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란 현실에서 비롯되어 현실을 바꾼다
철학 최전선에 선 74인의 철학자가 펼치는 향연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지닌 철학자들이 각기 자신의 주제에 관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집필했지만,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시리즈의 글들은 일관된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다. 제목에서 보이듯 이 책들은 ‘철학과 현실’의 관계에 주목한다. 철학과 현실이 불가분의 관계임을 끊임없이 일깨운다.
현실과 유리된 철학은 존재하기 어렵다. 철학은 철학자의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비롯되며 그의 현실 체험이 철학의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은 한 철학자나 특정 학파의 사상이 어떤 생활 세계와 현실 인식에서 비롯되었는지를 탐구하고 성찰한다. 이 작업은 철학의 과거를 정리하고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큰 의미를 갖는다.
한국 철학계의 거목, 철학자들이 존경하는 철학자
이명현 서울대 명예교수를 기리는 철학적 헌정
‘철학과 현실’은 현우(玄愚) 이명현(李明賢, 1939~) 교수가 오래도록 천착해온 주제이다.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시리즈는 이명현 교수의 85세수(八十五歲壽)를 맞아, 그가 오늘날의 한국 철학계를 형성하는 데, 특히 한국 철학계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빛나는 공적을 후학들이 오래오래 기억하고, 학계를 더욱더 발전시키고자 다짐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74인의 철학자가 뜻을 함께한 대형 기획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명현 교수는 평안북도 신의주 출신으로 월남하여 제주도에서 성장했으며 검정고시를 거쳐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여 졸업한다. 이후 미국의 브라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3년에 귀국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교수 활동을 시작하였고 1977년에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전임하여, 2007년에 정년 퇴임했다.
한국 철학계는 일제강점기의 여파로 초기 1950~1970년대는 독일 철학적 주제들이, 이어지는 1980~1990년대는 사회철학이 학계의 주류를 이루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이명현 교수는 이른바 영미 철학의 분위기를 일이 교수님은 비트겐슈타인을 천착하였고, 이로써 한국 철학계에 새로운 학풍을 조성하였다. 영미 철학 분야가 한국 철학계의 큰 줄기로 발전하고 2000년 이후 학계의 대세가 되는 데 초석을 놓았다.
이명현 교수는 1980년 신군부 치하에서 4년여 강제 퇴직을 당하기도 했고, 복직 후 1994~1996년 간에는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상임위원을 맡아 이른바 ‘5·31 교육개혁안’(1995)을 마련, 현행 교육 3법의 제정을 주도하였다. 1997년 8월부터 1998년 3월까지는 교육부 장관직을 맡아 교육 3법에 부수하는 제도 정비 작업을 수행하였다.
『인간 교화의 길』,
인간다운 성장의 길을 모색하는 동양 철학
철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인간이 인간답게 성장하는 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는 진리와 의미를 밝히는 과제에 비해 중요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세 번째 책 『인간 교화의 길』은 이러한 인간 성장에 대한 동양 철학 사상의 탐구를 다룬다. 유가 사상은 자기 교화를 통해 성인(聖人)이 되는 것을, 노장학은 인간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나아가 하나가 되는 것을, 불교 사상은 번뇌와 고통을 벗고 해탈(解脫)에 이르는 길을 가르친다.
『인간 교화의 길』은 장자의 이성관과 ‘情’과 ‘無情’, 왕충의 무위자연론, 주희의 유학적 세계관, 퇴계의 주리론과 율곡의 주기론 등을 주제로 삼아 노장와 유가의 진실을 좇는다. 그리고 깨달음, 자비, 허공, 유가행파 관념론, 군주관과 인간론, 화엄 사상의 지향, 초월과 현실, 상관적 사유, 원료의 일심론, 달라이 라마의 평화론 등 불가(佛家)의 진의(眞義)을 탐구한다.
동양의 사상과 철학, 종교는 종파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취하고 있지만, 이들의 최종 지향은 ‘참사람’으로 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자연주의의 외형을 보이면서도 그 내면은 인간에 지고의 가치를 두는 휴머니즘을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