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문제로 전 세계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주요 원인으로서 석탄,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국제기구, NGO, 기업 등이 모여 국제 규제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탈 탄소화를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40% 차지하는 발전부문은 석탄 발전을 점진적으로 축소 또는 폐쇄하는 한편, 중단기적으로는 원전 의존도를 유지하고 장기적으로는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이를 대체하려는 계획이다. 그러나 운송은 발전부문 다음으로 배출량이 23%로 많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해결책은 부재하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육상부문은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는 방안들이 실행 중에 있거나 기술 상용화 또한 상당부분 이뤄져 있다.
그러나 육상부문과 달리 항공과 해운부문에서의 탄소배출량 감축 방안은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으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국제해사기구(IMO) 등이 탄소감축을 의무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래 선박연료로는 LNG와 친환경 원료로 생산된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등이 거론되고 있다. 추진 기술과 인프라를 고려 시 당분간 메탄올과 암모니아가 경합하고, 수소는 저장 기술이 향상된 이후 대형 선박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Bio-디젤과 LNG는 탄소중립 전 브릿지 연료로서 주도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청정연료의 최신 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세계 기술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청정연료 분야별 생산기술 전망과 항공/해운부문 대체연료 전환 동향」를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바이오연료, 그린수소, 그린메탄올, 그린암모니아의 산업 전망과 최신 생산기술 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지속가능 항공유(SAF)의 개발 효과와 정책 동향, 미래 선박 대체연료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LNG, 바이오연료,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를 대상으로 각 연료별 수급 동향과 최신 기술개발 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4.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