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것의 재료 유해화학물질, 당신은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우리가 매일매일 먹고, 마시고, 만지는 일상 속 유해물질의 모든 것
1장. 매일매일 ‘먹고 마시고 만지는’ 유해화학물질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과 소비제품, 의식주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제품에 어떤 형식으로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을까. 마트에서 구입하는 제품에, 음식에, 생물을 죽이거나 억제하기 위해 만든 살생물질(벌레 퇴치제 및 곰팡이 제거제, 방부제, 살균제 등)에 사용된 화학물질이 어떠한 경로로 들어와 어떠한 건강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는지, 당장 그 피해가 눈에 보이지 않아 놓치기 쉬운 유해물질로 인한 만성적 영향과 미미한 영향에 대해 왜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지 설명한다. 또한 유해화학물질의 건강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노출을 줄이는 것임을 강조하며, 일상에서 노출을 줄일 수 있는 실천법을 소개한다!
2장. 독이 되어 돌아온 화학물질
우리가 사용한 제품이나 먹다 남은 의약품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더 해로운 유해화학물질이 발생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습관처럼 사용한 플라스틱이, 고민하지 않고 버린 의약품이 연례행사처럼 해마다 구입하느라 버린 전자 폐기물이, 버려진 뒤에 어떠한 경로를 거쳐 다시 우리가 사는 환경으로 유입되고, 생태계와 인간에게 악영향을 끼치는지를 다룬다.
3장. 죽거나 병들지 않을 권리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낸 가습기 살균제 참사는 많은 이들에게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우리가 건강한 삶을 영위하려면, 제도적 안전장치와 관련법의 체계화가 절실함을 일깨워준 비극이었다. 3장에서는 우리가 돈벌이에 눈 먼 기업의 억울한 희생자가 되지 않으려면, 그로 인해 죽거나 병들지 않을 권리를 지켜내려면 기업과 정부, 정치권에 어떠한 요구를 하고 어떻게 감시해야 할지를 살펴본다. 또한 전문가와 정부, 정치권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들여다본다.
4장. 유해물질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해지는 법
우리 동네의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은 얼마나 될까? 내가 사용하는 제품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과 위험성은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처음부터 건강 피해가 우려되는 화학물질은 아예 사용하지 않을 순 없을까? 유해물질의 건강 피해를 조금이라도 염려하며 조심조심 생활하는 소비자라면 누구나 궁금해할법한 정보를 한데 담았다. 내가 사는 동네에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이 무엇이며 얼마나 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와 이용법, 유해화학물질의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와 이용법은 물론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유해물질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접근하는 게 좋을지에 대해서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