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불교미술개론

한국불교미술개론

  • 문명대
  • |
  • 덕주
  • |
  • 2024-07-05 출간
  • |
  • 312페이지
  • |
  • 180 X 230 X 17mm
  • |
  • ISBN 9791198814609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각, 건축, 회화, 공예 같은 것을 우리는 흔히 조형예술, 공간예술 또는 시각예술이라 하여 예술의 한 분야로 간주하고 있는데, 불교미술은 바로 불교의 조각, 건축, 회화, 공예 등을 통틀어서 말하는 것이다. 즉 탑(塔), 불상(佛像), 불화(佛畫) 불구(佛具) 등과 같은 숭배 대상의 미술품이 조성되어 불교미술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1. 탑은 돌아가신 부처님의 뼈[사리(舍利)]를 봉안하는 일종의 무덤이다. 부처님[불(佛), 불타(佛陀)]를 따르던 많은 신도들에게 이러한 무덤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부처님의 어떤 흔적이라도 대해야만 부처님이 말한 그 진리의 말씀도 실감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처님의 뼈를 탑에 모신다는 것은, 후대의 불교도들에게는 신앙심의 결정체를 모시는 것이며, 불교의 구체적인 진리에 한층 더 다가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까닭으로 탑은 불교의 대표적인 건축 미술이 되었다.

2. 후대로 내려오면서 탑만으로는 일반 신도들의 신앙심을 만족시켜 줄 수 없게 되자 보다 새로운 대상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나타난 것이 탑 주위 난간에 부처에 관한 여러 가지 설화(說話)들을 조각하여 어려운 경전의 내용이나 부처님의 전생 또는 일생을 그림으로 쉽게 보여주는 것이었다. 여기서 한 단계 진보하여 나타난 것이 불상과 보살상(菩薩像), 천부상(天部像) 등이다. 이들은 부처의 얼굴이나 신체를 직접 대함으로써 불교의 진리나 부처님의 경지를 보다 뚜렷하게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가 있었다.

3. 불상을 모시기 위해서는 이를 봉안할 집이 있어야 한다. 이 집을 보통 법당(法堂), 정확히 말하면 금당(金堂)이라 한다. 쉽게 말해서 예불당 또는 예배당이다. 불상을 모신 금당은 여러 가지로 장엄하게 꾸며진다. 벽에는 벽화를 그리고, 건물 내외에 수많은 장식을 한다. 여기서 본격적인 불교건축이 등장하게 되며, 벽에 그린 벽화는 불교회화의 새로운 전개로 펼쳐진다. 불화는 세밀하게 묘사하기 힘든 여러가지 불교설화나 다종다양한 경전을 변상(變相)으로 마음대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애용되던 불교미술이었다.

4. 불교공예품은 절에서 전통적으로 쓰이던 모든 의식구(儀式具)에서부터 일상의 온갖 생활용품을 망라하므로, 그 종류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불교공예품은 쓰임새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다. 첫째, 소리를 내어 의식의 장엄한 분위기를 살리는 종(鐘)이나 북[고(鼓)]과 의식에 필요한 의식법구(儀式法具)들이 있다. 둘째,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데 사용하는 공양구(供養具)들로 향로, 사리기, 정병, 꽃병, 물병 등이 있다. 셋째, 절의 불교적인 장엄한 분위기를 살려주는 장엄구들인데, 불단, 천개, 당번, 기와 등 같은 것이 이에 속한다. 불교공예는 사원 생활이나 의식에 가장 필요한 것이므로 그만큼 친숙하고 또한 우리를 감동하게 한다.

목차

머리말

서장 불교미술(佛敎美術)의 이해
Ⅰ불교미술이란 무엇인가?
Ⅱ불교미술의 발생과 전개
1. 초기 불교미술시대(기원전 6세기~기원후 1세기 후반)
2. 불상시대(佛像時代)

제1장 불교건축(佛敎建築)
Ⅰ개요
Ⅱ불교사원의 건축
1. 절이란 무엇인가?
2. 기원과 형성
3. 배치 형식
4. 불교사원의 종류
Ⅲ 불탑(佛塔)
1. 탑이란 무엇인가?
2. 기원과 전개
3. 배치와 구조
4. 종류(재료와 형태)
5. 탑 안에 넣는 보물

제2장 불상(佛像)
Ⅰ개요
1. 불상이란 무엇인가?
2. 불상의 기원
Ⅱ불상의 종류
1. 재료
2. 형태
3. 불교상의 존격(尊格)
Ⅲ 불상의 도상형식
1. 불교의궤(佛敎儀軌)와 32상(相) 80종호(種好)
2. 불신(佛身)
3. 광배(光背, Cakra)
4. 대좌(臺座, Āsana, Piṭha)
5. 손가짐[인계(印契)]
6. 옷[의상(衣裳)]
7. 불복장(佛腹藏)
8. 불교의 수 개념 (數量法)

제3장 불화(佛畵)
Ⅰ개요
1. 불화란 무엇인가?
2. 기원
Ⅱ불화의 종류
1. 재료
2. 쓰임새
3. 주제

제4장 불교공예(佛敎工藝)
Ⅰ개요
Ⅱ불교공예의 종류
1. 의식법구(儀式法具)
2. 공양구(供養具)
3. 장엄구(莊嚴具)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