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본래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행정의 과제를 검토하고, 문제를 제기해보자 하는 의도에서 집필하였습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초판의 취지를 그대로 유지하되, 이후 발생한 교육현장의 요구와 학문적 발전 추세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보완 작업을 하였습니다.
먼저, 최신 교육정책과 법령을 반영하였습니다. 초판 이후 세 번의 정부 교체가 있었고, 이에 따라 교육정책과 법령도 상당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을 독자들이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최신 교육 관련 법령과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현재의 교육행정 환경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둘째, 가급적 현장의 사례를 풍부하게 제시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초판 출간 이후 교육 현장에는 혁신학교, 미래학교, 디지털 교과서, 늘봄교육, RISE 체계 도입 등 학교와 교육체제 전반의 기존 운영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변화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장의 변화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현장 사례들을 풍부하게 제시하여 독자들이 변화된 교육행정 현상을 보다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습니다.
셋째, 국제기구 등 해외의 교육행정 논의와 국내외 연구 동향을 이 책의 취지에 맞게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OECD의 국제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비롯하여 지난 12년 동안 진행되고 있는 국제적 논의 동향을 반영하였습니다. 교육행정의 이해와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국내외 연구 동향도 추가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특히 마지막 장에서는 교육행정 체제를 둘러싸고 있는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변화와 다양성 증가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한국 교육행정의 과제에 대해 논의를 추가하였습니다.
넷째, 독자들이 이 책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부 장의 내용을 새롭게 기술하였습니다. 독자 친화적인 명확한 설명과 논리적인 구성을 통해 교육행정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