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적인 재앙 앞에서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알제리의 조용한 해안 도시 오랑에서 언젠가부터 쥐들이 거리로 나와서 비틀거리다 죽어 나간다. 정부는 곧 페스트를 선포하고 도시를 봉쇄한다. 갑작스러운 전염병의 창궐과 도시 봉쇄로 인해 도시는 대혼란에 빠지고, 시민들은 저마다 각자의 방식으로 눈앞에 닥쳐온 재앙에 대응한다. 주인공 리외는 의사로서의 자기 소임을 다하는 것으로 페스트에 맞서는 사람이다. 영웅도 아니고 어떤 거창한 목적도 없는 그는, 의사로서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람이다. 외지 사람인 타루는 어떤 목적으로 오랑에 와 있는지 알 수 없는 인물로, 리외를 도와 자원봉사자를 꾸리고 보건대를 조직한다. 파늘루 신부는 페스트를 사악한 인간들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 역설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페스트에 걸린 한 아이의 비극적 죽음을 겪으며 변화한다. 시청에서 비정규직 공무원으로 일하는 소시민 그랑은 자신의 특기를 살려 보건대에 헌신한다. 취재차 오랑에 왔다가 발이 묶인 기자 랑베르는 파리에 있는 아내를 만나기 위해 끊임없이 탈출을 계획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도 유일하게 한 사람, 코타르만이 페스트 안에서 편안함을 느끼는데…. 과연 이들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희망을 잃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는 것이 인간의 길
《페스트》에 등장하는 인물 중 리외와 타루는 알베르 카뮈의 철학을 대변하는 인물이다. 그렇다면 리외와 타루가 페스트에 맞서 싸울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일까? 그들은 어떤 마음으로 페스트에 맞섰던 것일까? 타루는 이렇게 말한다. “저는 모든 사람이 자신 안에 전염병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해요. 왜냐하면 누구도 페스트 앞에서 무사하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방심하는 순간 다른 사람의 얼굴에 입김을 뿜어서 전염시키지 않도록 자신을 항상 감시해야 해요. 병균이 그러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니까요. 그 외에 휴식, 건강, 청렴, 순수는 결코 멈춰서는 안 되는 의지예요. 거의 아무도 감염시키지 않은 정직한 사람은 가능한 한 방심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사람이에요.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으려면 의지와 긴장감이 필요하니까요!” 리외는 또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러나 이 연대기가 최종 승리의 연대기가 될 수 없음을 알고 있었다. 성인이 될 수 없고 재앙을 받아들일 수 없기에 의사가 되려고 애쓰는 모든 사람이 개인적인 고통에도 굴하지 않고 수행해 나가야 할 것에 대한 증언일 뿐이다.” 즉 아무리 현실이 절망적이라고 해도 우리는 희망을 잃지 않아야 하고, 자신의 길을 가야만 한다. 이것이야말로 이 ‘부조리’한 세상에 맞선 우리 인간의 ‘반항’이며, 우리 인간이 걸어가야 할 길임을 보여 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