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정일의 신 택리지 산과 강의 풍수

신정일의 신 택리지 산과 강의 풍수

  • 신정일
  • |
  • 쌤앤파커스
  • |
  • 2024-09-02 출간
  • |
  • 520페이지
  • |
  • 148 X 218 X 30mm
  • |
  • ISBN 9791194246084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산과 물을 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문화사학자 신정일이 두 발로 쓴 ‘우리 산하’ 이야기

대한민국 도보답사의 선구자 신정일 작가가 전국 방방곡곡을 직접 걸으며 완성한 도보답사기 《신정일의 신 택리지》 시리즈의 열 번째 책이자 완결편 ‘산과 강의 풍수’ 편이 출간되었다. ‘산하’라는 말이 곧 우리 국토를 의미하듯, 산과 강은 우리 삶과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고개만 돌리면 보이는 쭉쭉 솟은 산과 그 사이사이 유유히 흐르는 강이 우리가 지금껏 유지해온 줄기찬 생명력을 여실히 나타낸다.
옛사람들은 산과 강을 하나의 유기적 자연 구조로 보고 그 사이에 얽힌 원리를 찾는 것을 지리학과 풍수의 기본으로 두었다. 신경준의 《산경표》는 한반도의 등뼈를 이루는 백두대간부터 시작해 큰 강을 낀 13개 산맥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산줄기들의 이름은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하는데, 이는 ‘산은 생명의 시작인 강의 산지産地’라는 전통적 지리 인식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산과 그 계곡을 따라 형성된 강이 촌락과 도시 형성에 큰 역할을 했다. 그래서 산과 강은 문화적 풍토를 나누는 구분이 되기도 한다. 이 덕에 우리나라에는 각양각색의 산과 강처럼 개성과 매력을 자랑하는 지역색이 형성되었다.
《신정일의 신 택리지》 열 번째 책 ‘산과 강의 풍수’ 편에서는 남북으로는 백두대간부터 땅끝 해남까지, 동서로는 울릉도와 안면도까지, 그리고 바다 건너 제주도의 한라산 백록담까지 저자의 발길과 눈길이 닿는 모든 곳을 망라한다. 산과 강의 특색, 풍토, 물산, 역사와 전설 등 곳곳에 얽힌 지리와 사람 이야기를 저자의 꼼꼼한 답사와 풍부한 입담으로 흥미진진하게 펼쳐낸다. 특히 완결편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우리가 길을 걷고 풍류를 즐겨야 하는 이유와 방법까지 친절하게 소개한다.


산이 솟고 강이 굽이치니
사람의 살 자리가 보인다

ㆍ ‘명사名士가 명산名山을 낳는다’는 말이 있다. 예로부터 사대부들은 이 땅의 산천을 유람하면서 스스로 학문을 연마하고 정신을 수행하며 수많은 글을 남겼다.
ㆍ 옛사람들은 우리나라의 2대 명산을 백두산과 금강산으로 보았다. 백두산을 두고 산의 성자聖子라고 했고 금강산을 일컬어 산의 재자才子라고 했다. 즉 성스러운 산의 으뜸은 백두산이고 기이한 산의 으뜸은 금강산으로 본 것이다.
ㆍ 설악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골산骨山이다. 금강산에 버금가는 명산과 명승으로 자연경관이 빼어나고 문화유산과 관광 명소가 많다. 설산雪山 또는 설봉산雪峰山, 설화산雪花山이라고도 하며, 겨울뿐 아니라 사계절 모두 독특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신라 때는 영산靈山이라 하여 나라에서 제사를 지냈고 또 옛날에는 바다를 지나가는 배들의 길잡이가 되기도 했다.
ㆍ 지리산은 역사 속에서 수많은 사람이 숨어들었던 곳이다. 조선 중기 임진왜란이 일어난 뒤에는 《정감록》을 믿는 사람들이 찾아들었다. 동학 농민운동이 끝난 뒤에는 혁명을 꿈꾸다 실패한 동학도들이 찾아와 후일을 도모하기도 했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이현상이 이끄는 남부군이 지리산에 들어와 죽거나 포로가 되었다.
ㆍ 가야면 소재지에서 해인사 들목에 이르는 홍류동계곡은 봄에는 꽃으로, 가을에는 단풍으로 물이 붉게 흐른다 하여 ‘홍류동紅流洞’이란 이름이 붙었다. 해인사 들목까지 뻗어 내려온 이 골짜기는 그 언저리의 울울창창한 숲도 숲이지만 속세의 소리를 끊어 버릴 기세로 우렁차게 흘러내리는 물소리가 유별난 정취를 안겨 주는 곳으로 유명하다.



10권으로 마무리된 《신정일의 신 택리지》 시리즈는 서울, 경기, 전라, 북한, 제주, 강원, 경상, 충청 편에 이어, ‘명당과 길지’, ‘산과 강의 풍수’ 편까지 우리 땅의 면모와 역사, 인문지리학적 통찰을 담아낸 종합 교양서다. 30년 넘게 전국 곳곳을 직접 밟으며 시리즈를 완성한 신정일 작가의 입담을 통해 독자 역시 생생한 답사 경험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김정호와 이중환이 그랬듯 산천 곳곳에서 건져 올린 이야기를 담은 《신정일의 신 택리지》 시리즈는 우리 시대 대표적인 국토 인문서로 우리 국토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목차

1 산수 : 만민이 우러러보는 우리 산하
산과 물을 논하는 이유 | 우리 역사 속 산 | 산은 바다에서 시작되었다 | 산의 나라 조선 | 살 만한 곳을 찾아 나섰던 사람들

2 백두대간에 자리 잡은 여덟 개 명산 : 백두산이 오지랖을 벌리고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 | 백두대간은 무엇인가? | 우리 민족의 진산 백두산 | 천리천평 | 우리나라의 지형 | 명에 대한 의리 내지는 사대주의 | 금강산 일만이천봉 | 아래를 굽어보면 시냇물이 파랗고 | 왼쪽을 보아도 그림, 오른쪽을 보아도 그림 | 금강산에 버금가는 명산 설악산 | 절세의 미인이 숨어 있는 설악산 | 오대산 월정사 | 우리 민족의 영산 태백산 | 작은 백산에서 유래한 소백산 | 신선이 있어야 이름이 날 수 있고 | 송시열과 화양구곡 | 신선들이 술잔을 나르던 파천

3 속리산에서 지리산으로 백두대간은 이어지고 : 높다란 사면 푸른 연꽃 같은 봉우리
국보급 문화유산이 즐비한 법주사와 속리산 | 속리산 너머 추풍령으로 | 민족의 성산 지리산 | 풍년과 흉년을 모르는 지리산 | 깨달은 사람이 들어가는 산 | 실상사와 백장암

4 백두대간을 따라 이어지는 명산 : 백두산 일지맥이 동으로 흘러나려
귀신의 솜씨로 빚은 칠보산 | 단군이 태어난 석굴이 있다는 묘향산 | 휴정과 유정이 수도한 묘향산 | 가야산에는 정견모주 신이 산다 | 도는 어제보다 깊으나 앞산은 더욱 첩첩하고 | 단정하면서 밝고 엄숙한 청량산 | 조선의 4대 명산 구월산 | 마음을 열고 기다리는 산

5 사람들이 가까이하여 즐겨 찾는 산 : 한가함을 틈타서 마음 놓고 등반했노라
바깥변산과 안변산 | 큰 산이 첩첩이 솟았고 | 일몰이 아름다운 선운산 낙조대 | 광주의 진산 무등산 | 산 우는 소리가 수십 리까지 들리고

6 누구에게나 오름을 허락하는 산 : 마음 맑게 하는 곳 여기에 있으니
달은 청천에서 뜨지 않고 | 천관산에는 봉수대가 남아 | 구산선문의 큰 절 태안사 | 송광사와 화엄사의 본산이던 태안사 | 팔공산 자락에 쌓은 가산산성 | 영암사가 있는 황매산 | 거문고를 닮은 비슬산 | 운문산과 가지산 | 주왕의 전설이 서린 주왕산 | 청룡사와 남사당패 | 금강산 다음으로 아름다운 산 | 단군이 하늘에 제사 지냈던 명산 | 일곱 개의 명당자리가 있는 칠갑산 | 암마이산과 수마이산 | 경기의 금강산으로 불리는 용문산 | 입암산 아래 대흥리

7 바다에 인접한 명산 : 솔밭처럼 우뚝한 하늘 남쪽의 아름다운 곳
신선이 노니는 백록담 | 아름다운 섬나라 남해 | 감은사와 문무왕 이야기 | 다도해를 바라보는 두륜산 | 백련산 자락의 다산초당 | 그 아름다운 고군산군도 | 소정방이 머물렀던 덕적도 | 울릉도와 독도 | 다도해와 태안반도

8 나라 안에 이름난 절 : 적적한 산골 속 절이요, 쓸쓸한 숲 아래 중일세
의상이 창건한 부석사 | 자장법사가 창건한 큰 절 통도사 | 팔공산 자락의 큰 절 동화사 | 거조암에는 오백나한이 | 도선이 출생한 절 | 모악산 아래에 있는 금산사 | 민족 사상의 요람 | 조계산 자락의 송광사와 선암사 | 지공화상이 창건한 회암사 | 능가사가 있는 팔영산 | 천불천탑이 있는 운주사 | 산 모양은 반드시 수려한 돌로 된 봉우리라야 | 조선 500년 사직의 요람 북한산과 서울의 산들 | 계룡산 계곡물은 쪽빛처럼 푸르고 | 《정감록》의 십승지지과 호남 4대 명당 | 엄연하고 따뜻한 산, 계룡산 | 조선 전기의 도읍지 신도안

9 나라 안의 여러 고개 :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구나
아련한 기억이 되살아나는 고개 이야기 | 대관령 너머에 동해의 푸른 바다가 | 소백산 아랫자락에 있는 큰 고개 죽령 | 사연 없는 고개가 어디 있으랴만

10 사람의 길, 땅의 길 : 길 끝에서 언제나 또 다른 길이 시작된다
길이란 무엇인가? | 사람의 길은 하늘의 길에 따르는 것 | 길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 도로는 물길을 대신하고 | 사라진 역사 속의 옛길 | 세상의 어느 누가 불행에서 안전할까? | 도보 답사에 필요한 것들 | 가장 중요한 것은 길 위에 있다 | 어떤 길을 걸을 것인가? | 우리나라의 옛 주막 | 걷기, 세상으로 나가 세상을 만나는 출구 | 누구나 걷고 싶은 숲길 | 빠름에서 느림으로 이어지는 문화의 흐름 | 우리가 걸어가야 할 동해 해파랑 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