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4)

2024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4)

  •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편집부
  • |
  • 씨에치오 얼라이언스(CHO Alliance)
  • |
  • 2024-07-22 출간
  • |
  • 619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3250136
판매가

400,000원

즉시할인가

36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바이오/의료/헬스케어 기술 분야 연구개발 테마 17

1. 바이오, 바이오 제조ㆍ소재 기술 개발 17
1-1. 첨단 바이오, 합성생물학 핵심 기술 개발 17
1) [핵산] 합성생물학 기반 핵산 제노바이올로지(xenobiology) 시스템 개발 17
2) [단백질(효소)] 차세대 효소 설계 핵심 원천기술 개발 20
3) [회로] 비모델 유용균주용 범용성 유전자 논리회로 장치(device) 개발 23
4) [미생물] 미생물 세포공장 첨단화용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개발 26
5) [동물] 합성생물학 기반 동물세포 활용 항체의약품 혁신 생산플랫폼 개발 30
6) [식물] 합성생물학 활용 식물기반 바이오소재 생산기술 개발 33
7) 합성생물학 핵심기술 개발(총괄운영과제) 36
8) 바이오파운드리 선도기술 확보를 위한 국제협력 38
1-2. 바이오 제조, 바이오 신소재 기술 개발 41
1)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디지털 트윈 기반 동물세포주 연속생물반응기 시스템 개발 41
2) 고안정성 경구용 항체의약품 제형화 및 제조기술 개발 42
3) 고효율 미생물 생산시스템 기반 항균용 천연생리활성 소재 및 제품 개발 44
4) 미생물 생합성 조절 및 바이오공정 기술 기반 원료의약품용 소재 및 활용 제품 개발 45
5)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및 제품 분해 촉진을 위한 고성능 효소 및 응용 제품 개발 46
6) 골면역 제어 환자맞춤형 융복합 소재 제조 및 제품화 기술 개발 48
1-3. 바이오 원부자재 제조 기술 개발 50
1) (총괄) 바이오의약 생산용 핵심 바이오원부자재 제품화 지원 및 수요맞춤형 품질검증
체계 구축 50
2) (1세부) GMP 수준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숙주세포주 및 유가식 배지 개발 51
3) (2세부) 첨단바이오의약품 생산 맞춤형 세포배양 첨가소재의 GMP 수준 제조기술
개발 52
4) (3세부)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용 무균관리를 위한 에어필터 제조기술개발 54
5) (4세부) 표적특이적 유전자치료제 생산을 위한 고생산성 세포주 및 맞춤형 배지 제조
기술개발 55
6) (5세부)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GMP 수준 정제 보존을 위한 완충용액소재 대량제조
공정기술개발 56
7) (총괄) 글로벌 진출을 위한 바이오 원부자재 제조 지원 및 검증 지원체계 구축 58
8) (1세부) 글로벌 진출형 차세대 면역 세포치료제 생산용 화학정의배지 제조 및 검증
기술 개발 59
9) (2세부) 글로벌 진출형 바이오의약품 공정용 고순도 정제용 소재와 부속 제품의 제조
및 검증 기술 개발 60
10) (3세부) 글로벌 진출형 항체의약품 생산 세포 배양 배지 대량제조 및 검증 기술개발 62
11) (4세부) 글로벌 진출형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일회용 저장용기와 주요 핵심부품 제조
및 검증 기술 개발 63
12) (5세부) 글로벌 진출형 바이오의약품 품질평가용 시험분석 키트 및 자동화된 분석
시스템 개발 64

2. 바이오 신약, 의약품 기술 개발 66
2-1. 바이오 신약 기술 개발 66
1) 혁신신약 기반기술 구축 66
2) 클라우드 인공지능 항체은행 구축 69
3) 펩타이드 첨단신약 핵심 원천기술 개발 및 플랫폼 구축 71
4) 합성생물학 발전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연구 74
5) 첨단바이오 기술·인력 교류 지원 76
6) 대형장비 활용 신약 디자인 플랫폼 구축 80
7) DELT 기반 혁신 합성 기술 개발 83
8) DELT 기반 혁신 스크리닝 기술 개발 85
9) 미생물/식물 유래 치료제 후보물질 레트로생합성 원천기술 개발 88
10) 기초타겟 발굴 및 검증 90
11) 고부가 터펜류 천연화합물의 생산을 위한 고도화된 식물 플랫폼 개발 93
12) 바이오데이터 기반 생합성 최적경로 설계 플랫폼 구축 및 유용소재 고함량 식물자원화
기술 개발 95
2-2. 바이오의약 기술 개발 98
1) (총괄) 공급망 안정을 위한 대사질환치료용 원료의약품 핵심 소재 및 부품, 기기 개발 98
2) (1세부) 고품질 고지혈증 치료제 생산용 핵심 소재 및 중간체, 완제의약품 생산 공정
기술 개발 100
3) (2세부) 고품질 설계기반 고혈압 치료제 생산용 핵심 소재 및 중간체, 완제 생산 공정
기술개발 101
4) (3세부) 대사 질환 치료제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원료의약품 품질평가 연속-분석
자동화 부품 개발 103
5) (총괄) 개인 맞춤형 고품질 핵산 치료제 생산용 핵심 소재 및 최적화 기기 개발 104
6) (1세부) 핵산 치료제 생산용 전주기 핵심 소재 및 부품 개발 106
7) (2세부) 고품질 핵산의약품 합성을 위한 효율 최적화 반응 모듈 개발 107
8) (3세부) 고품질 고생산성 핵산 치료제 맞춤형 지능화 솔루션 생산 기기 개발 108
9) (총괄) 고품질, 고생산성 경구용 펩타이드 의약품 핵심 소재 및 기기 개발 110
10) (1세부) 고생산성 펩타이드 원료의약품 소재 및 자동화 합성 기기 개발 112
11) (2세부) 펩타이드 경구흡수촉진 신규 제형화 소재 개발 113
12) (3세부) 경구용 신소재 기반 펩타이드 완제의약품 생산공정 기술 개발 115
13) (총괄) 고품질 항체-약물 접합체(ADC) 생산용 핵심 소재, 부품 및 생산 공정 기술
개발 116
14) (1세부) 항체-약물 접합체(ADC) 생산을 위한 고품질 약물-링커 복합체 소재 기술
개발 118
15) (2세부) 항체-약물 접합체(ADC) 원료의약품 고수율 생산을 위한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119
16) (3세부) 고품질 항체-약물 접합체(ADC) 스마트 생산 부품 및 기기 개발 121
17) (총괄) 고품질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GMP 수준 핵심 부형제 및 첨가제 제품화
기술개발 122
18) (1세부)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GMP 수준 비동물유래 세포성장증진 재조합 단백질
소재 제품화 기술개발 124
19) (2세부) 바이오의약품 안정 제형을 위한 GMP 수준 아미노산 제품화 기술개발 125
20) (3세부) 바이오의약품 안정 제형을 위한 GMP 수준 당류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제품화 기술개발 127
21) (총괄) 핵산치료제 맞춤형 동결건조 제형 안정화 핵심소재 및 생산용 부품/기기 개발 128
22) (1세부) 핵산치료제의 동결건조용 제형 안정화 신소재 개발 130
23) (2세부) 핵산치료제의 동결건조 실시간 공정분석용 핵심부품 개발 131
24) (3세부) 핵산치료제의 동결건조 자동화 시스템 및 기기 개발 132

3. 바이오, 의료 기술 개발 134
3-1. 멀티오믹스기반 난치암 맞춤형 진단치료 기술 개발 134
1) 멀티오믹스 및 임상정보 통합분석을 통한 난치암 치료표적선정 및 후보물질 신속
도출 플랫폼 개발 134
2) AI 활용 멀티오믹스와 임상정보 빅데이터 통합 기반 난치 위암 undruggable 타겟
연구 및 표적치료제 설계 기술개발 135
3) 멀티오믹스 및 임상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난치 희귀암 대상 신약물 발굴기술 및
전달시스템 개발 136
4) 표적항암제 타겟이 없는 암 또는 암 서브타입의 undruggable 타겟 신약 후보 물질
도출 및 유효성 검증 138
5) (총괄) 멀티오믹스/디지털 통합 분석기반 혈액암 정밀진단플랫폼 개발 및 제품화 139
6) (1세부) 멀티오믹스 기반 혈액암 기전규명과 이를 통한 전암 (Pre-Cancer) 및 암
예측 진단용 일체형 통합 시스템 개발 140
7) (2세부) 멀티오믹스 가치분석 기반 혈액암 초정밀 진단제품 및 맞춤형 진단치료용
후보물질 기능 검증 기술개발 142
8) (3세부) 혈액암 멀티오믹스 및 임상정보 통합빅데이터 기반 임상서비스 시스템 개발 143
9) 암세포 및 유래 소포체의 특이적 표면 당쇄 추적을 통한 진단 및 치료 효과 예후예측
기술 개발 144
3-2. 바이오기반 재생의료, 치료 기술 개발 146
1) (총괄)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 보관 및 활용을 위한 동결보존/해동 소재 및 부품,
기기 개발 146
2) (1세부)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활성유지를 위한 냉동/해동 배지 및 보존 기술
개발 148
3) (2세부)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저온활성 동결보존 및 해동제어 생체적합 신소재
개발 149
4) (3세부)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냉/해동 및 유통을 위한 핵심 부품 및 시스템
개발 151
5) (총괄) 재생치료용 고품질 오가노이드 대량 생산을 위한 핵심 소재 및 부품, 자동화
공정 기기 개발 152
6) (1세부) 고품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대량 생산을 위한 핵심 소재 및 배양 용기
개발 기술 개발 154
7) (2세부) 고품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생산 실시간 모니터링 및 품질평가용 핵심
부품 개발 155
8) (3세부) 고품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대량생산 자동화 공정 기기 개발 157
9) (총괄) 광기반 능동형 약물 방출 창상피복재 소재 및 응용 기기 개발 158
10) (1세부) 창상수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염 및 재생 기능성 펩타이드 개발 160
11) (2세부) 광기반 능동형 약물 방출 나노 구조체 및 창상피복 소재 개발 161
12) (3세부) 능동적 약물 방출 제어 및 피부 재생용 웨어러블 광조사 기기 개발 162
3-3. 바이오의료(뇌과학) 기술 개발 164
1) 비침습적 멀티모달 감각·지각 뇌신호 통합 디코딩 활용 기술 개발 164
2) 다중 마커 통합 기반 시냅스 병증 조기 진단 기술 개발 166
3) 유해환경 인자에 의한 뇌질환 제어 기술 개발 168
4) 신경독성 단백질 생성/축적/전이 제어를 통한 신규 단백병증 치료제 개발 170
5) 생체나노입자 전달 기술을 이용한 신경 가소성 조절 기술 개발 173
6) 뇌졸중 환자에서 가소성 기반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175
7) 신경 가소성 기반 인지기능 향상 기술 개발 178
8) 손상 운동능 복원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180
9) 뇌 신경계 발달 과정 해독을 통한 뇌질환 극복 기술 개발 182
10) 다중 뇌 신호 통합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뇌질환 예측 진단 기술 개발 184
11) 뇌 기능 조절 비침습/최소 침습 뇌 심부 자극 기술 개발 187
12) 뇌질환 동물모델 표현형 분석 기술 고도화 189
3-4. 융복합바이오 의료제품 기술 개발 191
1) [융합코어] 융합기반 첨단의료 원천기술 개발 191
2) [치료 분야] 융합기반 첨단의료 원천기술 개발 194
3) [진단 분야] 융합기반 첨단의료 원천기술 개발 197
4) [평가 분야] 융합기반 첨단의료 원천기술 개발 200
5) 글로벌 진출을 위한 고농도 자가투여 사전충전형 바이오의료제품 제조기술 개발 203
6) (총괄) 글로벌 진출을 위한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맞춤형 제조·실증 시스템 개발 204
7) (1세부)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원재료 최적화 및 조합설계 기반 비임상용 및 임상용
융복합바이오의료제품 제조 기술 및 검증 206
8) (2세부) 인공지능 기반 세포-생체재료 복합지지체의 최적 설계 및 제조·생산기술
개발 207
9) (3세부) 인체이식형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최적화 공정설계 및 검증기술 개발 208
10) 세포-조직-생체재료 복합체 기반 글로벌 진출용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제조기술
개발 210
11) 글로벌 진출을 위한 약물 코팅·포집된 초소형 흡수성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제조
기술 개발 211
12) 글로벌 진출을 위한 비침습형 수동확산 경피투과형 고용량 의약품 전달용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기술 개발 212
13) 인체 이식형 비분해성 약물 전달용 커넥티드 융복합 의료제품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제조기술 개발 214

4. 바이오 센서(마커), 바이오화학 기술 개발 216
4-1. 바이오 센서(마커) 기술 개발 216
1) 바이오센서 기반 대규모 신규 바이오부품 소재 고속탐색 기술 개발 216
2) 무세포 기반 고감도 바이오센서 장비 및 분석기술 개발 218
3) 다중 생체신호 상시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패치형 센싱모듈 기술개발 221
4) (총괄) 현장형 분자진단용 3차원 다공성 광열 필름 개발 222
5) (1세부) 3차원 계층구조 다공성 광열 필름 개발 224
6) (2세부) 다종 세균 고속 검출이 가능한 현장형 올인원 분자진단 기기 개발 225
7) (총괄) 암 진단기기용 초고감도 3차원 나노광학 증강소재 개발 227
8) (1세부) 초고감도 다중오믹스 검출용 나노광학 센싱소재 개발 228
9) (2세부) 면역진단용 고감도 바이오칩 개발 230
10) (3세부) 난치성 암 진단용 나노광학 센싱칩 기반 형광 및 라만 진단기기 개발 232
11) (총괄) 퇴행성 신경질환 면역진단용 광섬유 LSPR 센싱 소재부품 개발 234
12) (1세부) 면역진단 센싱용 광섬유 개발 236
13) (2세부) 면역진단용 광섬유 LSPR 센싱 부품 개발 238
14) (3세부) 퇴행성 신경질환 면역진단용 LSPR 자동측정 진단기기 개발 240
4-2. 바이오화학, 바이오매스 기술 개발 242
1) (총괄) 공급망 안정을 위한 바이오 다이올 핵심 소재 및 응용제품 기술개발 242
2) (1세부) 초고속 미생물 개량기반 100% 바이오 다이올 핵심 원료 기술개발 244
3) (2세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바이오 다이올 기반 고탄성 고분자소재 기술개발 246
4) (3세부) 100% 바이오 다이올 기반 고탄성 스판텍스 섬유소재 및 제품화기술 개발 248
5) (총괄) 식물유 기반 바이오매스 고함량 생분해성 바이오정밀화학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250
6) (1세부) 식물유 기반 탄소수 12 이상 바이오정밀화학소재용 핵심 원료 및 바이오
고분자 소재 개발 252
7) (2세부) 바이오매스 함량 70% 이상 계면활성제 및 기능성 고분자 소재 기술 개발 254
8) (3세부) 100%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기반 생활밀착형 제품 및 파단강도 10kN/m 이상
고 레질리언스 주력산업용 제품 개발 256
9) 난분해 탄화수소 고부가화를 위한 고효율 효소-광촉매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258
10) 조건 생분해성 에스테르계 플라스틱의 고효율분해를 위한 차세대 생물자원 확보
및 탄소순환 원천기술 개발 261

Ⅱ. ICT융합, 디지털 의료ㆍ보건의료, 한의학 기술 분야 연구테마 267

1. ICT융합, 디지털 의료 기술 개발 267
1-1. ICT융합, 디지털 치료 기술 개발 267
1) 빅데이터 활용 신규 진단 기술개발(분야 1: 발달장애) 267
2) 빅데이터 활용 신규 진단 기술개발(분야 2: 정서장애) 270
3) 빅데이터 활용 신규 치료 기술개발 273
4) 첨단 대형연구장비 공유·활용 체계구축 276
5) 현장 실무형 디지털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279
6) (산자부) 청소년 및 청년 정서장애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282
7) (산자부) 청각 이상 증상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284
8) (문체부) 청소년 정신건강(심리·행동조절) 관리를 위한 게임기반 디지털치료기기 기술
개발 286
9) (문체부) 신체 장애인 온라인 활동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배리어 프리 체험형 XR 콘텐츠
기술 개발 290
1-2. ICT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개발 294
1) (총괄) 글로벌 진출형 디지털헬스 평가모델 개발 294
2) (1세부) 글로벌 진출형 호흡기 질환자 일상관리 디지털헬스 서비스 개발 296
3) (2세부) 글로벌 진출형 중증질환 경험자 일상회복 디지털헬스 서비스 개발 298
4) 퇴행성 뇌질환 중심 AI기반 디지털헬스 임상시험 플랫폼 개발 300
5) AI 기반 응급 의무정보 자동생성 지원 플랫폼 개발 302
6) (총괄) 심장혈관계 생체역학 디지털 시뮬레이터 개발 및 연계 디지털의료제품 개발 304
7) (1세부) 임상데이터 및 생체신호 기반 심장혈관 생체역학 3D 모델링·시뮬레이션
SW 제품 개발 306
8) (2세부) 심장혈관계 질환 예측·분석·모니터링을 위한 생체신호 연속측정 웨어러블
제품 개발 308

2. 보건의료, 한의학 기술 개발 310
2-1. 보건의료 기술 개발 310
1)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 기술개발 310
2)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311
3) 글로벌 혁신의료기술 실증지원센터 313
4) 응급실 특화 AI 기반 임상지원시스템 개발 컨소시엄 316
5)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319
6) 5G기반 이동형 유연의료 플랫폼 실증지원 320
7) 뇌신경계질환 임상현장 문제해결 기술개발(수요기반형) 322
8) 바이러스성 전달체 개발 324
9) 비바이러스성 전달체 개발 326
10) 스마트전자약사업화종합지원센터 328
11) 지역사회 기반 로봇ㆍAI기술을 활용한 정신건강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중재 플랫폼
개발 330
12) 코로나 엔데믹 시대의 코로나 중증 감염 및 롱 코비드 대응 원천기술 개발 332
13) 미래 감염병 대유행 대비 이종모델-네트워크 활용 전임상 플랫폼 개발 335
2-2. 한의약 혁신기술 개발 338
1) 가이드라인개발 338
2) 한의의료기술 최적화 임상연구 341
3) 한의중개개인연구 344
2-3. (식약처) 출연 연구개발 사업 345
1) mRNA 기반 사람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지표 개발 연구 345
2) mRNA 기반 대상포진바이러스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지표 개발 연구 348
3) 의약품 등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기술 개발 연구(8과제 통합형) 350
4) 제브라피쉬 및 꼬마선충 등을 이용한 대체시험법 개발 및 최적화 연구 363
5) 혈장분획제제(독소 및 항독소 등) 품질평가를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366
6) 의료기기 구강점막자극 동물대체시험법 최적화 연구 368
7) 동물대체 자원은행 구축 연구 371
8) 인공지능 기반 마약류 동물행동 평가 연구 374
9) 합성대마류 대사 및 생체 영향 연구 377
10) 합성생물학 기반 마약류 대사체 신속검사기법 개발 381
11) 식품 혼입 마약류 동시분석법 확립 연구 385
12) 식품 중 마약류 비파괴분석법 확립 연구 388
13) 동물모델 활용 마약류 재활 기술개발 392
14) 신규 동/식물성 단백질 소재의 특성 및 알레르겐 확인 기술 개발 395
15) 세포(주)와 세포배양 성분·기술의 안전성 평가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398
16) 최종산물(시제품) 및 식품 원료로의 사용시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401
17) 항생제 대체 신규 항균물질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404
18) 배양액 및 조성물 안전성 평가기술/체계 개발 406
19) 빅데이터·AI 기반 식품 안전성 판단 알고리즘 개발 408
20) 디지털링크(글로벌 표준 바코드) 활용 식품안전정보 전달 기술 개발 연구 410
21)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이 적용된 식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414

Ⅲ. 농림/축산/해양·수산/식품 분야 연구개발 테마 419

1. 스마트 팜(농업), 차세대 육종, 동물 감염병 대응 기술 419
1-1.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 개발 419
1) 시설과채류 지능형 수직농장 통합시스템 개발 및 실증 419
2) 스마트 온실용 작물 생육 정밀모니터링을 위한 반도체 센서노드 개발 및 실용화 421
3) 지능형 분무경 수경재배시스템 개발 및 재배기술 최적화 422
4) 한우, 젖소 개체식별 및 지능형 사양관리 솔루션 상용화 424
5) 돼지 경제형질 모니터링을 통한 지능형 급이시스템 상용화 426
6) 가축(축우, 돼지) 실시간 생체정보 측정기술 및 지능형 자동알림시스템 상용화 428
7) 복합환경 멀티센싱, 지능제어 가능한 스마트축사(한우, 젖소, 양돈) 구축 430
8) 수출형 스마트 계사 K-모델 실증 432
9) 스마트축사 환경 및 사양관리 통신기술 검증 및 상용화 434
10) 스마트 온실 생산환경 관리용 인공지능 플랫폼 실용화 436
11) 스마트 온실 전용 태양전지 및 광필터 적용 기술 실증 및 상용화 438
12) 신재생에너지 및 복합열원 등을 활용한 온실 에너지기술 상용화 440
13) 지능형 K-Farm 온실 구현을 위한 기존 유리온실의 리모델링 최적화 기술개발 442
14) 스마트 온실의 지능형 정밀 환경제어시스템 개발 및 실증 444
15) 스마트 온실 맞춤형 친환경 냉난방시스템 실증 및 상용화 446
16) 가축분뇨 및 축산부산물 활용 차세대 에너지원 전환기술 실증 및 상용화 448
17) 스마트축사용 신재생에너지 연계 냉난방시스템 및 순환형 에너지 저장 기술개발
및 실증 450
18) 스마트축사 생산환경 관리용 인공지능 플랫폼 실용화 452
1-2. 차세대 농작물 신육종 기술 개발 454
1) 고추 유전자교정 시스템 구축 및 활용 454
2) 내재해성 유전자교정 벼 변이집단 구축 및 활용 456
3) 생산량 증대를 위한 벼 변이집단 구축 및 활용 458
4) 신육종기술실용화사업 성과 확산을 위한 거점 구축 460
5) 유전자교정 벼 변이집단 표현형 분석 및 공동활용 시스템 구축 462
6) 유전자교정 작물 개발을 위한 형질전환 거점 운영 464
7) 차세대 유전자교정 모듈 및 작물 적용 기술 개발 466
8)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한 유전자교정 토마토 육종소재 개발 467
9) 형질전환 범용 기술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거점 운영 468
10) 고온 스트레스 저항성 엽채류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470
11) 노린재 저항성 유전자교정 콩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472
12) 당도 증진 유전자교정 토마토 육종소재 개발 474
13) 대사경로 조절 고기능성 유전자교정 육종소재 개발 476
14) 산업 소재 생산용 유전자교정 버섯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478
15) 유용소재 및 농업형질 개선 유전자교정 콩 육종소재 개발 480
16) 유전자교정 기반 고품질 밀 육종소재 개발 482
17) 유전자교정 기반 다중 재해저항성 가지과 육종소재 개발 484
18) 유전자교정 기반 반수체 유기 및 생식생장 조절 육종소재 개발 486
19) 유전자교정 기반 병 저항성 양배추 육종소재 개발 488
20) 유전자교정 기반 병 저항성 토마토 육종소재 개발 490
21) 유전자교정 기반 병해충 저항성 배추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492
22) 유전자교정 기반 복합 바이러스 저항성 토마토 육종소재 개발 494
23) 유전자교정 기반 복합 스트레스 저항성 배추과 육종소재 개발 496
24) 유전자교정 기반 복합저항성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498
25) 유전자교정 기반 우수농업형질 들깨 육종소재 개발 500
26) 유전자교정 기반 전분 품질개선 벼 육종소재 개발 502
27) 유전자교정 기반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504
28)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한 다수확 토마토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506
29) 유전자교정 작물 품종화 및 가치평가 체계 구축 508
30) 저장성 및 기능성 개선 고품질 배추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510
31)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사업단 3단계 운영지원과제 512
32) 품질개선 유전자교정 벼 육종소재 개발 514
33) 항암성분이 강화된 양배추·브로콜리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516
34) 헬스케어 소재 생산을 위한 유전자교정 벼 육종소재 개발 518
35)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개발한 작부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 연구 520
1-3. 고위험 동물감염병 대응 기술개발 522
1) 기생충, mRNA 백신 시스템 개발 522
2) 차세대 핵심기술을 활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백신 개발 524
3) 박테리아 외막소포체 기반 고위험 가축질병 예방용 백신 시스템 개발 526
4) 나노바이오 기술기반 고위험 감염병 대응 전달시스템 개발 528
5)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DIVA 백신 다중항원 전달체 개발 530
6) 고위험 동물감염병의 고속 현장 분자진단 시스템 개발 532
7) 고민감도 진단 플랫폼 개발 534
8) 가금류 사육 농가 방역기술 첨단화 537
9) 돼지 사육 농가 방역기술 첨단화 538
10) 국내유입 고위험 해외발생 가축질병 대응 기술개발 540
11) 아프리카돼지열병 신규변이 사전대응 기술개발 542
12) 미확인 가축질병 사전 대응체계 구축 연구 544

2. 농생명, 해양수산, 식품 분야 기술 개발 546
2-1.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개발 546
1) 식품 마이크로바이옴 효소(ERFM) 자원화 기술 개발 546
2) 식품 소재의 마이크로바이옴 영향 분석과 소재 사업화 548
3)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대사증후군 개선 식품 신소재 개발 550
4) 돼지의 소화효율 개선 및 질병저항성 증진을 위한 면역 증강 미생물제제 개발 552
5) 마이크로바이옴 정보 기반 작물재배 관리 복합 미생물제 개발 및 현장 실증 554
6) 복합종균 기반 맞춤형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및 산업화 556
7)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대량생산 및 파라-프로바이오틱스(사균체)
소재화 기술개발 558
2-2. 고부가가치 식품, 수산식품 기술 개발 560
1) 배양육 배지 원료의 국내 공급 기술 개발 560
2) 배양육용 만능성 줄기세포주 확립 및 분화-대량 배양기술 개발 562
3) 정밀발효, 바이오매스 발효 등 미생물 유래 단백질 대량생산 및 이용기술 개발 564
4) 고품질 단백 구조체 파일럿(pilot) 설비 개발 및 실증 연구 566
5) 식물성 대체육 적용을 위한 신규 대체지방 소재 개발 및 산업화 569
6) 고수분 TVP(Textured Vegetable Protein) 제조기술 및 K-대체 닭고기 상용화 기술
개발 572
7) 고혈압 환자용 나트륨 저감을 위한 짠맛 대체 소재, 칼륨 함량 강화를 위한 칼륨
소재 발굴 및 이를 적용한 제품 개발 574
8) 식물, 천연물 기반 비타민, 미네랄 고함량 생산기술 개발 576
9) 생물전환 기술을 활용한 대사성 질환 프리바이오틱스 소재 대량생산 기술 개발 578
10) 다중 노즐 3D 프린팅 기법을 적용한 다종 식품잉크 대체육 생산기술 개발 580
11) 3D 식품 프린팅 잉크소재, 물성 제어기술 등 개발 및 이를 활용한 맞춤형 식품 제조
기술 개발 582
12) 생분해성 플라스틱 대체 식품 종이 포장재 물성 강화 및 생산기술 최적화 584
13) 간편식(밀키트 등)의 고품위 냉해동 기술 개발 587
14) 소스류 살균(Direct steam 원리) 자동화 공정 시스템 개발 589
15) 박피 등 원재료 손실 최소화를 위한 전처리 협동 기술 개발 592
16) K-Food 발효 제조공정 모니터링을 위한 센싱 및 판단 알고리즘 기술 개발 594
17) HMR 공정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비정형 특성 원료 조합 등 협동 기술 596
18) 밀키트 등 다종 소분 구성품 유연 포장 자동화 설비 호환 기술개발 598
19) 식품 부산물(곡류) 유래 고부가가치 소재 발굴 및 업사이클링 산업화 600
20) 단백 가공 부산물 이용 업사이클링 식품 소재 개발 602
21) 가루쌀 유래 저항전분 및 난소화성 전분당과 쌀단백질 소재화 기술 개발 604
22) 글루텐 대체 소재 및 이용 기술 606
23) 향미 등 수입 식품소재 국산화, 대체기술 개발 609
24) 기능성 소재 수용도 증진을 위한 제형 다변화 기술 개발 612
25) 대체해조육 상용화 기술개발 614
26) 수산배양육 생산 기술개발 61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