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평범한 직장인들의 ♬다문화사랑
〈노래와 웹툰으로 보는 다문화이해〉 책을 출간하며ㆍㆍㆍ
건강한 대한민국이 되기 위해서는 건강한 다문화사회가 되어야 한다 !
이제 우리사회는 외국인 250만시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기준 외국인 비중이 전체인구의 5%를 넘어서 이제 대한민국도 "다문화 · 다인종" 국가이기에 ♪다문화사랑 노래와 다문화 웹툰을 통하여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기원한다.
대한민국은 이제 다양한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먼저 국제결혼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결혼 10쌍 중 1쌍이 ‘다문화 혼인’일 정도이다. 다문화 학생은 2023년 기준 18만 명을 넘겨서 우리나라 전체 학생 중 3.5%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인 취업자는 2022년 말 기준으로 총 84만 명을 넘어섰다.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이제 250만 명(2024년)에 도달하였다.
총인구 중 외국인 주민이 차지하는 비율이 5%를 넘기며 20명 중 1명이 외국인인 셈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가 정한 다인종·다문화 국가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국제결혼, 외국인근로자, 해외유학생 등 우리나라에 사는 외국인주민은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이들은 현재 ‘이주민’, ‘다문화 가족’, ‘이주 배경인’ 등으로 불리지만 대한민국의 일원으로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주민들은 언제 어디서나 마주하는 우리의 ‘이웃’이 되고 있다.
다문화문화봉사회와 다문화큐레이터로 활동하며 ‘다문화 시대’를 대비하고 이주민과 함께 더불어 살 방법을 고민해 왔다. 저출산 · 고령화 시대를 맞는 우리나라는 이제 외국인주민이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그동안 다사랑TV를 운영하고 매년 대한민국 최고 규모 외국인주민과 함께하는 테마가 있는 K-Culture Festival을 개최하고,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다문화어울림 한마당 행사를 개최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제 우리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세상에서, 우리문화와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다.문화적 다양성이 국가자원으로서 힘의 원천이 되어 가치있는 자산이 되고 있다. 우리 사회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다른 나라의 독특한 관습과 전통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 되고 있다.
2008년 한국산업인력공단 외국인력국에서 근무하면서 외국인근로자를 선발하고 도입하는 업무 수행을 위해 16개국을 다니면서 협약도 체결하고 해당 국가에 가서 한국어시험을 집행하면서 다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으로 외국인근로자가 오는 나라에서 결혼이민자(바다건너온 며느리)도 오고 있다.
한국으로 외국인 근로자 뿐만 아니라 결혼 이민자(바다 건너온 며느리)들도 들어오고 있다. 이들은 한국이 꿈의 나라라고 희망을 갖고 들어오지만, 정작 한국에 와서 생활하면서는 많은 편견과 소외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우리 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고자 책 보다는 노래를 통해 다문화인식 전환노력을 하고자 다문화문화봉사회를 통하여 다문화를 기획하고 연출하고 연결하는 다문화 큐레이터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17년째 다문화문화봉사를 하면서 문화콘텐츠 하나인 노래와 웹툰을 통하여 다문화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에 "노래와 웹툰으로 보는 다문화 이해"라는 책을 준비하게 되었다. 다문화 사랑 노래 (♪우리 며느리 ♪바다 건너 온사랑 등)와 다문화 웹툰을 통하여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그들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한류열풍, K컬쳐의 흐름을 타고 급성장하고 있는 K컬쳐는 문화를 넘어 산업이 되었고, 경제가 되었고, 정치가 되었고, 정신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2018년 부터 시작된 K-Culture Festival, 테마가 있는 K-팝콘테스트, 다문화어울림 문화한마당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다문화사랑 노래를 많은 외국인주민과 내국인들이 함께 노래하며 서로를 이해하는 어울림한마당이 되고 있다.
"노래와 웹툰으로 보는 통한 다문화 이해"가 앞으로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기를 바라며, 한국을 배우고 이해하려는 외국인근로자, 다문화 가족, 해외유학생은 물론 다문화 기관이나 외국인센터 등에서도 많은 활옹이 되기를 바라며, 이 책을 통하여 내국인과 외국인주민이 다함께 서로 이해하는 계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