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집>>에는 서문(序文) 2편과 시(詩) 64편 74수, 잡저(雜著) 13편이 실려 있다. 상당히 적은 양이긴 하지만, 현재로는 일선 스님의 유일한 저작물이다. 서문은 경신년(庚申年) 석총도인(石潨道人)의 것과, 신사년(辛巳年)에 창수가 쓴 것 두 가지가 있다.
선승(禪僧) 일선(一禪)은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인물로, 서산대사 휴정[淸虛休靜]의 4대 제자 중의 한 분이었다. 조선조 불교계가 휴정 문하로 도배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른바 4대 문파의 수장이었다고 하니 스님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세속 나이는 4대 제자 중 가장 많다. 그는 깊은 산속 암자에서 청정 수도로 일관한 인물이다. 그의 시 속에는 자연과 함께하는 즐거움과 풀뿌리 속에서 느껴지는 향긋한 정취가 들어 있다. 별다른 수식이나 전고도 찾기가 힘들다. 그냥 담박하니 당시의 느낌을 몇 자 적어 두었을 뿐이다. 또한 그의 편지글 속에는 전쟁터로 나간 도반들의 안녕과 무운을 비는 마음이 가득 차 있다.
정관일선의 문학을 한마디로 규정하자면 ‘청정(淸淨) 수도(修道)와 출세간(出世間)의 불도(佛道)를 향한 탐구’라 할 수 있다. 그는 시를 통해 출가자의 본분과 수행 방법에 대한 철저한 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출가란 속세를 벗어나 인간 근원의 자성(自性)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나선 고달픈 길이다. 그 과정으로 짚신짝 하나로 온 천지를 답파한다. 자성을 찾기 위한 고행은 필요 불가결한 과정이다. 추위와 굶주림 등 육신의 고통을 수행자는 달게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구도자의 길이 늘 외로운 것만은 아니다. 숱한 자연의 모습이 옆에 있고, 그 과정에서 정신세계로 차 들어가는 깨달음의 기쁨[法悅]이 있다. 이제 연기와 노을, 그리고 산천은 친숙한 수행의 동반자가 된다. 영욕(榮辱)으로 가득 찬 세속의 범부(凡夫)들이 뭐라 하든 참선에 든 승려는 끝없는 구도의 길을 가야 한다.
또한 그는 시를 통해 주객 대립(主客對立)을 초월한 불도(佛道)의 세계를 그려 내었다.
정관일선은 이제 자신이 느낀 출세간의 경지를 다양한 모습의 시를 통해 전달함과 동시에 스스로를 채찍질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관일선이 추구하고자 했던 출세간의 세계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깨달음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일단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여실(如實)하게 보는 요오(了悟)의 경지’라고 정의해 볼 수 있겠다. 세상 만물의 경계로부터 분별심을 끊고서, 다시 그 분별심이란 인식마저 끊어 버린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경지에 이르러서야 시인은 사물의 본질을 제대로 볼 수 있다. 이런 경지가 바로 ‘곧장 보되 보지 않고, 곧장 듣되 듣지 않는다(直見不見 直聞不聞)’는 경지다. 즉, 대상을 보지 않고 보는 것 또는 보되 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보지 않는다는 것은 견문지각(見聞知覺)의 단절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보고 듣고 알되, 그것을 의식하지 않고 그저 단적으로 보고 듣고 아는 무분별의 분별로서의 견문을 말하는 것이다. 단절된 것은 오직 주객 대립에서 본 대상적 세계일 뿐이지, 그것이 단멸된 뒤 높은 것은 높은 대로, 낮은 것은 낮은 대로의 여여(如如)한 실상(實相)의 세계는 분명히 현존하기 때문이다.
결국 정관일선은 교계(敎界)의 원로로서, 산사에서 철저한 청정 구도를 행한 인물이다. 그의 구도는 화두 참선의 방편으로 일관되게 진행되었다. 또한 그가 지향한 전미개오의 세계는 주객 대립의 분별상(分別相)을 끊어야 접근이 가능한 출세간의 세계였다. 그의 문학에는 용맹 정진의 끝에 맛보는 법열(法悅)의 세계에 깊게 침잠(沈潛)한 모습이 잘 형상화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