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홀로’에서 ‘다른 이들과의 연합’으로
나우웬은 인생의 단계는 어머니의 태중에서 온전한 한 사람으로 자리매김하는 성인이 되는 것처럼, 믿음의 단계 역시 ‘철저히 내 중심의 신앙’인 유아기적 신앙에서 ‘다른 이들과의 연합’까지 이루는 성숙한 신앙으로 나아가야 함을 도전한다. 그리하여 ‘마술과 같이 믿던 신앙’에서, ‘온전한 신앙’으로 우리를 이끌어 준다. 신앙의 여정을, 나에게서 멈추지 않고, 고통받는 이들에게 자신의 삶을 헌신할 수 있는 자리로까지, 마술에서 믿음으로 오는 여정임을 말해 주고 있다.
‘탈취의 관계’가 아닌 ‘사랑의 관계’로
우리는 과연 아무런 방어 없이 동료 인간을 대할 수 있을까? 자신의 연약한 모습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을까? 군인들도 앉아서 먹을 때는 무기를 내려놓는다. 먹는다는 것은 평화와 안식을 뜻하기 때문이다. 잠자리에 누울 때는 그보다 더 약해진다. 식탁과 침대는 연약함 중에 사랑이 표현될 수 있는 친밀함의 두 처소이다. 나우웬은 인간관계를 탈취의 형태가 아니라, 사랑의 형태로 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랑이란 바로 약자의 친밀한 교제 속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자신의 약점까지 내어보일 수 있는 사랑의 형태임을 보여 주고 있다.
하나님의 불기둥에 항상 붙어 있는 자세
누구라도 하나님과 친밀해야 한다. 특히 사역자들은 더욱 더 하나님과 친밀해야 한다. 하나님과의 친밀함과의 시간을 놓칠 때, 깊은 우울과 삶의 방향 감각을 잃게 된다. 그것은 사역자뿐 아니라, 신앙 공동체도 마찬가지인다. 우리의 신앙이 마술에서 온전한 믿음으로, 나 자신만을 위한 삶에서 약자들을 위한 삶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과 친밀함 속에서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