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5)

2024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5)

  •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편집부
  • |
  • 씨에치오 얼라이언스(CHO Alliance)
  • |
  • 2024-07-22 출간
  • |
  • 652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3250143
판매가

400,000원

즉시할인가

36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신재생·수소·원자력·청정에너지 분야 연구개발 테마 15

1. 신재생·청정에너지, 에너지 효율 기술 분야 15
1-1. 신재생에너지(태양광) 기술 분야 15
1) 태양광 재활용/재사용 체계구축을 위한 Al 기반 전주기 태양광 모듈 이력 관리
기술개발 15
2) MW급 산단 지붕 태양광 가상발전소(VPP) 위험방지 고도화 기술개발 18
3) 건식공정 적용 탠덤 상부셀용 핵심소재 기술개발 19
4)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태양전지 및 모듈 효율측정 기술 고도화 20
5) 건물 수명주기를 고려한 장수명 BIPV 모듈 개발 21
6) 중형급 유연발전용 수소전소 가스터빈 기반 발전시스템 실증 23
7) 친환경 영농형 태양광 표준모델 설계 및 실증 27
8) 차세대 박막 태양광 모듈 개발 및 실증 30
1-2. 신재생에너지(풍력) 기술 분야 32
1) 해상풍력단지 Wet type 해저케이블 진단 기술개발 32
2) 한국형 초대형 풍력발전시스템 공급망 원가절감 기술개발 33
3) 해상풍력 단지 자켓 하부구조물 운송·설치 비용 절감 기법 개발 36
4) 15MW급 이상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운송 장비 제작 기술개발 38
5) 초대형 풍력발전기용 변압기 개발 40
6) 풍력터빈용 나셀라이다(LiDAR) 개발 41
7) 부유식 계류선 안정성 모니터링 및 하중저감 장치 개발 43
8)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풍력 블레이드 성형용 금형제조 기술개발 44
9) 해상풍력용 피치·요 베어링 시험 설비 구축 타당성 연구 46
10) 풍력 지지구조물 제조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한 제작 기술개발 48
1-3. 에너지 효율, 수요관리 기술 분야 50
1) 보일러 대체 산업용 180℃급 고온 스팀히트펌프 기술 개발 및 실증 50
2) 자연냉매 적용 -100℃급 고효율 초저온 냉열설비 52
3) 냉매규제 대응 친환경 저온 콜드체인 냉동시스템 기술개발 54
4) 뿌리산업 중소·중견기업 제조공정의 전주기 효율향상 기술 개발 및 실증 56
5) 액침냉각을 이용한 데이터센터 열관리 초고효율화 기술개발 및 실증 58
6) 에너지효율규제 대응 고효율 산업용 송풍시스템 기술 개발 62
7) 인공지능 기반 고효율 MCS/초급속 충전시스템 개발 및 실증 64
8) 분산전원 연계 초절전형 공장조명 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66
9) 전기차 수요자원화를 위한 양방향 충방전 플랫폼 기술 개발 68
10) 기축 공동주택 사용 용도별 에너지수요 최적화 서비스 개발 및 실증 71
11) 수요관리 기반 LCA 탄소관리 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실증 74
12) 수요자원화를 위한 농업용 및 산업물류용 배터리 교체형 전동화 76
13) 열·전기 저장시스템 기반 건물군 열에너지 수요관리 기술개발 및 실증 80
1-4. 에너지 안전, 배전 기술 분야 82
1) AI 기반 분산·유휴자원 안전관리 통합 플랫폼 및 원격제어 기술 개발/실증 82
2) 대용량 고출력(1MVA급) 무정전전원장치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86
3) 수냉식 적용 리튬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 91
4) AC/DC 하이브리드 배전망 운영 성능평가 기술개발 92

2. 수소에너지 기술 분야 94
2-1. 수소 생산, 저장, 이동, 충전 기술 분야 94
1) 100kW 이상급 고온 수전해 시스템 모듈 기술 개발 94
2) 수전해용 수소 및 산소 센서 96
3) 액화수소용 압력안전밸브 및 개발 98
4) 비금속 Flexible 수소 배관 및 접속재 국산화 기술 100
5) 천연가스 기반 청록수소 생산 기술 102
6) 수소충전소 핵심 설비 및 부품 효율 및 내구성 향상 104
7) 원전 전력 연계 저온 수전해 수소 생산 및 운영 실증 106
8) 모빌리티용 실내 수소충전소 및 고압 호스 안전성 검증/안전기준 개발 107
9) 암모니아 운송 배관(직경 200mm 이상) 위험성 평가 안전진단/안전기준 개발 108
10) 수소충전소용 100kg/hr급 이오닉 피스톤 압축기 개발 109
11) 1MW급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스택 및 시스템 110
12) 비금속 Flexible 수소 배관 및 접속재 국산화 기술 개발 112
13) PEM 수전해용 고가 금속 대체 소재 개발 113
14) 그린수소 생산용 해수활용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소재 개발 117
15) (총괄) 저활용 에너지 자원을 활용한 청록수소 생산 및 탄소소재 연속 제조기술 개발 121
16) (1세부) 가스상 에너지원의 고효율 저장을 위한 다공성 탄소소재 및 공정 개발 122
17) (2세부) 청록수소 생산 및 탄소소재 제조를 위한 촉매 및 공정 개발 124
18) (3세부) 가스상 에너지원의 고순도화 공정용 중공사막 소재 및 공정 개발 125
19) (총괄) 수소에너지 900bar급 저장/방출 대응용 합금 제조 및 부품화 기술 개발 126
20) (1세부) 저압-고압 기체수소 전환용 배출압력 900bar급 금속수소화물 합금 개발 128
21) (2세부) 액화수소 기화 버퍼용 최소설계금속온도 -40℃, 충격흡수에너지 68J급
내수소취성 확보 압력용기 개발 130
22) (3세부) 미래 수소충전소용 일체형 고체수소 및 액체수소 저장 기술개발 및 실증 132
23) 고효율 그린수소 생산용 자기조립 금속 나노촉매 전극 기능소재 개발 134
24) (총괄) 99.99%(4N)급 이상 고순도 수소 생산을 위한 세라믹 복합 분리막 소재·부품
및 공정 기술 개발 136
25) (1세부) 압출형 세라믹 분리막 지지체, 나노 기공 코팅 기술 및 수소 분리막 모듈
개발 138
26) (2세부) 중온형(300~600℃) 수소분리용 세라믹 복합 분리막 제조공정기술 개발 140
27) (3세부) 고온형(600℃ 이상) 수소분리용 세라믹 복합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 142
28) (총괄) 금속대체 10 year 장기내구성 고수소차단 소재 및 첨단 수소 이송 부품 개발 144
29) (1세부) 고수소차단성 고내구성 열가소성 복합소재 개발 146
30) (2세부) 10년 이상 장기내구성을 갖는 수소 이송 배관 부품 개발 147
2-2. 수소연료전지, 발전(청정화력), 모빌리티 기술 분야 149
1) 민군 공동 활용을 위한 정격 100kW급 이동형 수소연료 발전기 및 확장식 수소 공급
장치 개발 149
2) 200kW 이상급 선박용 연료전지 파워팩 개발 150
3) 연료전지 셀 제조 품질 안정화 기술개발 151
4) 탄화수소계 양이온교환 고분자막 양산 기술개발 152
5) 분산전원급 수소전소 가스터빈 기반 발전시스템 실증 153
6) 수소저장합금 저장시스템을 적용한 실내 물류용 수소지게차 및 수소충전시설 개발 154
7) 친환경 선박용 암모니아 수소추출기 통합형 PEMFC 시스템 개발 156
8) 500kW 이상급 분산발전용 고효율 수소전소엔진 발전기 시스템 국산화 실증 158
9) 중형급 유연발전용 수소전소 가스터빈 기반 발전시스템 실증 160
10) 발전용 암모니아 전소 가스터빈 연소기 핵심기술 개발 162
11) 수소연료전지용 고효율 고내구성 메조포러스 나노 탄소 담지체 개발 164
12) (총괄) 수소 혼소/전소 가스터빈용 고내열·내식 세라믹 코팅 소재, 공정 및 신뢰성
평가 기술 개발 166
13) (1세부) 수소연소환경 가스터빈 대응을 위한 고온 내열·내화학 특성 부여 열차폐코팅
소재 및 코팅원료화 기술 168
14) (2세부) 수소연소환경用 열차폐코팅 공정 및 구조제어 기술 개발 169
15) (3세부) 수소연소환경用 열차폐코팅 신뢰성평가 및 수요기업 실증 평가 170

3. 원자력 발전 기술 분야 172
3-1. 원자력 기술 분야 172
1) 초대형 PM-HIP 핵심 제조공정기술 개발 172
2) 초대형 전자빔 용접(EBW) 기술 및 공정 개발 174
3) 초광폭/고정밀 다이오드 레이저클래딩(Diode Laser Cladding)기술 및 공정개발 176
4) 현장적용을 위한 원전 대형기기 인양설비 보조기기 개발 및 실증시험 178
5) 원전용 초내열함금 대형 4축 자유단조 장치 및 공정 개발 179
6) 원전 안전등급 유압구동 제어밸브 국산화 개발 180
3-2. 혁신형 SMR 기술 분야 182
1) 무붕산 노심 탄력운전 전략 및 노심보호감시계통 기술개발 182
2) 재생에너지 연계 무붕산 노심 탄력운전 전략 개발 185
3) 노심보호감시계통 기술 개발 189
4) 혁신형 SMR 계통설계 192
5) 모듈형원자로 내장형제어봉구동장치 설계최적화 196
6) 모듈형원자로 핵연료취급계통 및 핵연료저장대 표준설계 개발 198
7) 모듈형원자로 원자로용기/내부구조물 및 지지대 표준설계 개발 200
8) 모듈형원자로 주증기 및 주급수계통 표준설계 개발 204
9) 모듈형 보충 및 정화계통 표준설계개발 206
10) 모듈형원자로 냉각재계통 표준설계 개발 208
11) 2차반응도 제어계통 표준설계 개발 211
12) 모듈형원자로 MMIS 계측제어계통 표준설계 개발 213
13) 모듈형원자로 발전소 제어 및 정상 및 비상 운전전략 개발 217
14) 철제 격납용기 구조 및 지지구조 설계 개발 220
15) 표준설계 통합 인허가 및 혁신형 피동안전계통 개발 223
16) 다수모듈을 고려한 혁신형 SMR BOP 종합설계 기술 개발 228
17) 다수 모듈 배치 설계 개발 235
18) 혁신형 SMR 0.5g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내진해석 최적화기술 개발 237
19) 항공기 충돌시 Pool 구조물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구조물 설계, 해석 및 평가 240
20) 모듈개념을 고려한 BOP 보조계통 공유기술 개발 243
21) Multi-Turbine 적용한 동력변환계통 및 피동형 공조방법 적용한 공조계통 설계 개발 246
22) 다수모듈을 적용한 전력, 전기 계통 및 설비 개발 249
23) 다수모듈 설계특성을 고려한 작업자 피폭 최소화 기술 개발 253
24) 모듈형원자로 안전해석 및 고신뢰도 안전해석기술 개발 255
25) 모듈형원자로 계통설계 검증 259
26) 모듈형원자로 원자로집합체 계통 구조해석 기술개발 263
27) 모듈형 보충 및 정화계통 성능검증 267
28) 2차 반응도계통 제어계통 검증시험 270
29) 모듈형원자로 내장형제어봉구동장치 검증 272
30) 품목명 모듈형원자로 MMIS 안전계통 표준 플랫폼 개발 274
31) 모듈 통합 사이버보안 기술 및 통합관제시스템 개발 검증 277
32) (총괄) 소형모듈원전(SMR)용 오스테나이트계 금속소재 및 부품화 기술개발 280
33) (1세부) 항복강도 380MPa급 오스테나이트계 내식강 제조 및 공정기술 개발 282
34) (2세부) 인장강도 760MPa급 고온균열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재 및
용접기술 개발 284
35) (3세부) SMR 환경 오스테나이트계 원자로 구조재료의 80년 운전대응 중성자
조사취화 및 내환경 성능평가 286
3-3. 방사능 폐기물 관리 기술 분야 288
1) (총괄) 고준위방폐물 처분을 위한 부지환경 장기변화 예측기술 개발 288
2) (1세부) 전국규모/부지규모 부지특성 인자별 감시기법 및 운영기술 개발 292
3) (2세부) 전국규모/부지규모 지각운동 지속안정성 영향인자 특성화 및 모델개발 294
4) (3세부) 시나리오 기반 한반도 생태계 변화 개념모델 개발 296
5) (4세부) 부지규모 장기안전성 평가를 위한 한반도 해수면 변동 개념모델 개발 298
6) (5세부) 시나리오 기반 한반도 지질환경 장기변화 개념모델 개발 300

Ⅱ. 탄소중립, 기후·환경, 자원, 재난ㆍ안전 분야 연구개발 테마 305

1. 기후·환경·탄소중립 핵심기술 분야 305
1-1. 기후 기술 분야 305
1) 동아시아 대기순환 변조에 따른 이상기상·기후 발생 진단 및 예측성 연구 305
2) 지역 기후변화 정보 다원화기술 개발 306
3) WMO IG³IS 이행사업 개선 308
4) 상세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기술 개발 310
1-2. 환경 기술 분야 312
1) 기저유출 추적 및 영양염류 유입량 예측기술 개발 312
2) 퇴적물 내 수생태계 위해 우려 미량오염물질 추적기술 개발 314
3) 유량 측정 정확도 개선 및 불확도 평가 고도화 기술개발 316
4) 초음파 및 광학기반 하천 유사량 연속 자동측정 기술개발 318
5) 수량-수질 센서 기반 하천 통합 모니터링 기술개발 320
6) AI 기반 수자원 빅데이터 품질관리 기술개발 322
7) 융복합 계측기술 기반 하천횡단 수자원시설 안전성 평가 기술개발 324
8) 하천의 물리적 환경변화 고려 하천종단 수자원시설의 치수안전도 평가 기술개발 326
9) 자연기반 해법 활용 노후제방 보수보강 기술개발 328
10) 수리실험 기반 하천의 수리·환경적 안전성 향상 기술 개발 330
11) 디지털 트윈 활용 수자원시설 통합 자산관리 기술개발 332
12) 물리-가상 센서 네트워크 기반 수자원시설 재해 조기감지 및 대응 기술개발 334
13) 도시침수대응 지하 인프라 통수능력 향상 및 설계 고도화 기술 개발 336
14) 도시침수대응 지하 인프라 저류능력 향상 및 다기능 활용기술 개발 338
15) 도시침수대응 지하 인프라 최적 운영기술 개발 341
16) 도시침수대응 지하 인프라 유지관리 고도화 기술 개발 343
17) 이차전지 순환이용성 향상 배터리팩 재질·구조 개선 및 평가 기술개발 346
18) 다종 폐이차전지 해체·분리 자동화 및 자원 회수 기술 개발 348
19) 이차전지 재활용 공정 발생 오염물질 저감 기술개발 350
1-3. 저탄소, 탄소중립 기술 분야 352
1) (총괄) 금속부산물을 활용한 탄소배출계수 2.2tCO2e/t 미만 탄소저감형 합금강 전구
물질 제조 기술 개발 352
2) (1세부) 금속부산물을 활용한 탄소저감형 Mn, Si, Cr, Ni 함유 다원계 합금철 개발 354
3) (2세부) 금속부산물을 활용한 탄소저감형 탈산, 탈인, 탈황제 제조 기술 개발 356
4) (3세부) 탄소저감형 전구물질의 생산 및 철강 공정 활용 최적화를 위한 통합 탄소
배출 관리 플랫폼 개발 358
5) (총괄) 저탄소형 고로 원료 소결광 및 괴성광 제조기술 개발 360
6) (1세부) 환원율 65% 이상 소결광 제조 기술 개발 361
7) (2세부) 압축강도 200kgf/p 이상 브리켓 제조 신공정기술 개발 362
8) (3세부) 고로용 원료 괴상화 연계 부원료 및 바인더 제조기술 개발 364
9) (총괄) 선재 및 철근 제조공정 디지털-그린 연계 탄소발자국 추적 기술개발 365
10) (1세부) 데이터 기반 철자원 분류 및 품질 판정 기술개발 367
11) (2세부) 디지털트윈 연계 철강 제조공정 탄소발자국 적용 기술개발 368
12) (3세부) 탄소발자국 검인증 표준화 및 검수 기술개발 370
13) (총괄) 유리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비탄산염 원료 및 연료전환 용융공정 기술 개발 372
14) (1세부) 유리산업 공정배출 탄소 25% 저감을 위한 비탄산 원료기술 개발 374
15) (2세부) 용융로 탄소배출량 50% 저감을 위한 바이오 연료 및 산소-전기 하이브리드
열원 적용 기술개발 376
16) (3세부) 유리용융 특화 수소 기반 연소버너 제조기술 및 용융로 설계기술 개발 378
17) (총괄) 포집 이산화탄소(CO2) 활용 그린 섬유소재 제조기술 및 응용 개발 380
18) (1세부) 포집 이산화탄소(CO2)의 화학적 전환기술을 이용한 CO2 단량체 전환율
80% 이상 탄소저감형 단량체 개발 382
19) (2세부) 포집 이산화탄소(CO2) 전환 원료를 이용한 폴리에스터계 섬유용 고분자
중합 및 섬유(강도 4.3g/d 이상, 신도 25%) 제조기술 개발 384
20) (3세부) 포집 이산화탄소(CO2) 전환 모노머를 40% 이상 함유하는 비이소시아네이트
섬유 코팅제 및 섬유제품 가공기술 개발 386

2. 자원, 자원순환 기술 분야 388
2-1. 자원개발, 자원순환 기술 388
1) 저품위 염호 맞춤형 친환경 리튬추출 실증화 기술 개발 388
2) ESG 부합형 양극재 원료용 고순도 탄산리튬 제조 실증화 기술개발 390
3) (총괄) 백금족(Pt, Pd, Ir) 금속 순환소재 활용 에너지 산업용 부품 제조기술 개발 392
4) (1세부) 팔라듐/백금 순환자원 활용 3N급 화합물 및 산소환원활성 0.14 A/mg급
연료전지용 촉매 제조 기술 개발 394
5) (2세부) 이리듐 순환자원 활용 3N급 화합물 및 전력 저감 5% 이상 치수안정성 전극
개발 396
6) (총괄) 사용후 스크랩 재활용 기반 신지금급 알루미늄 합금 소재화 기술개발 398
7) (1세부) 저품위 사용후 알루미늄 스크랩 활용 신지금급 원소재 제조 및 주조기술 개발 400
8) (2세부) 사용후 스크랩 90% 사용 모빌리티, 그린빌딩 및 전기전자용 알루미늄 압출재
부품화 기술개발 402
9) (3세부) 알루미늄 LCA 기반 탄소배출 저감 효과분석 및 평가 기술개발 404
10)(총괄) 폐 금형·공구강 재소재화 및 정밀금형 제조기술 개발 406
11) (1세부) 폐 금형·공구 활용 탄소함량 0.03% 이하 고합금강 강괴 개발 408
12) (2세부) 초정밀 패턴 금형 적층제조용 30-38 ㎛급 구형 분말 제조기술 개발 409
13) (3세부) 재소재화 주강 활용 50 HRC 이상급 고경도 정밀금형 제조기술 개발 410
14) (4세부) 정밀도 0.03mm급 고성능 타이어용 정밀 패턴 금형 제조기술 개발 411
15) (총괄) 재활용 팔라듐 합금 활용량 극대화 90㎛ 피치급 반도체 검사장비용 포고핀
개발 412
16) (1세부) 포고핀 플런저용 550Hv급 팔라듐 합금 와이어 소재 개발 414
17) (2세부) 직경 70㎛ 포고핀용 플런저·전주바디 제조 및 검증 기술 개발 416
18) (3세부) 플런저 제조공정 스크랩 직접 활용 3N급 팔라듐 합금 잉곳 개발 418
19) (총괄) ELV 규제 대응 폐 에어백 재활용 소재 및 이를 활용한 Car-to-Car 부품제조
기술개발 420
20) (1세부) 폐 에어백 원단 실리콘 제거 90% 이상의 분리·회수 및 PA66, PET 재활용
원료·소재화 기술개발 422
21) (2세부) 자동차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폐 에어백 재활용 PA66 엔진커버 및 PET
에어백 부품개발 424
22) (총괄) 폐차 재활용율 향상을 위한 자원순환형 PET 단일소재 자동차 내장재 개발 426
23) (1세부) 리사이클 소재 비율 70% 이상, 자동차 내장재 재활용 비율 10% 이상 PET
단일소재 데쉬아이소패드 개발 428
24) (2세부) 리사이클 소재 비율 70% 이상, 자동차 내장재 재활용 비율 10% 이상 PET
단일소재 플로어 카펫 개발 430
25) (총괄) 신 ELV 규제 및 순환경제 대응 자동차용 고부가 재활용 소재 개발 및
재활용 소재 30% 이상 함유한 경량 부품 핵심기술 개발 432
26) (1세부) 폐차 유래 엔지니어링플라스틱(EP) 복합소재 리사이클을 통한 재활용 소재
함량 30% 이상 함유한 자동차 구동계용 부품 개발 434
27) (2세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재활용을 통한 기능성 경량 내외장 부품 개발 436
28) (3세부) 폐플라스틱 재활용 함량 인증용 소재 및 표준화 기술 개발 438
2-2. 폐이차전지 재활용, 재사용 기술 개발 440
1) (총괄)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블랙매스의 고효율 회수 및 공정부산물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재활용 전처리공정/장비 구축 440
2) (1세부)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고순도·고효율 블랙매스 회수를 위한 전처리공정
기술 개발 442
3) (2세부) 블랙매스 고효율 회수 장비 개발 444
4) (3세부) 전처리 공정부산물로부터 유가금속(Cu, Al 등) 회수 공정 및 장비 구축 446
5) (총괄) 사용후 배터리 재자원화율 향상을 위한 활용 기술 고도화 448
6) (1세부) 사용 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소재 친환경 제련공정 및 고순도 소재
제조 기술개발 450
7) (2세부) 사용후 배터리의 음극소재 선별 및 고순도화를 통한 재자원화 기술개발 452
8) (3세부)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공정의 전해액 분리·회수 및 원료화 기술 개발 454
9) (총괄) 폐실리콘 기반 고에너지밀도 복합 전극 제조 기술 개발 456
10) (1세부) 폐실리콘을 이용한 원료 저가화 기술 개발 458
11) (2세부) 재활용 실리콘 원료를 적용한 복합 소재화 기술 460
12) (3세부) Si 10wt% 이상의 고용량 실리콘-탄소 기반 기술 개발 462
13) 폐전지 직접 재생기술 기반 전기차용 단결정 양극 소재 463
2-3. 바이오화학, 바이오매스 기술 개발 466
1) (총괄) 공급망 안정을 위한 바이오 다이올 핵심 소재 및 응용제품 기술개발 466
2) (1세부) 초고속 미생물 개량기반 100% 바이오 다이올 핵심 원료 기술개발 467
3) (2세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바이오 다이올 기반 고탄성 고분자소재 기술개발 469
4) (3세부) 100% 바이오 다이올 기반 고탄성 스판텍스 섬유소재 및 제품화기술 개발 470
5) (총괄) 식물유 기반 바이오매스 고함량 생분해성 바이오정밀화학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472
6) (1세부) 식물유 기반 탄소수 12 이상 바이오정밀화학소재용 핵심 원료 및 바이오
고분자 소재 개발 474
7) (2세부) 바이오매스 함량 70% 이상 계면활성제 및 기능성 고분자 소재 기술 개발 476
8) (3세부) 100%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기반 생활밀착형 제품 및 파단강도 10kN/m 이상
고 레질리언스 주력산업용 제품 개발 478
9) 난분해 탄화수소 고부가화를 위한 고효율 효소-광촉매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480
10) 조건 생분해성 에스테르계 플라스틱의 고효율분해를 위한 차세대 생물자원 확보
및 탄소순환 원천기술 개발 483
11) (총괄) 탄소저감 바이오매스 기반 폴리아미드 510, 56 섬유소재 및 제품 개발 486
12) (1세부) 식물 유래 바이오매스 기반 폴리아미드 56, 510 중합 및 섬유소재 기술개발 487
13) (2세부) 바이오매스 함량 80% 이상 의류용 폴리아미드 510 및 바이오매스 함량
40% 이상 폴리아미드 56 섬유제품 개발 489
14) (총괄) 바이오매스 유래 디시클로펜타디엔(DCPD) 생산 및 제품 적용 기술 개발 490
15) (1세부) 바이오매스 유효성분으로부터 전환율 35% 이상의 고효율 CPD 생산 기술
개발 492
16) (2세부) 바이오CPD를 활용한 DCPD 생산과 2종 이상의 DCPD 활용 산업용 소재
생산 기술 개발 494
17) (총괄) 탄소중립을 위한 고함량 바이오매스 자동차 외장 코팅 소재 개발 496
18) (1세부) 자동차 외장도료용 바이오 단량체 및 친환경 경화제 제조 기술 개발 498
19) (2세부)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자동차 외장도료 개발 500
2-4. 폐열이용 기술 분야 502
1) (총괄) 폐열/잉여 열원을 활용한 발전용 10MW급 중소형 증기터빈 기술 개발 502
2) (1세부) 10MW급 중소형 발전용 증기터빈 기술 개발 504
3) (2세부) 증기터빈 전력 변환용 감속기 기술 개발 505
4) (3세부) 증기터빈 발전 통합 운용 시스템 기술 개발 및 실증 506
5) 폐열회수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흡착/수분제어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개발 508

3. 재난, 안전 기술 분야 510
3-1. 재난 기술 분야 510
1) 도시침수 피해 저감을 위한 도심지 저류기능 고도화 기술 개발 및 실증 510
2) AI 기반 도시침수 피해 위험도 예측 및 평가 실용화 기술 개발 516
3) 멀티모달 이미징 기반 블랙아이스 조기 탐지 및 선제 대응 기술 개발 522
4) 방화구획 관통부 내화채움구조의 비파괴 점검기술 개발 528
5) 침수대응 이동식 탈부착형 고효율 배수펌프 시스템 개발 534
6) 첨단 스마트 기술 기반 원격 자동제어 슬라이딩 차수문 시스템 개발 536
7) 반지하 침수 조기 경보 및 피난이 가능한 통합 시스템 개발 및 실증 538
8) 지하매설상수관로의 지반침하변형대응 신축관이음 및 변형예측 기반 위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540
9) 산림병해충 방제용 약제 살포 신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 기법 연구 546
3-2. 안전 기술 분야 547
1) AI 기반 전영역 경비안전 기술 개발 547
2) 차량 및 보행자 상호 사고 예방을 위한 지능형 보행자 감지 시스템 개발 및 실증 552
3)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전방사고 알림 가로등 시스템 개발 및 실증 554
4) 차륜조도 측정·관리를 통한 철도 탈선사고 예방 시스템 개발 556
5) 무인 이동체와 연계한 상시 감시 기능 겸비 부력기구 사출 장비개발 558
6) AI기반 해상위기상황 자동반응형 개인·소형선박 조난신고 장치 개발 560
7) 노후 교량 내부 텐던 진단을 위한 외부 자화 EM 센싱 시스템 기술 개발 및 실증 564
8) 석유화학 플랜트 폭발 및 화재 예방을 위한 멀티모달 센서 기반 AI 방폭시스템 개발 572
9) 인공지능 기반의 출렁다리(케이블 보행교) 스마트 안전 평가 및 관리 기술개발 580
10) 전통시장의 화재시 조기감지 및 확산방지와 피난경로 확보 및 유도를 위한 능동형
방화천막 자동전개시스템 개발 586
3-3. 소방안전 기술 분야 595
1) 기계식주차장 전기차 화재 조기대응 소화시스템 및 관련 화재안전기준(안) 개발 595
2)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위험성 분석 및 대응기술개발 598
3) 재사용 배터리의 운송·보관 단계에서의 화재 위험성 분석 및 화재안전기준(안) 개발 601
4) 전기차 해상운송 중 화재예방을 위한 SOC 기준 설정 및 가이드라인 개발 605
5) 구급활동 중 생체신호 기반의 뇌혈관질환 여부 판단 보조 시스템 개발 607
6) 공기호흡기에 탈부착 가능한 비상탈출용 소방장비 개발 610
7) 특수방화복의 활동성 개선 및 교체 시기 확인 기술개발 612
8) 소방호스 관리 편의성 증대를 위한 자동화 장비 개발 616
9) 소방용 방화헬멧(Type B) 설계 최적화 및 경량화 기술개발 618
3-4. 장애인·노인 자립 지원 기술 분야 621
1) 다양한 모빌리티에 호환 가능한 이동 취약자 스마트 세이프티 모듈 기술개발 621
2) 시각장애인의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지능형 안전보행 기술 개발 624
3) IoT 기술을 활용한 보행약자 지원이 가능한 커넥티드 모빌리티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실증 629
4) 이동/움직임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노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기기
제품 및 서비스 연구개발 633
5)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노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기기
제품 및 서비스 연구개발 638
6) 인지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노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기기 제품
및 서비스 연구개발 643
7) 지역기반 보조기기 R&SD 64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