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계율꽃과가시

계율꽃과가시

  • 원영
  • |
  • 담앤북스
  • |
  • 2013-05-15 출간
  • |
  • ISBN 978899894603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3,800원

즉시할인가

12,4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4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버리다
출가_ 잘 왔다 비구여
안거와 수행_ 고요한 마음집중에 몰두하다
수계_ 어떠한 약속을 할 것인가
스님과 법명_ 불교가 있고 우주가 있고 또 사람이 있다
해제_ 모든 이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떠나라
소임_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가
도반과 승가 교육_ 보리수 씨앗 하나, 거목이 되다
법계와 승가고시_ 스님들, 긴장하다
법랍과 토론_ 내가 틀리고 상대가 옳을 수도 있다
여성 출가자_ 공감과 자비의 손길로 사회 구석구석을 보살피다
장애인 출가_ 가변의 질서가 될 것인가, 불변의 질서로 남을 것인가
파승_ 부디 함께 비추어 안온하게 삽시다
삭발과 다짐_ 충분히 멋진 일 아니겠는가

얻다
사찰_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열린 공간
도량 불사_ 아늑한 사찰, 지친 이들을 품다
도량 지킴이_ 저 대대적인 선교활동을 또 어찌할꼬
음성공양과 산사음악회_ 마음을 맑히는 문화공양
객승과 객실문화_ 차라리 절 밖에 머무는 편이 더 낫다면?
삼배와 인사문화_ 절, 내 안의 불성을 향한 마음가짐
스님과 신도관계_ 때문이라는 ‘원망’과 덕분이라는 ‘감사’
걸망과 자동차_ 스님, 그 걸망 속에는 뭐가 들어 있나요?
스님과 산행_ 스님들의 산행 복장, 어떻게 하면 좋을까
삼의(三衣)와 소비욕구_ 오늘은 내 걸망부터 풀어봐야겠다
정법(淨法)_ 그것은 죄가 되지 않는다
정인(淨人)_ 이 시대 한국불교의 목소리
사방승물과 현전승물_ 승가의 자산은 누구의 소유인가
도둑질하지 말라_ 우리가 정말 나쁜 사람이라서 문제가 생기는 것일까
칠불쇠퇴법_ 승가는 쇠퇴하지 않고 영원하리라
대승보살계_ 그것이 과연 중생을 위한 일인가

다시 버리다
마나타와 왕따_ 우선은 즐겁고 유쾌한 말 한마디를!
술과 중독_ 잦은 술자리로 온 나라 온 도시가 휘청거린다
명절과 음식물쓰레기_ 세상은 적당량을 덜어 남김없이 먹는 음식문화가 대세다
육식과 살생_ 완벽한 채식주의자가 되기란 쉽지 않다
불살생계와 자살_ 중요한 것은 자살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
나무 심기_ 미래의 봄은 더 이상 당연한 봄이 아니다
보시에 대한 생각_ 누구도 두 켤레의 신을 한꺼번에 신을 수는 없다
버림과 얻음_ 좋은 일도 고된 일도 다 같이 오는 법
기도와 종교의 역할_ 길은 이미 일러 주었으니 스스로 나아가라
여초부지_ 누운 풀이 땅을 덮듯 죄를 덮는다
다인멱죄와 투표_ 율이나 법의 문제는 아니다 사람이 문제다
소임자 선출과 그 자세_ 어디서부터 바뀌어야 할까
불교와 정치인_ 정치 바람에도 흔들림 없는 불교
화상_ 존경받는 어른이 많아야 불교가 번영한다
자자(自恣)와 쓴소리_ 현명한 사람은 쓴소리의 가치를 알기 마련이다
오계로 본 부처님 가르침_ 선한 습관 길들이기

도서소개

이 책은 2600년 전 인도에서 부처님과 제자들이 수행할 때의 생활모습과, 많은 수행자들이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일들로 인해 ‘율(律)’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렇게 제정된 율이 각각의 사건에 적용되는 것을 하나하나의 에피소드로 활용하여 현재 한국불교 내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현상들을 살펴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며 계율이 제정된 동기와 함께 우리는 이를 현대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곰곰 살펴볼 수 있다.
BBS 불교방송 ‘아침풍경’의 새 진행자이자 대한불교조계종 교수아사리(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스님) 중 유일한 소장파 비구니인 원영 스님이 들려주는 계율 이야기

허물이 있으니 계율이 생겼다

수범수제(隨犯隨制). 불교의 계율이 제정된 이유를 한마디로 나타내주는 말이다.
불교의 계율은 기독교의 ‘십계’나 이슬람의 ‘율법’처럼 신의 계시에 의해 한날한시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 그때그때 제정한 것을 모아 놓은 것이다. 즉 출가자의 비행이 있을 때마다(隨犯) 부처님이 그것을 규제하여 금지조항을 만든 것(隨制)이다.
사실 교단이 생기고 한동안은 이런 계율 제정의 필요성조차 없었다. 오직 깨달음을 위해 한길을 가는 수행공동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법(佛法)이 급속히 퍼져나가자 이 공동체 안으로 ‘수행’이 목적이 아닌 사람들 즉, 불순한 의도를 가진 외도, 군역이나 굶주림을 피해서 들어온 사람들이 하나둘 생기기 시작했다. 당연히 교단이 흔들렸다. 여기에 수행에서 도태되었던 사람들이 공동체를 떠나지 않고 도둑질(단니가 비구)이나 음행(수디나 비구) 심지어 살인(바구강변 비구)까지 벌이는 일도 일어났다. 당연히 신도들의 곱지 않은 시선을 받게 되었고 때로는 스님들에게 공양을 거부하는 사태까지 발생하게 된다. 부처님은 수행자의 수행 편의와 신도들의 오해를 사지 않기 위해 그때그때마다 계율을 제정하게 된다.
이런 계율을 모아 놓은 책이 바로 율장(律藏)이다. 그런데 딱딱할 것만 같은 이런 율장에는 이런 계율이 만들어지게 된 연유가 하나하나 적시되어 있어 읽다보면 부처님과 수행자들은 당시에 어떤 옷을 입고, 무엇을 먹고, 어디에서 수행하고, 잘못을 저질렀을 때는 어떤 벌을 받았으며, 다툼이 있을 때는 어떻게 해결했을까 등등 재밌는 이야기들이 많이 등장한다.

오늘의 거울, 2600년 전

이 책은 2600년 전 인도에서 부처님과 제자들이 수행할 때의 생활모습과, 많은 수행자들이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일들로 인해 ‘율(律)’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렇게 제정된 율이 각각의 사건에 적용되는 것을 하나하나의 에피소드로 활용하여 현재 한국불교 내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현상들을 살펴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며 계율이 제정된 동기와 함께 우리는 이를 현대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곰곰 살펴볼 수 있다.

저자는 ‘율장을 통해 가장 잘 알 수 있는 것은 승가라고 하는 출가수행공동체의 생활상’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서 율장이라고 하는 불교의 역사적 기록물을 읽으면서 ‘승가’라고 하는 조직의 역사와 변천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데, 그것을 통해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존속시켜 나갈 것인지 가늠해 가며 한국불교의 밝은 미래를 꿈꿀 수 있다고 말한다.

과거를 통해 미래를 밝히다

책은 모두 3장으로 나누어졌는데 각각의 이야기는 모두 현대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수행하면서 직접 겪은 경험담을 말머리로 열면서 2600년 전 당시 상황은 어떠했는지, 그것이 현대에 와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핀다.

버리다 편에서는 불교의 구조적인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출가, 안거와 수행, 해제, 소임, 법랍과 토론, 여성 출가자, 장애인 출가, 파승 등과 관련하여 당시 승가공동체의 상황과 생활과 규범들을 알 수 있다.
‘출가’와 관련해서 저자는, 부처님은 진리를 추구하여 떠나고 싶어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자신의 욕망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이들을 일깨움으로써 그들을 출가의 길로 이끄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면서 현재, 유일신이나 신비주의에 대해서는 별로 믿음이 가지 않고 그렇다고 절대자의 존재를 믿을 정도로 순박하지도 않은 젊은이들에게 불교의 출가는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는 가장 합리적인 안목을 제시해 준다고 말한다.

얻다 편에서는 유 ㆍ 무형의 불교문화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사찰, 도량 불사, 음성공양과 산사음악회, 객승과 객실문화, 삼배와 인사문화, 걸망과 자동차, 스님과 산행, 정법(淨法), 정인(淨人) 등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율장을 보면 부처님 당시에도 자신이 머물 공간에 집착을 보이는 상황이 나타나고 의복에 욕심을 내는 비구가 있어, 개인 수행처의 크기를 제한했으며 옷도 세 벌만을 갖추라고 하였다 한다. 옷을 세 벌만 갖추라는 삼의(三衣)의 규정이 생기게 된 배경이 재미나다. 또한 반드시 지켜야 하는 딱딱한 계율 가운데 일종의 편법으로 활용되어 숨통을 틔어 준 ‘정법(淨法)’ 제도가 존재했음을 읽으면서는 예나 지금이나 어디든 ‘구멍’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다시 버리다 편에서는 마나타와 왕따, 술과 중독, 육식과 살생, 나무 심기, 보시에 대한 생각, 불교와 정치인, 화상, 자자(自恣)와 쓴소리 등 불교가 이 시대에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