상, 시편 기도와 묵상을 소개한다. 둘째 부분 「장소와 시간」에서는 개인 기도를 드리기 위해 적합한 장소와 환경 및 기도하는 방향 등을 다루며, 셋째 부분 「기도하는 방식」에서는 분노나 생각으로부터의 자유가 ‘수행적 방식’의 기도에서 나오는 열매임을 지적하면서 ‘눈물’과 ‘끊임없는 기도’ 등 여러 유형의 수행적 기도 방식을 자세히 설명한다. 넷째 부분 「기도하는 자세」에서는 몸의 중요성을 환기하면서 일어서서 드리는 기도, 손을 들어 올려서 드리는 기도, 시선을 하늘로 향해 드리는 기도, 무릎을 꿇거나 엎드려서 드리는 기도 등을 소개한다. 마지막에 부록으로 실은 「실천적 조언」은 기도를 드리기에 올바른 장소와 환경을 조성하는 일, 기도를 드리는 시간, 시편 기도, 기도하는 방법과 자세 등을 간략히 요약하면서 일상에서 기도를 실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준다.
저자에 따르면 이 모든 수행(실천)은 “깨지기 쉬운 ‘질그릇’에 담겨 우리에게 전해 오는 소중하고 썩지 않는 보물이며, 본질적으로 영적이며 보이지 않는 ‘보화’이다.” 저자는 기도의 방법, 장소, 시간, 자세 등을 설명하면서 한결같이 성서와 전승의 근거도 함께 제시한다. 독자들은 성서와 전통에 기반을 둔 기도, 그리스도교적 수행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며, 덤으로 고대 교부들이 성서를 읽고 실천했던 방식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기도하는 대로 믿으며, 믿는 대로 기도한다. 올바르게 기도하지 않는 사람은 머지않아 올바르게 믿지 않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