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볼로냐 라가치상 코믹스 얼리리더 부문 대상 수상작가, 샤를 베르베리앙의 첫 그림책!
《나무는 자라서 나무가 된다》는 프랑스에서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인기 만화가, 샤를 베르베리앙이 쓰고 그린 첫 그림책입니다. 만화·출판·광고·음악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유머와 진지함이 어우러진 작품 세계를 다져온 작가는 자신에게 가장 익숙한 만화적 화법을 그림책이라는 그릇에 고스란히 담아낸 이 책으로 ‘2024년 볼로냐 라가치상 [코믹스 얼리리더 부문] 대상’을 받았습니다.
말풍선 안에 담긴 엄마와 아이의 대화로 이야기는 시작되고, 이어집니다. 일상적인 입말로 짧게 이루어진 대화는 마치 재미있는 한 컷 만화나 짧은 콩트처럼 간결하고 단순합니다. 그렇지만 선명한 흑백의 펜화와 다채로운 수채화의 대비가 이야기에 입체감을 불어넣고, 세밀함과 부드러움·뚜렷함과 그윽함·밝음과 어두움·채움과 비움의 선명한 대비가 만들어 내는 리듬감은 시각적 재미와 즐거움을 안겨 주는 동시에 보다 깊게 몰입하며 이야기에 머물 수 있게 합니다. 언뜻 단순하고 가벼워 보이는 이 책을 빨리 읽을 수만은 없는 것은 이런 이유입니다.
촘촘하게 드리운 나무 그늘 아래에서,
빼곡한 식물과 푸른 이끼 사이에서 피어나는 다정하고 유쾌한 이야기
숲을 걷는 동안 나무와 꽃과 열매와 씨앗, 그리고 그 밖의 것들에 대해 주거니 받거니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던 엄마가 이윽고 발걸음을 멈춥니다. 그러고는 품에 안고 있던 어린나무를 조심스레 땅에 내려놓지요.
“엄마, 뭐하는 거예요?”
“어린나무를 심으려고 땅을 파고 있잖니.”
“나무를 왜 심는 건데요?”
엄마가 돌아가신 할아버지에게 나무를 심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숲에 왔음을 아이는 그제야 알게 됩니다. 그리고 어린나무가 숲이라는 가족의 품에서 무럭무럭 자라기를 응원합니다.
“그런데요, 엄마. 나 배고파요.”
진지한 분위기를 순식간에 무너뜨리며 픽 웃음 짓게 만드는 프랑스식 유머는 작가가 마지막까지 아껴 두었던 것일까요?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엄마와 아이는 또 어떤 맛있는 이야기를 나눌지 궁금해집니다.
나무는 그렇게 나무가 되고, 나무는 그렇게 우리가 된다!
엉뚱한 질문에서 시작된 이야기를 통해 아이는 ‘나무’라는 다른 존재에게 한 걸음 다가섰고, 엄마는 그 걸음을 편안하고 다정하게 이끌어 주었습니다. 할아버지(를 추억하는) 나무를 심은 엄마와 아이는 앞으로도 계속 숲에 와서 나무가 자라는 것을 지켜보겠지요. 어린나무가 숲의 품에서 단단하게 뿌리내려 아름드리 나무로 크고 넓게 자라나듯 그림책 속 아이도, 그리고 우리 곁의 아이들도 한 나무에서 또 다른 나무로, 모든 생명으로, 더 큰 숲으로, 나아가 사람으로, 우리 모두의 지구로 자신의 세상을 넓혀 가며, 울창한 숲처럼 삶을 깊고 푸르게 가꿔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제, 진짜 나무를 만나러 숲으로 갈 차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