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과 예측(Experience and Prediction)》은 20세기 전반기의 과학철학인 논리경험주의(logical empiricism)를 대표하는 철학자인 한스 라이헨바흐(Hans Reichenbach, 1891∼1953)가 집필하여 1938년에 출판한 책이다. 이 책은 저자가 독일에서 20세기 초반의 수학과 물리학 지식을 오랫동안 철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라이헨바흐는 유대인이었으며 기술자가 되기 위해 슈투트가르트 공과대학에 입학한 후 곧 과학철학으로 전향했다. 그는 베를린 대학에서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론 세미나를 수강한 후, 1920년부터 1928년에 이르기까지 1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상대론 속 시간과 공간의 인식론적 의의를 철학적으로 분석했다. 이 시기에 현대 수학과 양자 이론의 발전이 갖는 철학적 의의 또한 연구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라이헨바흐는 철학의 역사 속에서 ‘경험주의’를 주장한 철학자에 속한다. 경험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로 영국의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을 들 수 있다. 흄은 외부 세계에 대해 인간이 구성하는 객관적인 지식이 기본적으로 인간의 감각 지각에 기초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지각은 인간 외부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믿을 만한 지식을 제공해 준다. 라이헨바흐의 《경험과 예측》은 흄과 같은 경험주의의 노선을 따르면서도, 그 속에 20세기 초반까지의 수학과 물리학 발전을 경험주의의 관점에서 정밀하게 해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고 독창적인 저서다.
철학과 과학의 전문화 경향이 심해져 둘 사이의 상호작용이 어려워진 현 시대에 경험주의의 관점에서 집필된 철학과 과학의 상호작용 결과물이라는 사실에서도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이 중요한 또 한 가지 이유는, 경험주의의 관점에서 집필된 철학과 과학의 상호작용 결과물이라는 사실에 있다. 저자인 라이헨바흐가 플랑크(Planck), 힐베르트(Hilbert), 아인슈타인(Einstein), 보어(Bohr), 하이젠베르크(Heisenberg), 슈뢰딩거(Schroedinger) 등 20세기의 수학과 물리학을 상징하는 학자들과 활발한 의견 교환을 통해 정밀과학 지식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수행한 바 있기에, 이 책에서 제시되는 견해는 과학적 지식에 대한 깊은 이해와 면밀한 분석에 기반하고 있다. 이는 20세기 이후에도 철학과 과학의 성공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보여 주는 훌륭한 증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로 처음 번역되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라이헨바흐의 초기 과학철학에 관한 심층적 연구를 진행한 연구자가 드물었는데, 라이헨바흐의 상대성 이론 분석 연구, 논리경험주의의 시간과 공간 철학이 갖는 의의 연구 등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역자가 전문성을 바탕으로 엄밀히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