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나’를 받아들이고 삶의 용기를 전하는 마음 회복책!
우리가 안고 있는 애착장애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총 7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저자는 애착장애의 의미와 발병 원인, 해결 방법 등을 상세하면서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 1장 ‘현대인은 왜 행복해지지 않을까?’에서는 특별한 이유 없이도 삶이 고단한 현대인들의 일상을 실제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의학적 진단으로도 짚어내지 못한 고통의 진짜 원인에 대해 말한다. 2장 “‘현대의 기이한 병’과 고된 삶의 근본적인 원인”에서는 1950~1960년대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아동 우울증과 ADHD에 대해 설명한다. 3장 ‘생명을 이어주는 장치, 애착’에서는 애착의 발견 계기와 애착이 심신에 미치는 작용을 연구한 실험에 대해 다루며, 상담 사례를 통해 애착 유형에 대해 설명한다. 4장 ‘옥시토신계의 이상과 애착 관련 장애’에서는 옥시토신 수용체의 수가 적은 사람들에게 어떤 식으로 애착장애 증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며, 자살 위험을 높이는 불안정한 애착에 대해 말한다. 5장 ‘깊어지는 애착장애와 그 배경’에서는 날이 갈수록 아이를 사랑하지 못하는 부모가 증가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하며, 『죽음에 이르는 병』을 집필한 작가이자 철학자인 키르케고르의 일생을 분석한다. 6장 “‘어른의 발달장애’에 숨어든 애착장애”에서는 성인 ADHD와 애착장애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며, 성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애착장애 증상에 대해 다룬다. 7장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의 회복”에서는 애착장애 극복 방법과 현대 사회에서 애착장애 회복의 필요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애착장애는 특별한 누군가만 걸리는 병이 아니라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찾아올 수 있는 병이다. 이 책을 통해 저자도 강조하듯이, 애착장애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인 스스로의 의지가 중요하다. 현재의 고통에 매몰되어 행동을 포기하는 순간,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잃어버릴 수 있다. 지금 나의 삶이 괴롭고 고통스럽다고 생각되면 꼭 이 책을 읽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