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rketsandmarkets의 자료에 의하면 그린에너지 분야 중 전세계 천연가스 개질 수소 시장은 2020년 1,029억 달러에서 2024년 1,291억 달러로 연평균 5.9%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국내 수소에너지 시장은 2021년 6,849억 원에서 2026년 1조 5,487억원으로 연평균 13.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청정 암모니아 시장은 다양한 실증 프로젝트들이 시작되고 있는 초기 형성단계이며, 정책에 기인한 청정 암모니아 수요 증가에 따라 시장이 급격히 성장할 전망이다.
- 초기 시장 형성단계의 특성상 미래 시장 규모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존재하며, 시장 전망 기관들의 분석에 따르면 청정 암모니아 시장은 2035년까지 3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세계 바이오연료 시장은 바이오매스 등 원료가 풍부한 국가들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주요국 정부는 바이오연료 사용 의무화 제도 정책을 도입하여 시행 중에 있다.
- 주요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은 친환경 바이오연료 시장 선점을 위해 대규모 기술개발 및 생산시설 구축 등에 적극 투자 중.
* 전세계 바이오연료 수요(IHS Markit): (‘20) 2.15백만B/D → (’50) 4.59백만B/D
* 바이오연료 의존도(IEA, ‘20→’30→’50): (항공) 0→17.1→77.1% (해운) 0→7.3→21.2%
- 국내 바이오연료 시장은 성장 추세이나, 전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로 미미(‘20년, 생산량 기준)
☐ Research and Markets에 따르면 전 세계 탄소포집ㆍ활용ㆍ저장(CCUS) 시장은 2021년 22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27.1%로 성장하여, 2027년에는 9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CCUS 국내시장은 2021년 171억 원에서 CAGR 17.05%로 성장해 2027년에는 443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세계 탄소 배출권 시장은 2020년 약 369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30.7%로 성장하여 2025년 약 1,409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국내 CO2 배출량은 연평균 1.33% 증가해 2030년에는 851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탄소저감 핵심 방안인 CCUS 시장 성장 또한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됨.
☐ 친환경 공정전환 분야 중 글로벌 그린철강 시장은 2022년 1억 8,27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25.1%를 통해 2030년 1,200억 480만 달러로 성장 전망되고 있다.
- 친환경 공정전환을 통해 탄소배출 저감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평가되어지는 산업 중 하나인 그린 철강 산업에서도 자동차 부문이 47%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평가됨.
☐ Business research에 의하면 전기 용해로 및 가열로의 세계시장은 2021년 기준 8억 8,400만 달러에서 연평균 4.1%의 성장률로 2031년 13억 2,564만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 고효율 저탄소 공정 전환을 위해 전기 기반 시설에 대한 성장을 전망.
☐ 데일리인베스트 자료에 따르면 산업용 가열로 국내 시장은 2021년 기준 1,046.5억원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4.1%의 성장률로 2027년 1,331.8억 원으로 성장할 전망된다.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의하면 히트펌프 국내 시장은 ’18년 6억 1,4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5.90%로 증가하여, ‘23년에는 12억 8,4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 본 보고서는 그린에너지, CCUS, 친환경 공정전환의 핵심 분야의 시장 및 기술시장을 자세히 분석하였고, 국내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기술 분석까지 해놓았다. 또한 선진 주요국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그린잡(Green Job)"의 사례 분석까지 함으로써 관련 분야 기업체는 물론, 관련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싣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본 보고서가 도움이 많이 되길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