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가장 불행한 나라, 우리는 왜 불행할까?
“당신은 행복합니까?”라는 질문에 자신 있게 행복하다고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단지 행복하지 않은 정도가 아니라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젊은층에서 우울증 환자가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젊은층만의 문제도 아니다. 우리나라 아동의 행복지수 역시 OECD 22개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남미 국가들을 제외하고 OECD 국가 중 우리나라가 근로 시간 1위인 것을 고려하면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일을 많이 하고, 가장 불행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왜 불행의 함정에 빠졌을까?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 중 하나다. 근로 시간 자체도 긴데 ‘지옥철’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출퇴근길의 질도 떨어진다. 임금 대비 물가도 높아서 그야말로 먹고살기 힘들다는 아우성이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이런 상황에서 행복을 바라는 것은 어쩌면 사치인 걸까?
행복은 바깥이 아닌 내 안에 있다
불행하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모두 행복해지고 싶고, 행복해지기 위해 노력한다. 다만 ‘선망받는 직업을 가지고 돈을 많이 벌면 행복할 것이다’ ‘멋진 차를 사면 행복할 것이다’ ‘내 집을 마련해야 행복할 것이다’ 등 물질적인 것이 행복을 가져다준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물질, 즉 돈이 곧 행복은 아니다. 10억만 있으면 행복해질 것으로 생각하지만, 20억을 가진 사람이 부러워질 것이고, 100억을 가진 사람을 질투하느라 불행해질 것이다. 돈이 행복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것보다는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것에서 행복을 찾는 편이 조금 더 쉽고 빠르다.
30년 경력의 임상심리학자인 저자는 우울증 등의 이유로 상담하러 온 사람들에게 ‘카페인’부터 끊을 것을 권유한다. 여기서 말하는 ‘카페인’이란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줄임말로, 대표적인 SNS를 가리킨다. ‘카페인’의 특성상 남들에게 자랑하고 싶은 모습들만 편집되어 업로드되는데, 여가에 지나치게 몰입하다 보면 이것이 너무도 당연하게 느껴진다. ‘남들은 해외여행, 명품, 슈퍼카, 오마카세를 아무렇지 않게 누리고 사는데, 왜 내 현실은 이럴까?’라는 불행의 늪에 빠지는 것이다.
타인의 삶을 아무리 부러워해도 타인처럼 될 수는 없다. 내가 부러워하는 누군가의 인생을 대신 살게 된다고 해도 내가 바라던 행복과는 다를 수 있다. 행복은 저절로 오지 않는다. 행복을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한데, 우선 내가 원하는 행복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심리학자가 제안하는 나만의 행복 찾기 프로젝트
저자는 비교, 착한 아이 콤플렉스, 타인 의식, 생각 과잉의 함정에 빠진 사람들을 위해 ‘나만의 행복 찾기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1단계: 나의 성격은 어떤 유형인지 알아본다.
MBTI 유형 중 E와 I, T와 F가 추구하는 행복은 다르다. 우선 내가 어떤 유형인지 알아야 나에게 맞는 행복을 찾을 수 있다.
2단계: 나의 행복을 타인과 비교하지 않는다.
SNS에는 경쟁하듯 행복을 과시하는 게시물이 수도 없이 업로드된다. SNS를 끊고 비교의 함정에서 빠져나와야 한다.
3단계: 내 마음의 안녕을 수시로 체크한다.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의 기분을 지나치게 살피고 배려하면서 정작 자신의 마음을 살피지 못한다. 지금 나의 기분이 어떤지, 왜 기분이 좋은지, 왜 기분이 나쁜지를 습관적으로 체크해야 한다.
4단계: 나는 언제 행복하고 불행한지 살핀다.
나의 마음을 살피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나는 언제 행복함을 느끼는지, 언제 불행함을 느끼는지 리스트를 만들어보면 좋다.
5단계: 행복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다.
10년 후 내가 원하는 모습을 아주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것이다. 최대한 자세하게 상상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6단계: 행복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실천한다.
나를 불행하게 하는 잡생각은 끊어내고, 불행하게 하는 사람은 손절하고 정리해야 한다. 나의 행복을 위해 필요하다면 남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7단계: 나만의 행복 레시피 &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만든다.
나의 성격과 현실적인 상황 등을 고려한 나만의 행복 레시피,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위기에 대비해 내 감정을 치유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담은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
행복도 노력하는 자에게 찾아온다
행복을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 누군가에게는 버겁게 느껴질 수 있다. 저자는 행복을 찾기 위한 노력이 부담스럽게 느껴지고, 지친다면 굳이 애써 노력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진심으로 행복해지고 싶고 그만한 준비가 되었을 때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시작하면 되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가 제시하는 간단한 테스트들을 해보고, 저자의 질문들에 답하다 보면 어느새 나의 행복이 구체화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아주 사소한 노력이라도 좋다. 이런 노력과 실천들이 모여서 어느 순간 당신을 행복하게 만들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