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바타는 내가 아니다. 아바타를 관찰하라
아바타는 본래 범어인 ‘아바타라(avatᾱra)’에서 파생된 말이다.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서 하늘에서 강림한 분신(分身)·화신(化身)을 말한다. 분신, 화신이라고 하니 뭔가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서유기의 손오공이 머리카락을 뽑아 여러 명의 손오공을 만든 것을 말한다. 그러면 아바타 명상은 어떻게 하는가?
월호 스님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거울 보듯 영화 보듯 강 건너 불구경하듯 대면해서 관찰하되, 닉네임을 붙여서 한다.
아바타가 걸어간다. 아바타가 머무른다. 아바타가 앉아 있다. 아바타가 누워있다.
아바타가 애착한다. 아바타가 화가 난다. 아바타가 근심 걱정한다.
아바타가 늙어간다. 아바타가 아파한다. 아바타가 죽어간다.
나의 몸과 마음은 내가 아니며 ‘아바타’이고 나는 그 아바타를 관찰하는 ‘관찰자’이다. 진짜 나와 나의 몸과 마음을 가지고 있는 그 실체(아바타)가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 화가 난다면 ‘아바타가 화가 나는구나.’, 지금 슬프다면 ‘아바타가 슬프구나.’라는 것이다.
결국 몸도 아바타! 마음도 아바타! 나도 아바타! 너도 아바타! 우린 모두 아바타! 라고 관찰하는 것이 생활 속의 수행이라는 게 월호 스님의 아바타 명상법이다.
아바타가 생로병사를 거듭하더라도 진짜 나는 아무 상관 없다. 진짜 나인 관찰자는 불생불멸(不生不滅)·불구부정(不垢不淨)·부증불감(不增不減)이기 때문이다. 태어나거나 소멸하지도 않고, 더럽거나 깨끗하지도 않고, 늘거나 줄지도 않는다고 하는 것이다.
◎ 아바타 명상을 통해 아미타 세계로 들어가자!
가끔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다 보면 주변의 차들이 일제히 빨리 달리고 있고, 나도 모르게 그 속도를 맞추게 된다. 그렇게 아주 빠른 속도로 달리다 보면 내 차가 빠르게 달리고 있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순간이 온다. 그 순간 나는 내 차와 하나가 되고 내 차의 속도가 나를 잠식시켜 잘못된 점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 책에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
인간의 삶도 이와 마찬가지다. 우리는 사바세계라는 가상현실 속에서 아바타 캐릭터를 생성하여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단지 생생한 재미를 추구하는 아바타 게임이었지만, 반복하다 보니 어느덧 ‘죽기 살기’로 몰두하게 되었다. 결국 관찰자와 아바타, 즉 주객(主客)이 전도된 것이다. (중략)
진정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먼저 자신이 사바세계라는 가상현실 속에서 윤회게임 중인 아바타라고 알아차려야 한다. 그리고 윤회게임에 지쳐 해탈게임으로 판을 바꾸려면, 사바를 로그아웃하고 극락으로 로그인해야 한다. 그러자면 당연히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그 패스워드는?
“아미타바(Amitābha).
아바타는 게임 속 룰을 잘 지키고 게임 아이템도 모으고 가끔 찬스도 사용하며 더 좋은 캐릭터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관찰자인 나에게 눈에 보이는 실체의 아이템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인연을 맺고 좋은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현상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런 인연법에 따라 원인은 결과를 불러일으킨다. 좋은 원인은 좋은 결과를 불러일으키고 지금 당장 좋은 결과가 나오지는 않더라도 시간차만 있을 뿐 언젠가는 좋은 결과가 나오게 된다. 이런 아바타 명상은 궁극적으로 아미타 세계로 들어가기 위함이다.
아미타의 범어는 아미타바(Amitābha), 혹은 아미타유스(Amitāyus)로 아미타 부처님은 광명이 한량없고, 수명이 한량없는 불사(不死)의 부처님이다. 그만큼 관대하고 한계가 없는 것이다. 그런 아미타 세계는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하기를 원하는 중생의 최고 목표이다. 이곳은 누구나 갈 수 있는데 아미타 명상을 하며 계(戒)로써 스승 삼고, 앉으나 서나 오나가나 ‘아미타불’을 염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아바타 명상과 아미타 명상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아바타 명상은 노·병·사에 대한 응급처방이며, 아미타 명상은 영원히 병고와 죽음이 없는 극락정토로 건너가는 것이다. 아바타 명상은 자력갱생(自力更生)하는 참선 수행이며, 아미타 명상은 타력왕생(他力往生)하는 정토 수행이다. 참선은 지혜를 개발하고, 정토는 방편을 구족한다. 방편이 없는 지혜는 속박이요, 방편이 있는 지혜가 해탈이다. 지혜가 없는 방편은 속박이요, 지혜가 있는 방편이 해탈이다. 그러므로 지혜와 방편을 함께 갖추는 것이 최상의 수행 방법이다.
《가자, 가자, 건너가자》는 구체적인 실천 명상법이다. 빠르고 복잡하고 경쟁적인 현실을 살면서 우리는 스트레스를 가장 먼저 접하고 나를 힘들게 하는 일들을 가장 먼저 접한다. 내 마음을 도통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일들이 많이 일어난다. 그런 일들을 진짜 나와 분리해서 내 것이 아닌 아바타의 것으로 알아차리고 아바타와 나를 분리해서 관찰하는 것. 그것은 결국 좋은 윤회를 이끌어 아미타의 세계로 가는 길인 것이다.
월호 스님의 아바타 명상 × 아미타 명상법은 그야말로 가장 손쉬우면서도 빠른 결과를 도출해 주는 이 시대에 맞는 명상법이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