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오염은 인류가 처음 불을 사용했을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건축물의 에너지 보존을 위한 다양한 산업기술이 만들어낸 건축자재와 밀폐식 건축구조는 실내공기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사람들은 대부분 주택, 사무실, 공장 및 기타 실내환경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실내공기질은 직접적으로 재실자의 건강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 실내공기오염은 일반 대중에게 알려진 빌딩증후군 및 새집증후군과 같은 질병, 생산성 감소, 의료비 증가, 사망의 원인으로 의심받고 있다. 본서는 실내공기질 문제의 본질적 이해, 노출에 따른 건강 위해성에 관한 기초적 정보 제공, 그리고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제어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실내ㆍ외 환기, 실내 환경화학의 실내공기질 영향 요인을 자세히 기술하였으며, 실내공기 오염물질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 및 위해성 평가를 포함시켰다. 또한 공기정화기술, 실내공기질 측정 및 분석, 통계처리, 국내외 실내공기질 기준을 서술하여 실내공기오염의 종합적 내용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