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 1 장 : 가정학원론의 의의와 성격
가정학의 의의와 필요성, 가정학원론의 성격, 가정학원론의 내용과 연구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이해하는 것은 가정학원론을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 제 2 장 : 가정학의 정의와 목적
가정학의 정의는 가정학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와 미국 레이크 플래시드 회의의 정의, 일본가정학회의 정의, 국제가정학회의 선언을 이해할 수 있고, 가정학의 목적과 지금도 논의 되고있는 가정학의 개칭문제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 제 3 장 : 가정학의 학문적 성격
학문과 학문성, 가정학의 학문적 성격, 앞으로의 가정학의 과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 제 4 장 : 가정학의 체계
가정학의 체계는 학문과 체계, 가정학 체계의 관점, 가정학의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가정학의 전체성에 대한 부분도 포함하였다.
· 제 5 장 : 가정학의 연구방법
가정학 연구방법은 가정학 연구의 기초인 과학에 관한 세가지 관점 및 과학의 목적, 우리나라 가정학 연구의 실태를 살펴보고, 실제적인 가정학 연구의 과정과 모형, 연
구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표집과 측정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 제 6 장 : 가정학의 연구대상
가정학의 연구대상에 대해 과학과 연구대상, 가정학의 연구대상에 대한 여러 견해, 가정학의 대상과 가정생활로 구분 정리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내용을 구성
하였다.
· 제 7 장 : 가정생활론
가정생활론은 가족의 본질, 가정생활의 역사와 본질, 가정생활의 구조와 기능, 가정생활의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 제 8 장 : 건강가정론
건강가정론은 가정의 개념 및 이론, 건강가정기본법 및 건강가정정책, 건강가정사 업, 건강가정사의 정의와 역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 제 9 장 : 가정학의 역사
세계가정학의 역사 및 최신 동향, 우리나라 가정학의 역사 및 최신 동향을 세계가정 학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 각국의 가정학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우리나라의 가정학 의 역사적 배경과 발달사를 대한가정학회의 역사를 통해 정리하여 가정학의 역사 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 제 10 장 : 가정학 전공자의 진로 및 가정학의 과제
가정학 전공자의 진로 및 가정학의 과제는 전문직으로서의 가정학, 가정학 전공자 의 직종과 가정학 전공자의 사회진출로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앞으로의 가정학의 발전과 제도 포함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끝으로 본 교재로 공부하는 독학사 수험생 여러분들의 앞날에 영광과 행운이 있기 를 바라며 이 책이 나오기까지 애써주신 김영평생교육원 임직원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