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을 이렇게 쉽게 설명한다고?” “데이터 전문 서적으로 치부하기엔 너무 재밌다.” “예를 들어 설명해 주어 이해하기가 쉽다.” “결과적으로 탁월한 선택이었다.” 데이터 분석 실무를 과외하듯 친절하게 설명해 독자들에게 ‘데이터 분석의 교과서’라는 극찬을 받은 〈한달 공부 데이터 분석〉이 개정2판으로 새롭게 돌아왔다. 얼마 전까지 외국계 회사의 데이터 분석 책임자였던 전익진 교수는 기업 현장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실무를 자세하게 설명해 준다. 〈한달 공부 데이터 분석〉은 취준생, 데이터 분석가로 이직을 준비하는 직장인, 실무를 더 구체적으로 익히고 싶은 현직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분석으로 상품과 기업 가치를 높이고 경영을 혁신하려는 중견·중소 기업 경영인에게 등대와 같은 책이다.
사내 컴퓨터에 쌓인 정보만 제대로 분석해도
생산성을 높이고 경영 혁신을 이룰 수 있다!
〈한달 공부 데이터 분석〉(개정2판)은 기업 현장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분석 업무를 ‘한 달 안에’ 마칠 수 있도록 ‘28강’으로 구성했다. 생산, 물류, 판매, 매출, 성과 관리, 효율성, 소비자 반응, 소비 트렌드……. 저자는 사내 컴퓨터에 쌓인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해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경영을 혁신할 수 있는지 설명과 수식, 그림과 그래프를 곁들여 이야기 형식으로 알기 쉽게 강의하고 있다. 저자는 분석 실무뿐 아니라 컴퓨터에 쌓인 데이터가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주고 지속가능성을 창출해 주는 원천 요소임을 자연스럽게 알려준다. 아울러 책을 읽다 보면, 데이터 분석이 생각만큼 어렵지 않으며, 누구나 할 수 있고 누구나 해야 하는 기업 내 구성원의 필수 업무임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된다.
하루 1강씩 한 달 안에 끝내자!
모든 데이터 분석 상황을 소설 형식으로 꾸며 내용이 쉽고 재밌다
『한달 공부 데이터 분석』(개정2판)의 본문은 모두 5장으로 구성돼 있다. ‘PART 1’에서는 시장 분석, 성장률, 비용, 제품별 매출 추이 등 시장과 매출 관련 내용을 설명과 수식, 그림과 그래프를 곁들여 알기 쉽게 강의하고 있다. ‘PART 2’에서는 수요 예측을 다루고 있다. 매출 목표의 실현 가능성 분석, 매출 추세 분석, 월별 매출 예측치 분석 등이 주요 내용이다. ‘PART 3’에서는 재고와 관련한 내용을 강의하고 있다. 적정 재고 분석, 생산과 발주 모형, 경제적 생산량, 재고 관리 기법 등이 주요 내용이다. ‘PART 4’에서는 효율성 관련 내용을 강의하고 있다. 노동 생산성, 비용 생산성, 설비 생산성, 제품의 효율성, 제품 구성의 효율화를 분석하는 내용이 주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PART 5’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다루고 있다. 납기 준수율 분석, SNS 분석을 통한 소비자 반응 조사, 소비의 흐름을 파악하는 연관규칙 분석 등이 주요 내용이다.
특별 부록 : 데이터 분석가가 갖추어야 할 5가지 핵심 역량
다르게 생각하고, 색다른 시선을 가져라
‘21세기의 가장 섹시한 직업.’ 하버드비즈니스리뷰는 데이터 분석가의 매력을 이렇게 표현했다. 또 미국의 최대 직장 평가 회사 글래스도어는 데이터 분석가를 21세기 ‘최고의 직업’으로 선정했다. 이런 흐름을 반영하여 『한달 공부 데이터 분석』(개정2판)은 특별 부록으로 ‘데이터 분석가가 갖추어야 할 5가지 핵심 역량’을 다루고 있다. 데이터의 분석에서 중요한 건 분석기법을 적용하는 능력이 아니다. 데이터에 숨겨져 있는 가치를 발견하고, 그 가치를 드러내는 능력이 더 절실하다. 데이터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일은 코딩 기술, 분석 도구, 복잡한 분석 기법을 다룰 줄 안다고 해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저자는 비판적 사고와 인문학적 지식, 알고리즘에 관한 이해, 세상을 바라보는 남다르고 새로운 시선, 커뮤니케이션 능력,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높은 이해도 등이 분석 기술보다 더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능력은 개인의 경쟁력이자 기업의 운명을 가르는 생존전략이라는 게 저자의 판단이다. 특별 부록이 취준생과 이직을 꿈꾸는 사람, 기업의 데이터 분석 실무자에게 작은 영감이 되길 기대한다.
아울러, 에필로그에서 다루는 두 가지 주제, ‘셀 수 없는 것을 분석하라’와 개정2판에서 새롭게 반영한 ‘꼭 알아야 할 기업의 재무 건전성 지표 6가지’도 데이터 분석을 고민하는 독자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