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3·1운동과 연당 이갑성 추모 논문집

3·1운동과 연당 이갑성 추모 논문집

  • 이태룡
  • |
  • 광문각
  • |
  • 2024-08-27 출간
  • |
  • 256페이지
  • |
  • 153 X 225mm
  • |
  • ISBN 9791193965078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연당(硏堂) 이갑성(李甲成)은 1919년 2월 경성의 학생대표를 규합하고, 종교 지도자들과 연계하여 마침내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선언서」를 내고, 경성뿐만 아니라 함남 함흥, 경북 대구, 경남 김해·마산, 전북 군산 등지에도 학생을 보내 「선언서」를 배부하여 3·1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연당은 그 후 붙잡혀 1922년 5월까지 3년여 옥고를 겪은 후 1924년 민립대학 설립을 위해 전국 각지로 다니면서 강연하다가 또 붙잡혀 2년(1928-1930), 신간회 간사로 활동하다 6개월(1931) 고초를 겪고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제중약방(濟衆藥房)’을 경영하였다. 그러나 일제 관헌에 붙잡혀 1년(1937-1938), 흥업구락부 활동으로 7개월(1940), 상하이에서 독립운동한 여러 혐의로 11개월(1941), 8개월(1942), 4개월(1943), 3개월(1945) 등 오랜 기간 경찰서와 감옥(형무소 전신)·형무소에서 고초를 겪었다.

광복 후 연당은 초대 민의원과 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광복회(光復會)’ 초대 회장을 거쳐 제2대 회장에 당선된 직후 난데없는 “친일 밀정설”에 휩싸였다.
1967년 5월 11일자 「대한신문」 광고란에 “광복회 비상총회 회원 일동” 명의로 실린 「변절 및 민족 반역자 이갑성의 죄상 일부를 공개함」이란 성명서였다.
광복회는 「대한신문」을 통해 반박문을 싣는 등 공방이 법정으로까지 번져 광고를 내었던 조경한 등이 명예훼손죄로 벌금 50만 원을 선고받고 마무리되었다.
그런데, 1981년 연당이 작고한 직후 「자유」 3월호에 다시 이 내용들이 그럴싸하게 포장되어 다시 실림으로써 연당을 “친일 밀정설”에 빠지게 하였고, 이어 임종국은 1988년과 1990년에 ‘이갑성은 상하이에서 밀정했다는 설이 끈질기게 따라다니는 사람’이라고 하는 등, ‘설(說)’이 확대 재생산되자, 광복회와 학자들은 진실 규명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경성공업사는 일부에서 주장하듯 일본의 군수공장이 아니고, 미국인 모리스(J.H.Morris)가 사장으로 자동차와 그 부품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였고, 연당이 1922년 5월 5일 출옥한 후 1924년까지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마루야마 쓰루키치(丸山鶴吉)의 촉탁으로 활동했다는 설은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 탑재된 「조선총독부 직원록」의 ‘촉탁 관련자 명단’에 李甲成이 없어 진실이 아니었다.

연당이 상하이 프랑스 조계(租界) 샤페이루(霞飛路)에서 경영하던 ‘제중약방’은 「上海韓聞」(한국독립당 기관지) 창간호(1932.01.04) ‘근하신년’란에 ‘濟衆藥房 李甲成’이란 기사가 나와 있고, 김구·안창호 등 독립운동가들이 수시로 드나들고 머무는 곳이었음이 밝혀졌다.

광복회와 학자들의 노력으로 2006년 「민족대표 33인의 재조명 학술회의」와 2023년 「민족대표 硏堂 李甲成 추모 학술회의」를 통하여 연당에게 들씌워진 “친일 밀정설”이 아무런 근거가 없는 한갓 낭설임을 입증한 것이었다.

이에 국립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연구소는 연당 이갑성 선생의 행적을 철저히 규명하는 것은 한 사람의 명예뿐만 아니라 당시 민족대표 33인 전체의 명예에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하여 주요 논문 5편을 묶어 총서로 출판한다.


2024년(대한민국 106) 8월 15일

국립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연구소장 이태룡

목차

■ 화보
■ 차례
■ 서문


Ⅰ. 3·1독립운동, 33인의 민족대표, 그 역사적 위상
  - 김창수/전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Ⅰ. 머리말
  Ⅱ. 3·1독립운동과 민족대표 33인의 역할
  Ⅲ. 민족대표 33인의 의거 준비와 그 성격
  Ⅳ. 맺음말


Ⅱ. 이갑성의 항일독립운동과 문화 투쟁
  - 유준기/전 총신대학교 명예교수

  Ⅰ. 머리말
  Ⅱ. 이갑성의 생애와 3·1독립운동에서의 활동
  Ⅲ. 3·1운동 이후의 문화 투쟁
  Ⅳ. ‘친일 관련설’에 대한 검토
  Ⅴ. 맺음말


Ⅲ. 3·1운동 배경과 연당 이갑성의 역할
  - 이태룡/국립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연구소장

  Ⅰ. 들머리
  Ⅱ. 기미년 독립선언
  Ⅲ. 「선언서」 배부와 독립만세시위
  Ⅳ. 마무리


Ⅳ. 3·1운동 이후 연당 이갑성의 독립운동
  - 이정은/(사) 3·1운동기념사업회장

  Ⅰ. 머리말
  Ⅱ. 1920년대 민족운동 시기
  Ⅲ. 1930년대 상해 활동 시기
  Ⅳ. 맺음말


Ⅴ. 해방 후 연당 이갑성의 삶 재조명
  - 허동현/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국사편찬위원장

  Ⅰ. 서론
  Ⅱ. 해방 후 정치 활동
  Ⅲ. “친일 밀정설”의 제기와 유포 경위
  Ⅳ. 결론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