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회 없는 하루, 보람찬 하루보다
이제는 나를 돌보는 하루가 더 중요해요
최근 통계에 따르면 번아웃 증후군을 겪고 있는 사람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직장인들 사이에서 만연한 번아웃은 단순한 피로를 넘어 심각한 정신적·신체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번아웃을 공식적인 건강 문제로 인정할 정도다. COVID-19 팬데믹의 영향, 과도한 업무 시간, 성과에 대한 압박,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부담감 등 번아웃을 일으키는 요인은 많다. 현대인들의 대부분이 번아웃에 직면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상은 우리에게 더 빨리 더 많이 무언가를 해내라며 압박하고 강요한다. 쉴 틈 없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무언가에 쫓기는 듯 마음이 불안하다. 그런데 자신을 돌보지 않고 얻어낸 성공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몸과 마음이 다치고 지쳐가면서 얻은 성공이 진정한 성공이라고 할 수 있을까? 『너무 애쓰다 지친 당신을 위한 회복력 수업』의 저자 이수경 교수는 ‘내가 원하는 삶을 살며 즐겁게 누릴 수 있으려면 먼저 나를 챙기면서 회복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한다.
무기력에서 벗어나 원하는 삶으로 이끌
회복과 성장을 위한 지혜
세상에 아무도 없는 것 같이 느껴질 정도로 삶과 일과 사람 때문에 지쳐 있을 때는 힘을 내라는 말조차 의미가 없어진다. 나는 잘하려고 이렇게 애썼는데 도대체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모르겠고 이제는 더 이상 애쓰고 싶어지지 않고 아무것도 하고 싶어지지 않는 상태, 번아웃이 되어버리면 인생이 끝난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한다. 평생 전략질주하며 달려왔던 저자는 누구보다도 이 상황을 깊게 이해하고 그 감정에 동감한다. 하지만 번아웃으로 바닥을 쳤으니 이제 재정비하고 올라갈 때라고도 독려한다.
이미지 브랜딩 전문가인 이수경 교수는 외형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내면의 소통을 위한 도구로 다양한 학문을 연구하며 21년 동안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이미지 메이킹,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특강을 다니며 동기를 부여하고 최근에는 번아웃과 무기력에서 벗어나 자기를 돌보는 마음챙김의 구체적인 방법을 전파하고 있다. 수년간의 연구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모은 지혜를 더 많은 독자와 나누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저자가 번아웃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며 깨달은 것들과 그 시기를 잘 지나기 위해 했던 노력 그리고 자아성찰과 마음챙김을 위한 프로세스를 한 권에 모두 담았다.
1장 ‘무너진 마음에는 시간이 필요하다’에서는 지치고 무기력한 마음에 공감하며 마치 늪지대 같은 무기력에서 빠져나올 방법을 제안한다. 2장 ‘유연하고 자립적인 인간관계 만들기’에서는 특히 우리를 괴롭히는 ‘관계’의 어려움과 해결 방법에 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한다. 3장 ‘강하게 마음근육을 단련하는 연습’에서는 나 자신을 신뢰하고 사랑해주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4장 ‘그래도 계속 나아가야 하는 이유’에서는 내면과 외면의 조화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껏 성실하게 인생을 잘 살아온 당신은 이제 다른 누구보다 자기 자신을 더 사랑하고 아껴야 한다. 삶의 기쁨을 누리고 행복한 시간을 가질 자격이 있다. 『너무 애쓰다 지친 당신을 위한 회복력 수업』을 따라 자신을 돌보며 마음챙김을 위한 작은 실천들을 하다 보면 어느새 마음근육이 튼튼해진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너무나 애쓰며 열심히 살았던 당신이 이 책을 통해 더 신나는 일상을 누리고, 자신을 사랑하고, 원하는 사랑을 받으며 멋진 인생을 즐기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