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는 끝이 없고, 세상에는 신비로운 것들이 너무 많으니까!
몰라도 괜찮지만 배우면 훨씬 더 교양 있는 ‘일상 과학’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내가 배운 물리, 화학, 생물은 정말 어려운 것이었을까? 그렇게나 풀기 싫었던 미적분과 기하학은 대체 왜 배워야 했던 걸까. 일상에서 써먹을 수 있는 날이 오기는 할까? 그런 의문을 마음 어디엔가 품고 있었다면, ‘하루 한 권 시리즈’를 펼쳐 보자.
내일을 바꾸는 단 한 권의 지식, 하루 한 권 시리즈!
하루 한 권 시리즈는 우리가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이 갖춘 실용적인 모습을 파헤치는 과학 교양 도서다. 과학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판, 표, 친절한 설명을 통해 최대한 쉽게 내용을 담았다. 예컨대 어떻게 하면 훨씬 더 과학적으로 노력할 수 있는지, 어제 사 온 씨앗을 가장 빨리 싹틔우는 방법, 새집 증후군은 왜 생기는지까지. 일상에서 마주할 법할 부분들을 과학적으로 설명했다. 어렵거나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 아니라 우리 삶과 밀착된 문제를 과학을 통해 풀어내고, 그것들을 어떻게 바라보면 좋을지 함께 고민하는 책이다. 배움에는 끝이 없고 세상에는 너무 신기한 것들이 많으니까.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어떤’ 현상들을 과학의 눈으로 분석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것도 아주 가볍게, 책 한 권으로 말이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을 가진다는 건, 우리가 살아감에 있어 생존의 무기 하나를 더 가지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기는 우리가 어떤 현상에 지혜롭게 대처하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는 힘이 되어줄 것이다.
다양한 주제, 내 취향에 맞는 카테고리를 찾아보자!
책은 한 손에 가볍게, 지식은 머릿속 깊숙이! 언제 어디서나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한 손에 들어오는 작은 크기로 만들었다. 각각의 주제마다 검증된 집필진이 써 내려가는 과학의 세계를 탐험하다 보면, 어느 순간 숫자와 지식으로 바라보는 세계에 푹 빠지게 될지도 모른다. 지하철이나 버스, 쉬는 시간에 조금씩 읽을 수 있도록 아주 쉽고 재미있는 내용으로만 구성했다. 세상을 분석적으로 바라보는 나의 모습을 기대해도 좋다. 주제 역시 물리,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수학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어 내 취향에 맞는 책으로만 꺼내 읽기에도 적당하다. 나는 어떻게 하면 천재가 되어 일류의 세계로 향할 수 있는지… 사람이 만들어 낸 ‘진짜 광기’의 화학 물질이 무엇인지. 이런 뜬금없는 질문도 좋다. 우리가 단순히 감각하는 세상 말고, 세상의 보이지 않는 현상까지도 과학적으로 풀어내 보자. 과학은 이론이 아니라 실전이니까!
열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용하여 삶의 질을 높여보자!
우리는 화가 나거나 흥분하여 몸이 달아올랐을 때 ‘열받는다’고 하고, 어떤 일에 정성을 쏟을 때 ‘열과 성을 다한다’고 하며, 심히 흥분하거나 혹은 기세가 오르는 것을 ‘열이 오른다’고 한다. 이렇듯 열은 그저 어렵기만 한 과학 개념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속에 스며들어 함께 하는 친구 같은 존재다. 실제로 우리는 늘 눈에 보이지 않는 열과 함께 하고 있다. 우리는 적절한 체온 덕분에 외부 병원균으로부터 몸을 지킬 수 있고, 아침마다 떠오르는 태양 덕분에 따뜻한 기후를 누릴 수 있으며, 프라이팬을 달구는 열 덕분에 재료를 잘 익혀 그 속의 세균들을 죽일 수 있다. 이 책은 열의 기초적인 개념에서부터 날씨 ‧ 지구과학에 관련된 열 이야기, 열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의 원리와 적절한 사용법, 인간 ‧ 동식물의 생물학적 개념과 관련된 열의 이야기와 우주에 관한 열 이야기까지, 열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준다. 기압이 줄어들면 끓는점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면 등산할 때 냄비 대신 압력밥솥을 준비할 수 있고, 액체를 천천히 얼릴 때 과냉각 상태가 된다는 사실을 알면 이를 이용해 음료로 슬러시를 만들 수 있으며, 액체가 증발할 때 주변의 열을 빼앗는다는 사실을 알면 더울 때 옷을 벗어버리는 게 아니라 땀을 흡수해줄 수 있는 면 소재의 셔츠를 입어 더위를 피할 수 있다. 이렇게 열의 성질을 파악하여 열과 관련된 현상의 원인 및 결과를 잘 알고 있으면 효율적으로 열을 이용할 수 있고, 삶의 질을 조금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