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도메인 주도 설계의 빌딩 블록과 객체지향 설계 원칙(SOLID)을 사례로 설명
◆ 이벤트 소싱을 사용할 때 만나는 대표적인 문제와 해결 방법 소개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서비스간 RESTful API와 이벤트를 사용한 협력 설명
◆ 결과적 일관성을 구현하는 상세한 방법과 이벤트 소싱으로 결과적 일관성 구현
◆ 결과적 일관성의 비동기 프로세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설명
◆ 명령과 조회 책임 분리(CQRS)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 소개
◆ 쿠버네티스/이스티오를 활용한 서비스 배포와 모니터링
◈ 이 책의 대상 독자 ◈
◆ 도메인 주도 설계나 객체지향 설계 원칙을 처음 접하는 개발자
◆ 이벤트 소싱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무에 적용하고 싶은 개발자
◆ 결과적 일관성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고 싶은 개발자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주요 주제에 대해 정리하고 싶은 개발자
◈ 이 책의 구성 ◈
이 책은 총 9장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도메인 주도 설계, 객체지향 설계 원칙에서 시작해 이벤트 소싱, CQRS와 함께 마이크로서비스 간 협력 방법 그리고 보상 트랜잭션(Compensating Transaction) 또는 사가SAGA로 알려진 결과적 일관성을 다룹니다. 후반부에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이슈와 배포 및 운영을 위한 도커(Docker)와 쿠버네티스(Kubernetes)처럼 클라우드 환경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술을 다룹니다.
‘1장, 도메인 주도 설계"에서는 도메인 주도 설계의 기본 요소인 엔티티, 값 객체, 애그리게이트, 서비스, 리포지토리, 팩토리를 소개합니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도메인 주도 설계에서 말하는 애그리게이트와 잘 어울리는 접근법입니다. 이 여섯 개 구성 요소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단일 마이크로서비스의 내부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2장, 객체지향 설계 원칙’에서는 1장에서 설명한 도메인 주도 설계의 빌딩 블록과 함께 객체지향 설계 원칙인 SOLID를 살펴봅니다. SOLID는 오래된 원칙이지만 여전히 중요하며 효과가 있습니다.
‘3장, 이벤트 소싱 I’에서는 그렉 영이 공개한 『CQRS Documents』에서 제시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이벤트 소싱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 구현합니다. 이 메커니즘은 이어지는 장에서 설명하는 이벤트 소싱의 주요 특징과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4장, 이벤트 소싱 II’에서는 이벤트 소싱을 적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제를 살펴봅니다. 긴 라이프사이클을 가지는 애그리게이트는 많은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이벤트들을 리플레이할 때 사용 가능한 메모리의 한계와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시스템을 유지보수할 때 요구사항을 수용하면서 이벤트의 변화(버전 변화)를 처리하는 방법도 소개합니다. 애그리게이트는 독립적인 존재이지만 같은 애그리게이트가 동시에 다른 명령을 처리하면서 같은 속성을 변경할 때 부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 방법을 알아봅니다.
‘5장, 마이크로서비스 협업’에서는 헥사고날 아키텍처(Hexagonal Architecture)에서 서비스 간 협력 방법인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어댑터를 설명하고 대표적인 구현 기술인 RESTful API와 이벤트를 살펴봅니다. 인바운드 어댑터는 외부의 요청을 받아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아웃바운드 어댑터는 비즈니스 로직 수행 전반에 걸쳐 다른 서비스와의 협력에 사용합니다.
‘6장, 결과적 일관성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논란의 중심이 되는 결과적 일관성(분산 트랜잭션, 보상 트랜잭션, 사가)과 이를 해결하는 원리를 설명합니다. 에릭 에반스(Eric Evans)가 도메인 주도 설계에서 소개한 계좌 이체를 사가로 구현해 봅니다.
‘7장, 명령과 조회 책임 분리(CQRS)’에서는 3장과 4장에서 설명한 이벤트 리플레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조회 전용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는 CQRS를 다루고 대표적인 활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CQRS는 트랜잭션 요구사항에 따라 마이크로서비스 간뿐만 아니라 단일 마이크로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8장,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백엔드 분리만큼 프론트엔드의 분리도 중요합니다. 이 장에서는 백엔드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는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와 마이크로서비스의 독립성을 높이기 위한 배포 방법을 소개합니다. 프론트엔드가 백엔드로 요청 후 응답을 받았지만 비즈니스 트랜잭션은 아직 진행 중일 수 있습니다. 이는 백엔드 간 결과적 일관성을 달성하기 위해 이벤트를 활용하고 비동기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프론트엔드 요청과 응답간 단절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패턴들을 설명하고 스벨트로 구현해 봅니다.
‘9장,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클라우드 운영에 필요한 주요 기술을 설명하고 앞서 개발한 서비스를 배포해 봅니다.
독립적인 마이크로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블루-그린/카나리 배포를 지원하는 최적의 오픈소스 솔루션인 도커와 쿠버네티스의 기본 구성 요소를 소개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시 클라우드 관련 기술 요소를 코드베이스와 분리해 비즈니스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메시인 이스티오 및 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의 매트릭을 모니터링해 시계열 데이터로 수집하는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프로메테우스로 수집한 매트릭을 시각화하는 그라파나(Grafana), 키알리(Kiali)를 설치하고 설정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