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 탐구는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
저자 진 클랜디닌은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발전시키고 연구해 왔다. 그는 내러티브 탐구 수행 기법, 내러티브 탐구로 논문을 쓰는 절차 등 기술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을 우려하며, 점점 더 많은 연구자가 연구 방법과 현상의 철학적 뿌리를 외면하는 것에 대응하고자 했다. 동시에 ‘이론화가 부족하다’는 비판에 맞서고자 했다. 그러나 경계해야 할 것은 변하지 않는 단일한 근원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다. 이 책이 말하는 뿌리는 끊임없는 재형성 속에서 연결되고 생성되는 것들이다. 내러티브적으로 사고하고, 연구하고,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 아이디어와 그 근거를 찾되 다시 경험과 삶으로 돌아가 그것을 변주하고 확장하는 저자들의 여정을 이 책에서 엿볼 수 있다.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내러티브, 경험에 대한 연구를 경험하기
각 장에서는 내러티브 탐구의 핵심 아이디어를 깊이 있게 다룬다. 주목할 것은 이를 ‘어떻게’ 다루는가다. 클랜디닌과 제자들은 자기 경험을 앎과 연결해 설명하고 이론을 끌어오는 저술 방식과 구성을 택한다. 실용주의, 페미니즘 철학자는 물론 원주민 원로, 소설가, 시인의 이름과 그 저작이 등장하며 저자들은 그와 대화하는 듯 보인다. 이는 책에 담긴 아이디어가 그들의 삶, 역사, 장소, 사회적 관계 등에서 나온 것임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아이디어를 해부해 경험과 유리된 용어로 설명하기보다는, 상상력을 기반으로 아이디어와 함께 유희하는 모습 자체를 드러낸다. 각 아이디어와 관계된 저자들의 이야기, 그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들려주는 이유, 그 이야기 속에 담겨 있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의미 등을 곱씹다 보면 내러티브 탐구가 무엇이며, 내러티브 탐구로 연구할 때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를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 이 책은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일종의 내러티브이며, 경험에 대한 연구를 경험하게 해 주는 셈이다.
내러티브 탐구자를 위한 방법론 노트
그러나 이 책의 독자는 내러티브 탐구를 하려는 사람일 것이다. 기법과 절차, 연구 결과물에 대한 관심을 떼어 놓을 수는 없다는 뜻이다. 저자들은 각 부의 끝에 ‘방법론 노트’라는 이름으로 경험, 지식, 제현, 기억, 장소, 공동체, 상상력, 놀이성 등 이 책에서 다루는 아이디어들이 실제 연구 과정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인다. 시리아에서 캐나다로 간 난민 가족과의 연구 과정을 드러내고 이를 어떻게 내러티브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보여 준다. 각각의 장은 서로 다른 아이디어를 독립적으로 다루지만, 방법론 노트를 통해 다시 하나로 엮이고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