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이론적으로 풍성한 일상 생태학 연구 여정
1장 “일상과 사회-생태적 재생산”은 일상 생태학을 둘러싼 최근 논쟁과 이론적 배경을 다루며, 일상이 사회적 재생산 나아가 사회-생태적 재생산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설명한다. 정치생태학과 에코페미니즘이 이 개념 틀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음을 밝히고, 들뢰즈-가타리의 철학 개념들이 연구 방법론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설명한다. 또 신자유주의부터 사회적 실천 이론에 이르기까지 주요 논쟁을 검토하며, ‘후기 질적’ 연구 방법론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한다.
2장 “삶의 자본주의적 조직화”에서는 현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자본주의적 삶의 구조를 분석한다. 노동, 여가, 돌봄, 자아 등의 주제 아래 이 요소들이 일상 생태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살펴본다. 특히 노동은 사회적 신진대사의 핵심이며 어떤 형태의 노동인지에 따라 파괴적이거나 회복적 성격을 가지는 핵심 개념이다. 여가의 생태적 관계 형성, 돌봄의 사회-생태적 논리, 자아 유지와 관련된 생태적 결과 등을 탐구하여 자본주의적 조직의 핵심 결절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3장 “삶의 물질, 흐름, 그리고 존재들”에서는 일상을 구성하는 에너지와 환경, 비인간 존재와의 관계를 다룬다. 기술이 자본주의적 삶의 방식을 드러내는 수단임과 동시에 창조적이고 지속 가능한 형태로 전유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다양한 에너지 공급 시스템과 관행의 생태적·정서적 특성을 논의하고, 인간 외 동물의 생태계 변화 잠재력을 탐구한다. 폐기물에 대한 새로운 관점도 제시하며, 일상 생태계를 유지하는 요소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4장 “대안”에서는 자본주의의 파괴성에 대한 대응으로서 대안적 삶의 방식을 탐구한다. 충분성 원칙에 기반한 삶의 방식, 경제의 재지역화, 환경 도덕 등 다양한 실천 사례를 통해 대안적 존재 방식을 제시한다. 특히 생태적 윤리를 강조하며, 욕망의 미적-윤리학을 다루어 급진적 변화의 잠재력과 위험성을 평가한다. 개인의 삶의 과정과 주체성을 중심으로 대안적 실천을 구체화한다.
5장 “점검하기”는 위기의 시대에 일상의 지속가능성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위기가 생태적으로 해로운 기존 배치에서 탈주선을 나타내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하며, 현대 자본주의의 지배적인 삶 외부에서 주체성을 만들어나갈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러나 위기의 불안정성을 변화의 기회로만 간주하지 않도록 경고하며, 사회적ㆍ생태적 대안을 집단적 변화로 표현해낼 때 진정한 기회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