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국내외 우주 첨단항공 산업동향과 전략품목별 기술 및 시장전망

국내외 우주 첨단항공 산업동향과 전략품목별 기술 및 시장전망

  • 미래산업리서치 편집부
  • |
  • 미래산업리서치
  • |
  • 2024-08-05 출간
  • |
  • 591페이지
  • |
  • 210 X 297mm
  • |
  • ISBN 9791198338815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발간사

우주산업은 발사체, 위성체 등 우주기기의 제작 및 운용 등 관련 정보를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산업으로 2024년 4월 발표한 맥킨지 & 세계경제포럼에 의하면 전 세계 우주경제가치가 ’23년 6,300억 달러에서 ’35년 1조 8,00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뉴스페이스 시대의 개막으로 위성산업은 전 세계적인 관심과 투자로 급성장하는 산업으로 발전 주체가 민간 기업이 주체가 되고, ICT 분야와의 융복합이 활성화되며 기업의 참여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2023년 제4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을 세우고 2045년 우주경제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우주탐사 영역 확장, 우주 개발 투자의 확대, 민간 우주산업 창출 등을 목표로 세웠으며 2024년 5월 우주항공분야의 정책수립, 연구개발 및 산업진흥업무를 담당 할 우주항공청을 출범하였다. 또한 정부는 우주개발 투자에 2027년 1조5,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2045년까지 약 100조 원을 투자 할 계획이다.

첨단항공 산업은 컴퓨터, 정밀기계, 통신, 전자 및 신소재 등 첨단기술이 응용되고 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기술선도 형 산업으로 전통 항공제조 산업 외에 활용성과 중요성이 부상하고 있는 드론과 이의 응용을 통해 파생된 UAM 등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어, 첨단항공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 항공산업 시장은 2022년 2조 8천억 달러에서 2030년 4조 5천억 달러로 향후 20년간 연평균 4.7% 성장 전망으로 선진국(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이 시장을 주도 다른 산업으로의 파급효과와 고용창출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세계 드론시장은 2022년 266억 달러에서 2030년 557억 달러로 전망, 상업용 드론 시장의 활용분야가 확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세계 드론시장 7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25년까지 상용화 성공모델 20개발굴 및 국내시장규모를 1조원으로 확대 할 목표로 중장기 드론정책 추진 및 분야별 투자를 실행하고 있다.

UAM은 도심 교통 혼잡과 탄소배출을 해결할 신개념 교통수단으로서 도심항공교통(UAM)이 미래 공중 모빌리티의 핵심 축이 될 전망이다. 세계 UAM 시장규모는 2026년 1,560억 달러에서 2030년 3,220억 달러, 2040년 1조4,740억 달러로 연평균 30.7%의 성장을 Morgan Stanley에서 전망 하였고, 2040년 이후 모빌리티 산업이 변곡점에 도달할 경우 2050년 시장가치는 9조 달러에서 18조9천억 달러로 성장을 예측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우주ㆍ첨단항공 산업의 시장 및 기술개발현황과 국가가 주도하는 주요 전략 품목별 로드맵을 기술하였으며, 보고서 구성은 1장에서는 우주산업 시장 환경 분석, 2장에서는 우주산업 전략품목 시장 분석, 3장에서는 첨단항공 관련 산업별 시장 환경 분석을 주요 내용으로 기술하였다.

이에 당사는 시장이 급변하는 “국내외 우주ㆍ첨단항공 산업동향과 전략품목별 기술 및 시장전망” 보고서를 통해 관련 시장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업자, 마케팅 기획자, 연구개발 종사자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2024년 8월
(주)미래산업리서치 산업정보분석센터

목차

Ⅰ. 우주산업 시장 환경 분석 35

1. 우주산업 개요 35
1-1. 우주산업의 정의 35
1) 우주산업의 정의 및 범위 35
(1) 우주산업의 정의 35
(2) 우주산업의 범위 36
2) 우주산업의 특징 37
1-2. 우주산업 기술 분류체계 및 국내외 현황 39
1) 우주산업 기술 분류체계 39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39
(2) 산업자원통상부(산업기술분류표) 40
(3) 기획재정부(신성장·원천기술의 범위) 40
(4) 기타(미래유망 신기술(6T) 분류) 41
2) 우주산업 국내외 현황 42
(1) 해외 현황 42
(2) 국내 현황 42

2. 우주산업 국내외 정책동향 44
2-1. 우주산업 글로벌 주요국가 정책동향 44
1) 미국 44
(1) 위성체 제작 및 위성활용 48
(2) 발사체 제작 및 발사 서비스 51
(3) 우주탐사 및 과학연구 52
2) EU 57
(1) 위성체 제작 및 위성활용 60
(2) 발사체 제작 및 발사서비스 65
(3) 우주탐사 및 과학연구 66
3) 중국 69
(1) 위성체 제작 및 위성활용 75
(2) 발사체 제작 및 발사서비스 79
(3) 우주탐사 및 과학연구 82
4) 러시아 84
(1) 위성체 제작 및 위성활용 88
(2) 발사체 제작 및 발사 서비스 90
(3) 우주탐사 및 과학연구 91
5) 인도 93
(1) 위성체 제작 및 위성활용 95
(2) 발사체 제작 및 발사 서비스 96
(3) 우주탐사 및 과학연구 97
6) 일본 100
(1) 위성체 제작 및 위성활용 103
(2) 발사체 제작 및 발사서비스 105
(3) 우주탐사 및 과학연구 106
2-2. 국내 우주산업 정책 동향 108
1) 국내 우주개발 비전 및 추진전략 108
2) 우주개발 세부 추진계획 110
(1)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 촉진 110
(2) 선도형 우주개발 거버넌스 구축 115
(3) 우주경제 시대에 필요한 전문 인력 확보 118
(4) 글로벌 우주개발 협력에서 역할 강화 및 국격 제고 122
(5) 우주를 통한, 우주를 위한 안보 체계 확립 124
3) 우주 항공 향후 실행계획 및 로드맵 127
(1) ‘우주경제 기반구축’ 추진일정(안) 127
(2) ‘첨단 우주기술 확보’ 추진 로드맵 130

3. 국내외 우주산업 기술개발 및 사례 132
3-1. 국내외 우주산업 기술개발 동향 132
3-2. 국내 첨단 우주기술 중장기 확보 계획 143
1) 차세대 우주 추진 시스템 개발 143
(1) 중장기 발사체 개발 및 운영 전략 143
(2) 누리호 신뢰성 확보를 위한 반복 발사 및 성능 개선(’22~) 143
(3) 우주탐사 등 대형 우주수송을 위한 차세대발사체 개발(’23~’32) 145
(4) 발사수요 증대에 대응한 효율적인 소형 발사체 개발(’22~’28) 145
(5) 재사용 및 심우주탐사용 등 미래 우주수송 선행연구 지원 146
(6) 우주항(Spaceport)으로 나아가는 발사장 인프라 확충 147
2) 위성 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 148
(1) 중장기 위성 개발 추진방향 148
(2) 국민체감 서비스 향상을 위한 저궤도 지구관측 역량 고도화 149
(3)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프라 KPS 위성 개발 150
(4) 차세대 통신 선도를 위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150
(5) 정지궤도 위성 기반 국민생활 서비스 강화 151
(6) 우주부품·소자 등 검증용 플랫폼 확보 및 핵심기술 개발 151
(7) 우주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큐브(~10kg)·초소형위성(10~30kg) 개발 152
(8) 위성정보 활용 서비스 발굴 지원 및 공공서비스 고도화 153
3) 우주탐사 역량 강화 및 우주과학 연구 확대 154
(1) 국내 우주탐사 장기전략 수립 154
(2) 달 탐사의 본격 시작 154
(3) 화성 탐사의 준비 156
(4) 소행성 탐사 준비 157
(5) 유인탐사 기술 확보를 위한 선행연구 착수 158
(6) 우주를 탐구하는 우주과학 연구의 확대 159
(7) 우주를 통한 과학기술 혁신의 촉진 160
3-3. 국내 우주산업 분야 기술개발 사례 162
3-4. 우주산업 분야 표준화 동향 163

4. 국내외 우주산업 주요기업 동향 164
4-1. 해외 주요 위성제조 주요기업 동향 164
4-2. 해외 주요 발사체 주요기업 동향 166
4-3. 국내 주요 발사체 주요기업 동향 167

5. 글로벌 우주산업 시장동향 및 전망 168
5-1. 세계 우주산업 시장동향 및 전망 168
1) 세계 우주산업 시장동향 및 전망 168
(1) 세계 우주산업 시장전망 168
(2) 세계 우주산업 시장동향 171
(3) 우주산업 패러다임 전환 173
2) 세계 위성체 제작 시장(상업용) 176
3) 세계 발사체 제작 및 발사 서비스 시장(상업용) 178
4) 지상장비 시장(상업용) 181
5) 세계 위성활용 서비스 시장 182
6) 세계 원격탐사 시장 183
5-2. 국내 우주산업 시장동향 및 전망 185
1) 국내 우주분야 연도별 매출현황 185
2) 국내 우주산업 분야별 기업체 매출현황 186
3) 국내 우주산업 기업 규모별 매출액 추이 189
4) 국내 우주산업 매출 비중별 분포 190
5) 우주산업 기업별/인력별 우주 매출액 191
6)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액 상위 기업 192
7) 우주산업 지역별 우주 매출액 193
8) 국내 총생산액과 우주산업 매출액 추이 193
9) 국내 우주산업 우주분야 수출입현황 194
(1) 수출현황 194
(2) 수입현황 195
10) 국내 우주산업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율 197
11) 국내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198
12) 국내 우주개발 예산(2024년) 199

Ⅱ. 우주산업 전략품목 시장 분석 203

1. 위성체 산업분석 203
1-1. 위성체 개요 203
1) 위성체 정의 203
2) 위성체 기술개발 필요성 205
3) 위성체 산업구조 208
4) 위성체 용도별 분류 209
1-2. 위성체 산업 시장현황 및 전망 212
1) 위성체 산업 시장현황 212
2) 위성체 산업 시장 전망 214
(1) 세계 위성체 산업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14
(2) 국내 위성체 산업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18
1-3. 국내외 위성체 기술개발 동향 220
1-4. 주요국가의 위성체 기술개발 동향 226
1) 북미 226
2) 유럽 227
3) 한국 228
1-5. 국내 위성체 연구기관 및 기술개발 동향 231
1) 국내 위성체 연구기관 231
2) 위성체 관련 기관별 기술개발 동향 231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31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32
(3) 카이스트 인공위성 연구센터 233
(4) 한국재료연구원 235
(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36
1-6. 위성체 분야 전략품목 특허분석 237
1)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특허분석 237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37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38
(3) 특허분석 종합 240
2) 위성용 대형 광학계 특허분석 241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41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42
(3) 특허분석 종합 244
3) 고성능 위성 중계기 특허분석 245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45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46
(3) 특허분석 종합 248
4)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특허분석 249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49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50
(3) 특허분석 종합 252
5) 고성능 데이터 통신 모듈 특허분석 253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53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54
(3) 특허분석 종합 256
6)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특허분석 257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57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58
(3) 특허분석 종합 260
7)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특허분석 261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61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62
(3) 특허분석 종합 264
8) 고정밀 관성 측정 장비 특허분석 265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65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66
(3) 특허분석 종합 268
9) 위성용 배터리 특허분석 269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69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270
(3) 특허분석 종합 272
1-7. 국내 위성체 분야 전략품목 핵심기술별 동향 273
1)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핵심기술 선정 273
(1) 위성용 전력공급 모듈 설계 기술 273
(2) 배터리 방전 레귤레이터 제조 기술 274
(3) 배터리 충전 레귤레이터 제조 기술 274
(4) 전압조절기 제조 기술 274
(5)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기술개발 로드맵 275
2) 위성용 대형 광학계 핵심기술 선정 276
(1) 초고해상도 대형미러 정밀 가공기술 276
(2) 대형미러 지지구조체 제조 기술 277
(3) 대형광학계 정밀 조립 기술 277
(4) 대형미러 표면 정밀도 향상 기술 277
(5) 광학·적외선 카메라 성능 고도화 기술 278
(6) 환경변화 대응 성능 유지 기술 278
(7) 위성용 대형광학계 기술개발 로드맵 278
3) 고성능 위성 중계기 핵심기술 선정 280
(1) RF-프론트엔드 제조 기술 280
(2) Digital IF 제조 기술 280
(3) 고성능 위성 중계기 기술개발 로드맵 281
4)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핵심기술 선정 282
(1) 레이저 송수신 정밀도 향상 기술 283
(2) 레이저 집중도 향상 기술 283
(3) 통신 신호 손실 방지 기술 283
(4) 통신 링크 안정성 확보 기술 284
(5) 통신 시스템 유지·관리 기술 284
(6) 레이저통신용 광학계 제조 기술 284
(7) 초고속 통신 기술 285
(8) 송수신 데이터 보안성 향상 기술 285
(9)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기술개발 로드맵 285
5) 고성능 데이터 통신 모듈 핵심기술 선정 287
(1) 트래픽 고속 처리기술 287
(2) GaN 반도체 기반 프론트엔드 제조기술 287
(3) 초고속 데이터 전송기술 288
(4) 고성능 데이터 통신 모듈 기술개발 로드맵 288
6)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핵심기술 선정 289
(1) Packet Switiching 기술 289
(2) 광대역 채널라이져 제조 기술 290
(3) 위성 통신 핸드오버 기술 290
(4)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기술개발 로드맵 290
7)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핵심기술 선정 291
(1) FPGA 보드 제조 기술 292
(2) 메모리 확장·관리 기술 292
(3) 소프트웨어 기반 위성 제어기술 292
(4) 데이터 관리·최적화 기술 293
(5) 지상 전송 영상정보 효율향상 기술 293
(6)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기술개발 로드맵 293
8) 고정밀 관성 측정 장비 핵심기술 선정 294
(1) 자세 오류 교정 기술 295
(2) 위치 추정 오차 최소화 기술 295
(3) 고정밀 관성 측정 장비 기술개발 로드맵 295
9) 위성용 배터리 핵심기술 선정 296
(1) 배터리 셀 전위차 제어 기술 296
(2) 배터리 셀 온도 제어 기술 296
(3) 위성용 배터리 기술개발 로드맵 297

2. 발사체 산업 분석 298
2-1. 발사체 개요 298
1) 발사체 정의 298
2) 발사체 기술개발 필요성 300
3) 발사체 산업구조 301
4) 발사체 용도별 분류 302
2-2. 발사체 산업 시장현황 및 전망 304
1) 발사체 산업 시장현황 304
2) 발사체 산업 시장 전망 305
(1) 세계 발사체 산업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305
(2) 국내 발사체 산업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310
2-4. 국내외 발사체 기술개발 동향 312
2-5. 주요국의 발사체 기술개발동향 316
1) 미국 316
2) EU 319
3) 중국 321
4) 일본 322
5) 한국 323
2-6. 국내 발사체 연구기관 및 기술개발 동향 326
1) 국내 발사체 연구개발 기관 326
2) 발사체 관련 기관별 기술개발 동향 326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26
(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26
2-7 발사체 분야 전략품목 특허분석 327
1)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특허분석 327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327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328
(3) 특허분석 종합 330
2)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특허분석 331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331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332
(3) 특허분석 종합 334
3)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특허분석 335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335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336
(3) 특허분석 종합 338
4) 우주발사체용 밸브 특허분석 339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339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340
(3) 특허분석 종합 342
5) 우주발사체용 배관 특허분석 343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343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344
(3) 특허분석 종합 346
2-8. 국내 발사체 분야 전략품목 핵심기술별 동향 347
1)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핵심기술 선정 347
(1) 저장 탱크 제조 기술 347
(2) 저장 탱크 복합재 최적화 기술 348
(3)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기술개발 로드맵 348
2)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핵심기술 선정 349
(1) 비접촉 실 제조 기술 349
(2) 유체 누설 최소화 기술 350
(3) 내구성 확보 기술 350
(4) 코팅 도료 제조·적용 기술 351
(5)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기술개발 로드맵 351
3)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핵심기술 선정 353
(1) 베어링 소재 경도 확보 기술 353
(2) 베어링 정밀 가공 기술 354
(3) 베어링 리테이너용 복합 플라스틱 정밀 가공 기술 354
(4) 베어링 정밀도 확보 플랫폼 구축 기술 355
(5)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기술개발 로드맵 355
4) 우주발사체용 밸브 핵심기술 선정 357
(1) 극한 환경 밸브 제작·시험기술 357
(2) 유체 누설 최소화 기술 358
(3) 솔레노이드 밸브 제조 기술 358
(4) 우주발사체용 밸브 기술개발 로드맵 358
5) 우주발사체용 배관 핵심기술 선정 360
(1) 복합재 활용 배관류 제조 기술 360
(2) 복잡 형상 배관류 제조 기술 361
(3) 우주발사체용 배관 기술개발 로드맵 361

Ⅲ. 첨단항공 관련 산업별 시장 환경 분석 365

1. 첨단항공 산업 개요 365
1-1. 첨단항공 산업 정의 365
1-2. 첨단항공 산업 필요성 370
1-3. 첨단항공 산업 범위 및 분류 374
1) 첨단항공 산업 범위 374
(1) 항공기 375
(2) 항공MRO 375
(3) 드론 377
(4) UAM 378
2) 첨단항공의 용도별 분류 382
(1) 항공기 382
(2) 드론 382
(3) UAM 384
1-4. 첨단항공 산업의 특징 및 구조 391

2. 첨단항공 산업 국내외 정책동향 393
2-1. 글로벌 국가의 첨단항공 산업 정책동향 393
1) 미국 393
2) EU 394
3) 일본 395
4) 중국 396
2-2. 국내 첨단항공 산업 정책동향 402
1) 국내 항공산업 정책동향 402
2) MRO 정책 404
2-3. 국내외 UAM 관련 정책동향 408
1) 해외 UAM 관련 정책동향 408
(1) 미국 408
(2) 유럽 410
(3) 중국 412
(4) 일본 412
(5) 싱가포르 413
2) 국내 UAM 관련 정책동향 414

3. 첨단항공 산업 기술개발 및 개발사례 420
3-1. 첨단항공분야 기술개발 필요성 420
3-2. 첨단항공 산업 기술개발 동향 423
1) 친환경 항공기 423
2) UAM 423
(1) UAM 기술개발 이슈 425
(2) UAM 세부분야별 기술 동향 428
(3) 해외 UAM 기체 기술개발 동향 429
(4) 해외 UAM 인프라 기술개발 동향 438
(5) 해외 UAM 항행·교통관리 기술개발 동향 442
(6) 국내 도심항공교통 기술로드맵 총괄 444
(7) 국내 도심항공교통 중점추진 기술별 기술로드맵 447
(8) 국내 UAM 기체 기술개발 동향 456
(9) 국내 UAM 인프라 기술개발 동향 458
(10) 국내 UAM 항행・교통관리 기술개발 동향 460
3) 친환경 MRO 463
4) 드론 467
(1) 드론 유망기술 이슈 468
(2) 해외 드론관련 연구기관 및 단체 현황 475
(3) 해외 주요 드론 비행시험장 476
(4) 글로벌 주요 드론 기업 현황 484
(5) 국내 드론 실증도시 주요사업 현황(2024년) 487
(6) 국내 드론 상용화 지원 사업 주요사업(2024년) 489
5)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전기추진 시스템과 수소터빈엔진 490
3-3. 첨단항공 산업 표준화 동향 492
1) UAM 표준화 동향 492
2) 드론 표준화 동향 493
3-4. 국내 첨단항공 기술개발사례 495
3-5. 국내 첨단항공분야 정부출연기관 기술개발동향 496

4. 국내외 첨단항공 산업 기업동향 497
4-1. 국내외 첨단항공 기업동향 497
1) 해외 첨단항공 주요기업동향 497
(1) 미국 항공 주요기업동향 497
(2) 유럽 항공 주요기업동향 499
(3) 중국 항공 주요기업동향 499
2) 국내 첨단항공 주요기업동향 508
4-2. 국내외 UAM 국가 프로젝트 동향 510
1) 해외 UAM 국가 프로젝트 동향 510
(1) 미국 510
(2) 유럽 512
(3) 일본 514
(4) 중국 515
(5) 싱가포르 516
(6) 기타국가 516
2) 국내 UAM 국가 프로젝트 동향 517

5. 첨단항공 산업 분야별 시장 전망 519
5-1. 세계 항공산업 분야별 시장전망 519
1) 세계 항공산업 시장동향 및 전망 519
(1) 세계 항공기 제조 시장전망 521
(2) 세계 MRO 시장전망 522
2) 세계 드론산업 시장전망 526
(1) 세계 드론 시장전망 526
(2) 세계 상업용 드론시장전망 526
(3) 세계 드론 활용분야별 시장전망 529
(4) 세계 드론 산업분야별 시장전망 531
(5) 세계 레저용 드론 시장전망 541
3) 세계 UAM 시장 전망 542
(1) 세계 UAM 시장전망 542
(2) 세계 UAM 부문별 시장전망 543
(3) 세계 UAM 지역별 시장전망 543
(4) UAM 기체 주문 현황 544
4) 세계 항공관련 전략 품목별 시장전망 545
(1) 세계 AAM용 장비 부품 시장전망 545
(2) 세계 항공전자시스템 시장전망 545
(3) 세계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시장전망 545
(4) 세계 무인비행체 통합관제시스템 시장전망 546
(5) 세계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시장전망 546
5-2. 국내 항공산업 분야별 시장전망 547
1) 국내 항공산업 시장전망 547
2) 국내 MRO 시장전망 548
3) 국내 드론 시장전망 549
4) 국내 UAM 시장전망 551
(1) 국내 UAM 시장전망 551
(2) 국내 UAM 플랫폼 및 인프라 시장전망 553
5) 국내 항공 관련 전략 품목별 시장전망 554
(1) 국내 AAM용 장비 부품 시장전망 554
(2) 국내 항공전자시스템 시장전망 554
(3) 국내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시장전망 554
(4) 국내 무인비행체 통합관제시스템 시장전망 555
(5) 국내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시장전망 555

6. 첨단항공 전략품목별 특허분석 556
6-1. AAM용 장비·부품 특허분석 556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556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557
3) 특허분석 종합 559
6-2. 항공전자시스템 특허분석 560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560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561
3) 특허분석 종합 563
6-3.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특허분석 564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564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565
3) 특허분석 종합 567
6-4.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특허분석 568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568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569
3) 특허분석 종합 571
6-5.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특허분석 572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572
2) 특허출원인 동향 분석 573
3) 특허분석 종합 575

7. 첨단항공 전략품목별 로드맵 576
7-1. AAM용 장비·부품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578
1) 수직이착륙 유·무인기 제조 기술 579
2) 분산전기추진 시스템 제조 기술 579
3) 고강도 경량금속 활용 부품 제조 기술 579
4) AAM용 장비·부품 기술개발 로드맵 580
7-2. 항공전자시스템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581
1) 자동 이착륙 통합 제어 기술 582
2) 항공 운항안전 통합 제어 기술 582
3) 소형·경량 일체형 비행 제어 모듈 제조 기술 583
4) 항공전자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584
7-3.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585
1) 150kW급 모터 제조 기술 586
2) 다중 모터 제어 기술 586
3) 배터리 급속 충전 기술 586
4) Hybrid 추진시스템 구축 기술 587
5) 고성능 프로펠러 제조 기술 587
6)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588
7-4.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589
1) 소형무인기용 항공 운항안전 통합 제어 기술 590
2) 소형무인기용 GPS 재밍 대응 비행제어 기술 590
3)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591
7-5.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592
1) 고성능 재생타이어 제조 기술 593
2) 순환 부품 적용 안전벨트 신뢰성 유지 기술 593
3) AR 시뮬레이터 기반 항공정비 교육 기술 593
4)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기술개발 로드맵 594
7-6. 국내 첨단항공 산업 전략품목 로드맵 595










표 목차



Ⅰ. 우주산업 시장 환경 분석 35

〈표1-1〉 정책관점의 우주산업 범위 및 분류 36
〈표1-2〉 우주기술 스핀오프 사례 38
〈표1-3〉 우주산업 가치사슬 38
〈표1-4〉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39
〈표1-5〉 산업기술분류표의 우주항공 산업 40
〈표1-6〉 기획재정부(신성장·원천기술의 범위) 40
〈표1-7〉 미래유망기술신기술(6T) 분류표 상 우주ㆍ항공 산업 41
〈표1-8〉 미국 민간/상업 분야 주요 우주정책 현황 48
〈표1-9〉 EU The Agenda 2025의 주요 내용 57
〈표1-10〉 우주를 활용한 주요 사회적 과제 해결을 위한 단기 선결과제 58
〈표1-11〉 “Regulation for a Space Programme for the EU” 분야별 주요 목표 59
〈표1-12〉 Terra Novae 2030+ 전략 로드맵 상의 목표 66
〈표1-13〉 14차 5개년 계획 기간 중국 우주사업 계획 70
〈표1-14〉 2021년 중국 우주 백서 상의 우주산업 주요 변화 사례 72
〈표1-15〉 중국의 우주개발 주요 수행기관 현황 74
〈표1-16〉 중국의 원격탐사 위성 시리즈 76
〈표1-17〉 중국의 우주발사체 개발 현황 81
〈표1-18〉 러시아 달 탐사 프로그램(‘10∼‘29) 87
〈표1-19〉 러시아가 운영 중인 민간분야 통신위성의 종류 88
〈표1-20〉 러시아가 운영 중인 민간분야 통신위성의 종류 88
〈표1-21〉 일본 「2020 우주기본계획」과 「2023 우주기본계획」의 주요내용 비교 102
〈표1-22〉 제2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내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 109
〈표1-23〉 우주항공청의 주요 특징 및 기능(안) 116
〈표1-24〉 한국의 로켓 개발 현황 140
〈표1-25〉 정부 개발 발사체 운용/서비스 전략 143
〈표1-26〉 차세대 발사체 운용 145
〈표1-27〉 소형 발사체 운용 146
〈표1-28〉 미래 우주수송 선행연구 146
〈표1-29〉 발사장 인프라 구축(안) 147
〈표1-30〉 저궤도 지구관측위성 개발 계획(안) 149
〈표1-31〉 KPS 위성 개발 계획(안) 150
〈표1-32〉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 계획(안) 150
〈표1-33〉 정지궤도 위성 개발 151
〈표1-34〉 분야별 핵심 선도기술 개발수요(예) 152
〈표1-35〉 달 탐사 진행계획(안) 156
〈표1-36〉 화성 탐사 임무(안) 157
〈표1-37〉 화성 궤도선 및 착륙선 개발 계획(안) 157
〈표1-38〉 유인탐사임무·전략에 따라 필요한 선행·기초연구 사업계획 158
〈표1-39〉 국내 우주산업 기술개발 사례 162
〈표1-40〉 해외 주요 위성제조 주요기업동향 164
〈표1-41〉 해외 주요 발사체 주요기업 동향 166
〈표1-42〉 국내 주요 발사체 주요기업 동향 167
〈표1-43〉 조사기관별 우주산업 시장 규모 예측 결과 168
〈표1-44〉 상업우주 시대에 따른 NASA의 역할 변화 174
〈표1-45〉 초기 NASA 프로그램 수혜 기업 174
〈표1-46〉 세계 상업용 원격탐사 군집위성 시스템 구축 현황(2023년 1월 말 기준) 184
〈표1-47〉 2022년 우주산업 참여 기업체의 분야별 매출현황 188
〈표1-48〉 2022년 우주산업 기업 규모별 매출액 189
〈표1-49〉 2022년 우주산업 매출 비중별 분포(기업체) 190
〈표1-50〉 2022년 우주산업 기업별/인력별 우주 매출액(기업체) 191
〈표1-51〉 2022년 우주산업 분야별 우주 매출액 상위 기업(기업체) 192
〈표1-52〉 국내 총생산액과 우주산업 매출액 추이(기업체) 193
〈표1-53〉 우주산업 연도별 수출입현황(기업체) 194
〈표1-54〉 국내 우주산업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율(기업체) 197
〈표1-55〉 국내 우주산업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율(기업체) 198
〈표1-56〉 국내 ‘24년 우주산업 임무별 예산(단위: 백만 원) 199

Ⅱ. 우주산업 전략품목 시장 분석 203

〈표2-1〉 위성체 산업구조 208
〈표2-2〉 각 국의 위성항법시스템 보유현황(`22. 12월 기준) 209
〈표2-3〉 지구관측 위성의 분류 210
〈표2-4〉 5년간 신규 인공위성 발사 현황 214
〈표2-5〉 위성체 제작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6
〈표2-6〉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관련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6
〈표2-7〉 위성용 대형 광학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6
〈표2-8〉 고성능 위성 중계기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7
〈표2-9〉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7
〈표2-10〉 고성능 데이터 통신 모듈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7
〈표2-11〉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7
〈표2-12〉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8
〈표2-13〉 고정밀 관성측정 장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8
〈표2-14〉 위성용 배터리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218
〈표2-15〉 누리호 발사 일정 및 위성탑재 계획 219
〈표2-16〉 위성체 관련 주요 연구조직 현황 231
〈표2-17〉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장치 핵심기술 273
〈표2-18〉 위성용 대형 광학계 핵심기술 276
〈표2-19〉 고성능 위성 중계기 핵심기술 280
〈표2-20〉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핵심기술 282
〈표2-21〉 고성능 데이터 통신 모듈 핵심기술 287
〈표2-22〉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핵심기술 289
〈표2-23〉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핵심기술 291
〈표2-24〉 고정밀 관성 측정 장비 핵심기술 294
〈표2-25〉 위성용 배터리 핵심기술 296
〈표2-26〉 발사체 산업구조 302
〈표2-27〉 우주발사체 발사비용 추이 304
〈표2-28〉 우주 발사체의 지구 저궤도(LEO) 수송 능력 304
〈표2-29〉 ‘24년 내 중국의 주요 발사기록 307
〈표2-30〉 세계 발사체 발사 횟수(‘18∼‘22) 308
〈표2-31〉 세계 발사체 제작 시장규모 및 전망 308
〈표2-32〉 세계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시장규모 및 전망 309
〈표2-33〉 세계 우주발사체용 밸브 시장규모 및 전망 309
〈표2-34〉 세계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시장규모 및 전망 309
〈표2-35〉 세계 우주발사체용 비접촉실 시장규모 및 전망 309
〈표2-36〉 국내 발사체 발사계획 현황 310
〈표2-37〉 국내 발사체 제작 시장규모 및 전망 310
〈표2-38〉 국내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시장규모 및 전망 311
〈표2-39〉 국내 우주발사체용 밸브 시장규모 및 전망 311
〈표2-40〉 국내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시장규모 및 전망 311
〈표2-41〉 국내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시장규모 및 전망 311
〈표2-42〉 국내 우주발사체용 배관 시장규모 및 전망 312
〈표2-43〉 우주 발사체 발사 비용 추이 314
〈표2-44〉 미국의 주요 발사체 개발현황 316
〈표2-45〉 EU의 주요 발사체 개발현황 321
〈표2-46〉 중국의 주요 발사체 개발 기업현황 321
〈표2-47〉 발사체 관련 주요 연구조직 현황 326
〈표2-48〉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핵심기술 347
〈표2-49〉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핵심기술 349
〈표2-50〉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핵심기술 353
〈표2-51〉 우주발사체용 밸브 핵심기술 357
〈표2-52〉 우주발사체용 배관 핵심기술 360

Ⅲ. 첨단항공 관련 산업별 시장 환경 분석 365

〈표3-1〉 UAM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현황 371
〈표3-2〉 항공제조산업 가치사슬 375
〈표3-3〉 항공MRO의 세부 부문별 특징 377
〈표3-4〉 드론 가치사슬 378
〈표3-5〉 UAM 가치사슬 381
〈표3-6〉 UAM 기체분류 방식 385
〈표3-7〉 항공산업 가치사슬 392
〈표3-8〉 중국의 시대별 항공산업 발전내용 396
〈표3-9〉 항공기 각 부품별 주요 육성 기술 397
〈표3-10〉 각 육성 분야별 핵심부품 397
〈표3-11〉 중국 주요 항공물류단지 발전현황 400
〈표3-12〉 중국민간용항공국 일반현황 400
〈표3-13〉 중국 항공 산업협회 401
〈표3-14〉 4대 전략 및 12대 추진과제 403
〈표3-15〉 드론분야 선제적 규제혁파 시나리오 414
〈표3-16〉 드론분야 선제적 규제혁파 개요 415
〈표3-17〉 UAM 팀코리아 운영체계 개편방안 415
〈표3-18〉 주요 틸트엑스 기체별 성능 비교 432
〈표3-19〉 UAM을 위한 주요 기체개발 현황 437
〈표3-20〉 ATM/UATM/UTM 비교 설명 460
〈표3-21〉 미국의 드론시험장 478
〈표3-22〉 프랑스의 드론시험장 479
〈표3-23〉 영국, 독일, 스페인의 드론시험장 481
〈표3-24〉 중국, 일본, 인도의 드론시험장 482
〈표3-25〉 호주, 남아프리카의 드론시험장 482
〈표3-26〉 DJI 기업 현황 484
〈표3-27〉 Parrot 기업 현황 485
〈표3-28〉 AeroVironment 기업 현황 486
〈표3-29〉 EASA의 eVTOL 항공안전 규정 493
〈표3-30〉 FAA의 원격 식별 메시지 최소 성능 요구사항 494
〈표3-31〉 유럽 규정 2019/945 및 947의 드론분류 체계 및 시스템 운용 요구사항 494
〈표3-32〉 국가과제 관리시스템인 NTIS에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주요과제 조사 495
〈표3-33〉 국내 첨단항공분야 정부출연기관 기술개발동향 496
〈표3-34〉 미국 항공 주요기업동향 497
〈표3-35〉 유럽의 항공 주요기업동향 499
〈표3-36〉 AVIC 기업개요 499
〈표3-37〉 AVIC 생산 공장 리스트 500
〈표3-38〉 COMAC 기업개요 500
〈표3-39〉 COMAC 협력업체 협력 내용 501
〈표3-40〉 COMAC 제작한 민용 비행기 기종 501
〈표3-41〉 에어버스 기업개요 502
〈표3-42〉 AIRBUS China 주요 생산기종 502
〈표3-43〉 AIRBUS 협력업체 리스트 503
〈표3-44〉 보잉 기업개요 504
〈표3-45〉 보잉 주요 개발 및 생산기종 504
〈표3-46〉 BOEING 중국합작 투자기업 현황 504
〈표3-47〉 중국 BOEING 자회사(100% 출자) 현황 505
〈표3-48〉 중국 BOEING 주요 협력사 현황 505
〈표3-49〉 중국 BOEING 주요 R&D 협력기관 현황 506
〈표3-50〉 BOEING사 주요 소싱 제품 및 서비스 506
〈표3-51〉 중국 항공 주요기업동향 507
〈표3-52〉 국내 첨단항공 주요기업동향 508
〈표3-53〉 세계 항공산업 시장전망 521
〈표3-54〉 세계 완제기 제조 시장전망 522
〈표3-55〉 Goodrich Aerospace Technologies(古德里奇航空技术(天津)有限公司) 524
〈표3-56〉 Bombardier(庞巴迪(天津)航空服务有限公司) 525
〈표3-57〉 북경비행기수리공정유한공사(北京飞机维修工程有限公司) 525
〈표3-58〉 중국 항공MRO 기업 525
〈표3-59〉 세계 드론시장전망 526
〈표3-60〉 세계 지역별 드론시장 성장률(2021〜2030) 527
〈표3-61〉 세계 상업용 드론 활용분야별 시장전망 529
〈표3-62〉 주요 국가별 매핑·조사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0
〈표3-63〉 주요 국가별 배송분야 드론 시장전망 530
〈표3-64〉 세계 드론 산업분야별 시장전망 531
〈표3-65〉 주요 국가별 농업분야 드론 시장전망 532
〈표3-66〉 주요 국가별 건설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3
〈표3-67〉 주요 국가별 화물·운송 및 창고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4
〈표3-68〉 주요 국가별 에너지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5
〈표3-69〉 주요 국가별 정보·영상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6
〈표3-70〉 주요 국가별 안전·보안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7
〈표3-71〉 주요 국가별 공공 비상서비스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8
〈표3-72〉 주요 국가별 건강·치료·재난 경감 분야 드론 시장전망 539
〈표3-73〉 주요 국가별 공연·오락 분야 드론 시장전망 540
〈표3-74〉 세계 레저용 드론 시장전망 541
〈표3-75〉 세계 레저용 및 사업용 드론 판매 대수전망 541
〈표3-76〉 세계 지역별 UAM 시장전망 543
〈표3-77〉 세계 AAM용 장비부품 시장규모 및 전망 545
〈표3-78〉 세계 항공전자시스템 시장규모 및 전망 545
〈표3-79〉 세계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시장규모 및 전망 546
〈표3-80〉 세계 무인비행체 통합관제시스템 시장규모 및 전망 546
〈표3-81〉 세계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시장규모 및 전망 546
〈표3-82〉 국내 항공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547
〈표3-83〉 국내 UAM 시장규모 및 전망 552
〈표3-84〉 국내 UAM 시기별 시장변화 전망 553
〈표3-85〉 전 세계 UAM 세부부문별 시장전망(非서비스 부문) 553
〈표3-86〉 국내 AAM용 장비·부품 시장규모 및 전망 554
〈표3-87〉 국내 항공전자시스템 시장규모 및 전망 554
〈표3-88〉 국내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시장규모 및 전망 554
〈표3-89〉 국내 무인비행체 통합관제시스템 시장규모 및 전망 555
〈표3-90〉 국내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시장규모 및 전망 555
〈표3-91〉 2024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을 통한 첨단항공 전략품목 577




그림 목차



Ⅰ. 우주산업 시장 환경 분석 35

〈그림1-1〉 미국의 민간/공공 부문 우주개발 관계 기관 조직도 46
〈그림1-2〉 유럽연합(EU)의 우주 분야 조직도 60
〈그림1-3〉 2000년대 이후 중국의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69
〈그림1-4〉 중국의 우주개발 관계기관 조직도 71
〈그림1-5〉 중국의 원격탐사 분야 유관기관 조직도 및 개발위성 현황 77
〈그림1-6〉 러시아의 우주개발 관련기관 조직도 86
〈그림1-7〉 ILRS 구축 로드맵 87
〈그림1-8〉 인도의 우주개발 관련기관 조직도 94
〈그림1-9〉 일본의 우주개발 관련기관 조직도 100
〈그림1-10〉 국내 우주개발 비전 및 추진전략 108
〈그림1-11〉 분야별 단계적 전환 추진(예) 110
〈그림1-12〉 위성 서비스 시장의 확대 방향 111
〈그림1-13〉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 115
〈그림1-14〉 공공-민간 우주개발 역할 변화 방향 117
〈그림1-15〉 ‘첨단 우주기술 확보’ 추진 로드맵 - 발사체 130
〈그림1-16〉 ‘첨단 우주기술 확보’ 추진 로드맵 - 우주탐사 130
〈그림1-17〉 ‘첨단 우주기술 확보’ 추진 로드맵 - 위성 131
〈그림1-18〉 3D프린터로 제작한 EAS의 프로메테우스 로켓 엔진 133
〈그림1-19〉 Transparent 위성을 위한 통신 138
〈그림1-20〉 Regenerative 위성을 위한 통신 139
〈그림1-21〉 Falcon Heavy의 사이드 부스터의 착륙장면과 Blue Origin의 New Shepard 141
〈그림1-22〉 누리호 반복발사 및 탑재 위성 계획(안) 144
〈그림1-23〉 위성 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 및 대응전략 148
〈그림1-24〉 글로벌 우주경제규모 성장 전망 171
〈그림1-25〉 2022년 전 세계 우주산업 분야별 경제 규모 172
〈그림1-26〉 최근 10년간 전 세계 위성 산업 성장 추이 173
〈그림1-27〉 스페이스X의 발사체 175
〈그림1-28〉 스페이스X 주요 이벤트와 기업가치 176
〈그림1-29〉 연도별 세계 위성체 제작 시장규모 177
〈그림1-30〉 2022년 위성체 제작 세부 분야별 시장 비중 178
〈그림1-31〉 세계 상업용 위성 발사체 시장규모 추이 179
〈그림1-32〉 국가별 세계 상업용 위성 발사 서비스 주문 수주 현황 180
〈그림1-33〉 세계 상업용 위성 발사체 시장규모(2018∼2022) 182
〈그림1-34〉 세계 위성활용 서비스 시장규모(2018∼2022) 183
〈그림1-35〉 국내 연도별 우주분야 매출현황 185
〈그림1-36〉 국내 우주산업 매출규모별 기업 분포 186
〈그림1-37〉 국내 우주산업 기업체 분야별 매출현황 186
〈그림1-38〉 국내 우주산업 연도/분야별 우주산업 매출현황 187
〈그림1-39〉 국내 우주산업 지역별 우주 매출액 추이(기업체) 193
〈그림1-40〉 국내 우주산업 분야별 수출현황 194
〈그림1-41〉 국내 우주산업 국가별 수출현황 195
〈그림1-42〉 국내 우주산업 분야별 수입현황(기업체) 196
〈그림1-43〉 국내 우주산업 국가별 수입현황(기업체) 196

Ⅱ. 우주산업 전략품목 시장 분석 203

〈그림2-1〉 위성궤도별 주요특성 204
〈그림2-2〉 통신서비스의 패러다임과 세대별 변화 208
〈그림2-3〉 소형위성 변화(2010∼2029) 212
〈그림2-4〉 소형위성 운용분야별 비교 213
〈그림2-5〉 분야별 소형위성수요 전망(2010∼2029) 213
〈그림2-6〉 위성 발사 건수 214
〈그림2-7〉 위성 크기별 발사 건수와 용도별 발사비중 215
〈그림2-8〉 위성 수요 예측 215
〈그림2-9〉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개념도 225
〈그림2-10〉 개발된 산화물 금속화층 기반 중고온 열전소자 232
〈그림2-11〉 다목적 실용위성 232
〈그림2-12〉 정지궤도 복합위성 233
〈그림2-13〉 우리별 위성 233
〈그림2-14〉 과학기술위성 234
〈그림2-15〉 차세대 소형위성 234
〈그림2-16〉 초소형위성 군집 시스템 개발 235
〈그림2-17〉 차세대중형위성 1호에 사용된 주 반사경 236
〈그림2-18〉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37
〈그림2-19〉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38
〈그림2-20〉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연도별 출원인 건수 238
〈그림2-21〉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주요 출원인 239
〈그림2-22〉 위성용 대형 광학계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41
〈그림2-23〉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42
〈그림2-24〉 연도별 출원인 건수 242
〈그림2-25〉 위성용 대형 광학계 주요 출원인 243
〈그림2-26〉 고성능 위성 중계기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45
〈그림2-27〉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46
〈그림2-28〉 연도별 출원인 건수 246
〈그림2-29〉 고성능 위성 중계기 주요 출원인 247
〈그림2-30〉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49
〈그림2-31〉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50
〈그림2-32〉 연도별 출원인 건수 250
〈그림2-33〉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주요 출원인 251
〈그림2-34〉 고성능 데이터 통신 모듈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53
〈그림2-35〉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54
〈그림2-36〉 연도별 출원인 건수 254
〈그림2-37〉 고성능 데이터 통신 모듈 주요 출원인 255
〈그림2-38〉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57
〈그림2-39〉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58
〈그림2-40〉 연도별 출원인 건수 258
〈그림2-41〉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주요 출원인 259
〈그림2-42〉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61
〈그림2-43〉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62
〈그림2-44〉 연도별 출원인 건수 262
〈그림2-45〉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주요 출원인 263
〈그림2-46〉 고정밀 관성 측정 장비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65
〈그림2-47〉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66
〈그림2-48〉 연도별 출원인 건수 266
〈그림2-49〉 고정밀 관성 측정 장비 주요 출원인 267
〈그림2-50〉 위성용 배터리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269
〈그림2-51〉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270
〈그림2-52〉 연도별 출원인 건수 270
〈그림2-53〉 위성용 배터리 주요 출원인 271
〈그림2-54〉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기술개발 로드맵 275
〈그림2-55〉 위성용 대형광학계 기술개발 로드맵 279
〈그림2-56〉 고성능 위성 중계기 기술개발 로드맵 281
〈그림2-57〉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기술개발 로드맵 286
〈그림2-58〉 위성용 레이저 통신 모듈 기술개발 로드맵 288
〈그림2-59〉 위성용 온보드 프로세서 기술개발 로드맵 291
〈그림2-60〉 위성용 고성능 온보드 컴퓨터 기술개발 로드맵 294
〈그림2-61〉 고정밀 관성 측정 장비 기술개발 로드맵 295
〈그림2-62〉 위성용 배터리 기술개발 로드맵 297
〈그림2-63〉 누리호 재원 및 비행 시퀸스 299
〈그림2-64〉 전 세계 발사체 발사 건수와 국가별 발사체 발사 건수 305
〈그림2-65〉 발사체 비용 추이 306
〈그림2-66〉 연도별 발사체별 발사 실적 306
〈그림2-67〉 스페이스 X 우주발사체의 재착륙 기술 317
〈그림2-68〉 ULA의 Vulcon 발사체의 Smart Reuse 개념 318
〈그림2-69〉 Relativity Space 3D 프린팅 적층 제조방식 319
〈그림2-70〉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327
〈그림2-71〉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328
〈그림2-72〉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연도별 출원인 건수 328
〈그림2-73〉 우주발사체용 연료 저장 탱크 주요 출원인 329
〈그림2-74〉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331
〈그림2-75〉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332
〈그림2-76〉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연도별 출원인 건수 332
〈그림2-77〉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주요 출원인 333
〈그림2-78〉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335
〈그림2-79〉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336
〈그림2-80〉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연도별 출원인 건수 336
〈그림2-81〉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주요 출원인 337
〈그림2-82〉 우주발사체용 밸브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339
〈그림2-83〉 우주발사체용 밸브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340
〈그림2-84〉 우주발사체용 밸브 연도별 출원인 건수 340
〈그림2-85〉 우주발사체용 밸브 주요 출원인 341
〈그림2-86〉 우주발사체용 배관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343
〈그림2-87〉 우주발사체용 배관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344
〈그림2-88〉 우주발사체용 배관 연도별 출원인 건수 344
〈그림2-89〉 우주발사체용 배관 주요 출원인 345
〈그림2-90〉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 제어 장치 기술개발 로드맵 348
〈그림2-91〉 우주발사체용 비접촉 실 기술개발 로드맵 352
〈그림2-92〉 우주발사체용 터보펌프 베어링 기술개발 로드맵 356
〈그림2-93〉 우주발사체용 밸브 기술개발 로드맵 359
〈그림2-94〉 우주발사체용 밸브 기술개발 로드맵 361

Ⅲ. 첨단항공 관련 산업별 시장 환경 분석 365

〈그림3-1〉 항공안전법의 항공기 분류 366
〈그림3-2〉 미래항공모빌리티 비전 이미지 367
〈그림3-3〉 드론시스템 구성요소 368
〈그림3-4〉 UAM 성장 마일스톤 371
〈그림3-5〉 글로벌 UAM 기체개발 기업현황 372
〈그림3-6〉 UAM 시장참여 주체(左) 및 산업생태계 구성도(右) 373
〈그림3-7〉 항공기 제조산업 시장구조 374
〈그림3-8〉 항공산업의 구성 376
〈그림3-9〉 UAM 운송서비스의 활용 범위 378
〈그림3-10〉 NASA의 Advanced Air Mobility 구현도 379
〈그림3-11〉 Historical development of PAV models 380
〈그림3-12〉 국내외 기업 기체 개발 형식 381
〈그림3-13〉 UAM 생태계 개념도 387
〈그림3-14〉 UAM 기체 제조 및 운영시스템 관련 핵심기술 요소 389
〈그림3-15〉 주요국의 GDP 대비 항공우주산업 비중 391
〈그림3-16〉 항공기 주요 부품별 관련 산업 392
〈그림3-17〉 6대 분야 25개 부문 100대 핵심기술 404
〈그림3-18〉 MRO 핵심기술 예시 406
〈그림3-19〉 다부처 협업 R&D 사례 406
〈그림3-20〉 국내 MRO 관련 일자리 및 항공정비자격 취득자수 전망 407
〈그림3-21〉 AAM Coordination and Leadership Act(‘21.02) 408
〈그림3-22〉 eVTOL형식증명 시 적용할 수 있는 감항기준과 인증기준 수립안(FAA) 409
〈그림3-23〉 FAA UAM ConOps 1.0(‘20.06, FAA) 410
〈그림3-24〉 VTOL 항공기와 회전익항공기(EASA) 410
〈그림3-25〉 EASA의 소형 VTOL 항공기의 인증을 위한 감항기준안과 적합성입증방안 411
〈그림3-26〉 EASA의 Artificial Intelligence Roadmap 411
〈그림3-27〉 일본 항공교통 혁신 로드맵(2018.2) 413
〈그림3-28〉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일정 및 기간 416
〈그림3-29〉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 비전 및 체계도 417
〈그림3-30〉 항공핵심기술로드맵 비전 및 추진방향 419
〈그림3-31〉 첨단항공 범위 선정 근거 422
〈그림3-32〉 Vertiport 및 UAM서비스 조감도 425
〈그림3-33〉 eVTOL의 다양한 기체 형식 429
〈그림3-34〉 eVTOL의 기체 개요(‘21.07) 430
〈그림3-35〉 Joby Aviation 개발 기체 430
〈그림3-36〉 Garmin G3000 431
〈그림3-37〉 6xTilt-Prop eVTOL S4(Joby Aviation) 431
〈그림3-38〉 Kitty Hawk사의 Heavyside 432
〈그림3-39〉 Beta Technologies社의 Alia-250 433
〈그림3-40〉 Volocopter 434
〈그림3-41〉 Lilium Jet 434
〈그림3-42〉 EHang 435
〈그림3-43〉 EHang VT-30 435
〈그림3-44〉 EHang 216 AAV 시험비행(일본 오카야마현) 436
〈그림3-45〉 Terrafugia의 UAM인 트랜지션 436
〈그림3-46〉 Uber사와 코건사가 합작한 버티포트 조감도 438
〈그림3-47〉 Aerial ride sharing with Uber Air 439
〈그림3-48〉 full-featured recharging pad 439
〈그림3-49〉 Voloport 컨셉사진(외부(좌), 내부(중)), Singapore 기체 이착륙장(우) 440
〈그림3-50〉 Lilium’s Vertiport at Lake Nona 440
〈그림3-51〉 E-Port 형상 441
〈그림3-52〉 GZDG가 디자인한 친환경 버티포트 441
〈그림3-53〉 FAA UAM ConOps와 NASA UAM CopOps 442
〈그림3-54〉 UAM 아키텍쳐 개념도 442
〈그림3-55〉 호주 멜버른에서 UAM 운용 시 항공기와 충돌확률 시뮬레이션 443
〈그림3-56〉 5대 중점추진기술(총괄) 444
〈그림3-57〉 기체・부품분야 444
〈그림3-58〉 항행・교통관리분야 445
〈그림3-59〉 인프라 분야 445
〈그림3-60〉 서비스 분야 446
〈그림3-61〉 핵심기술 분야 446
〈그림3-62〉 최적설계 및 해석(MDAO) 시각화 예시 447
〈그림3-63〉 고속성형공정 기술 예시 448
〈그림3-64〉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팩 448
〈그림3-65〉 UAM 비상낙하산 및 완충장치 시스템 개발 449
〈그림3-66〉 국내 연구기관 보유 주요 비행체 시험시설 사례 449
〈그림3-67〉 분산전기추진시스템 시험시설 사례 450
〈그림3-68〉 UAM과 UAS의 운항을 고려한 비행 공역 구분 개념도 450
〈그림3-69〉 UAM 운용을 위한 CNSi 획득 및 활용체계 신뢰성 검증 451
〈그림3-70〉 도심형 버티포트 유형 452
〈그림3-71〉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성도 452
〈그림3-72〉 UAM용 고전압 급속충전 기술개발 방안 453
〈그림3-73〉 VU. CITY의 런던 3D 모델 453
〈그림3-74〉 운항사 예약영업시스템 개발 기술 구성도 454
〈그림3-75〉 현대자동차 PAV 콘셉트모델 S-A1 456
〈그림3-76〉 Overair Butterfly 457
〈그림3-77〉 현대자동차 허브(Hub) 컨셉 458
〈그림3-78〉 도심항공모빌리티(UAM) 핵심 인프라인 플라잉카 공항 ‘에어원’ 459
〈그림3-79〉 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한국교통연구원-SKT UAM 사업 협력방안 460
〈그림3-80〉 응급의료헬기 통신 체계(대한항공) 461
〈그림3-81〉 KU-KE 도심항공모빌리티 운용개념 v1.0 462
〈그림3-82〉 증강 현실 헤드셋 플랫 폼 465
〈그림3-83〉 NLR 육안검사 로봇 기술 465
〈그림3-84〉 디지털 트윈 적용 예시 466
〈그림3-85〉 드론 공통 기술개발 분야 467
〈그림3-86〉 DeFli Networks 도킹 스테이션 476
〈그림3-87〉 Wing사의 배송용 드론 477
〈그림3-88〉 Walmart 드론 배송 477
〈그림3-89〉 London Heliport사에서 운영 중인 UTM 480
〈그림3-90〉 벨기에 DronePort 전경 483
〈그림3-91〉 Airbus 수소연료전지 기반 전기추진시스템 개념도 및 수소추진엔진 적용 개념도 490
〈그림3-92〉 NASA AAM NC 개발시험 운용개념도(‘21.06) 511
〈그림3-93〉 NASA AAM NC 추진 일정 511
〈그림3-94〉 AMU-LED 참여업체 512
〈그림3-95〉 SAFIR-MED 프로젝트 513
〈그림3-96〉 헬싱키 공항에서 진행된 Airtaxi 실증 비행 514
〈그림3-97〉 CARTIVATOR의 시제기 SkyDrive 514
〈그림3-98〉 일본 후쿠시마 로봇 테스트 필드 시설조감도 515
〈그림3-99〉 Ehang의 광저우 UAM 관제센터 및 동시비행 데모 515
〈그림3-100〉 싱가포르 무인기 활용 화물배송 및 Volocopter 시범비행 516
〈그림3-101〉 OPPAV 사업 517
〈그림3-102〉 ‘20년 eVTOL 시연행사 518
〈그림3-103〉 세계 항공시장 규모 519
〈그림3-104〉 세계 민항기시장 규모 520
〈그림3-105〉 세계 군용기시장 규모 520
〈그림3-106〉 글로벌 항공MRO 시장전망 522
〈그림3-107〉 글로벌 항공MRO 부문별 시장 규모(2023∼2033) 연평균 성장률 523
〈그림3-108〉 중국 항공MRO 시장 규모 524
〈그림3-109〉 세계 상업용 드론 분야별 시장전망 526
〈그림3-110〉 세계 지역별 하드웨어 시장전망 527
〈그림3-111〉 세계 지역별 소프트웨어 시장전망 528
〈그림3-112〉 세계 지역별 서비스 시장전망 528
〈그림3-113〉 세계 드론산업 분야별 시장전망 531
〈그림3-114〉 세계 UAM 시장전망 542
〈그림3-115〉 세계 2040년 부문별 UAM 시장전망 543
〈그림3-116〉 주요 국가별 UAM 기체 주문량 544
〈그림3-117〉 제조사별 UAM 기체 주문량 544
〈그림3-118〉 국내 MRO 처리규모 및 정비율 전망 548
〈그림3-119〉 인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 549
〈그림3-120〉 드론산업 시장규모 전망 550
〈그림3-121〉 국내 드론 활용시장 551
〈그림3-122〉 AAM용 장비·부품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556
〈그림3-123〉 AAM용 장비·부품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557
〈그림3-124〉 AAM용 장비·부품 연도별 출원인 건수 558
〈그림3-125〉 AAM용 장비·부품 주요 출원인 558
〈그림3-126〉 항공전자시스템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560
〈그림3-127〉 항공전자시스템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561
〈그림3-128〉 항공전자시스템 연도별 출원인 건수 561
〈그림3-129〉 항공전자시스템 주요출원인 562
〈그림3-130〉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564
〈그림3-131〉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565
〈그림3-132〉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연도별 출원인 건수 565
〈그림3-133〉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주요출원인 566
〈그림3-134〉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연도별·국가별 특허출원동향 568
〈그림3-135〉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569
〈그림3-136〉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연도별 출원인 건수 569
〈그림3-137〉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출원인 570
〈그림3-138〉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연도별·국가별 특허 출원 동향 572
〈그림3-139〉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573
〈그림3-140〉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연도별 출원인 건수 573
〈그림3-141〉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주요출원인 574
〈그림3-142〉 AAM용 장비·부품 기술개발 로드맵 580
〈그림3-143〉 항공전자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584
〈그림3-144〉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588
〈그림3-145〉 무인비행체 통합관제 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591
〈그림3-146〉 항공정비용 장비·부품 기술개발 로드맵 594
〈그림3-147〉 첨단항공 품목 로드맵 59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