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수집 및 통계자료 작성 방법
● 맥세스컨설팅에서 공개하는 『2024 프랜차이즈 산업통계 _ 빅데이터로 분석한 상위 3%, 가맹하고 싶은 프랜차이즈』는 공정거래위원회가 공개하는 정보공개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 데이터의 수집은 공정거래위원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정보공개서 정보 각 항목의 데이터를 전수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은 2022년 1월, 2023년 1월, 2024년 1월 총 3회에 거쳐 실행되었다.
● 3회의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2021년 1월~12월’, ‘2022년 1월~12월’, ‘2023년 1월~12월’까지 세 기간 동안 정보공개서를 신규 및 변경 등록한 브랜드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했다.
● 통계자료는 정보공개서 데이터베이스 상의 raw data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으며, 300여개의 지표를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축적했다.
● 본 보고서는 산업전반에 대한 통계지표, 업종별 통계지표, 정보공개서 업종분류별 통계지표, 기업규모별 통계지표, 브랜드규모별 통계지표, 지역별 통계지표, 생산성표, 성장성지표, 수익성지표, 안정지표로 구성되며, 해당 지표 분석을 통해 전체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 상위 3%의 가맹하고 싶은 프랜차이즈 300을 선정했다.
● “가맹하고 싶은 프랜차이즈 300”은 전체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 19개의 지표에 대한 지표 점수를 브랜드마다 부여한 후 ‘FC 생산성’, ‘FC 성장성’, ‘FC 안정성’, ‘노하우집약도’, ‘본부수익성’, ‘가맹점수익성’의 6개 차원에 대한 지표의 평균 값을 계산한 후 가중치 책정을 적용하여 최종적인 총점을 산출하고, 업종별 총점이 높은 순서대로 추출했다.
보고서의 구성 및 특성
● 본 보고서는 정보공개서를 기반으로 한 통계지표를 수치화,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필터링을 활용하여 프랜차이즈 산업현황을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한다.
●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열람용 정보공개서 상에 오류로 추정되는 이상 값이 일부 있었으나 정보공개서 상에 나타난 프랜차이즈 산업의 현황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이를 수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했다.
● 본 보고서의 가장 큰 특징은 정보공개서상의 재무지표 및 임직원데이터가 기업이 보유한 브랜드의 모든 정보공개서에 동일하게 표기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산업 전체 재무지표를 산출하였을 때 중복 합산되어 나타난 오류를 제거하여 같은 상호의 브랜드 재무, 임직원데이터는 1회만 계산되도록 개선했다.
● 공개하는 필터는 업종별(외식, 도소매, 서비스), 정보공개서 분류 43개 업종별(외식: 기타외국식, 기타외식, 분식, 서양식, 아이스크림/빙수, 음료/커피, 일식, 중식, 치킨, 커피, 한식, 제과제빵, 주류, 패스트푸드, 피자, 서비스: 교육/교과, 교육/외국어, 기타 교육, 기타 서비스, 반려동물 관련, 부동산 중개, 세탁, 숙박, 오락, 운송, 이사, 인력 파견, 임대, 배달서비스, 스포츠, 유아관련, 이미용, 자동차관련, PC방, 도소매: 건강식품, 기타도소매, 안경, 약국, 종합소매점, 농수산, 의류/패션, 편의점, 화장품), 기업규모별(매출액 2억 원 미만, 10억 원 미만, 10억 원 이상 20억 원 미만, 20억 원 이상 30억 원 미만, 30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 50억 원 이상 100억 원 미만, 100억 원 이상 200억 원 미만, 500억 원 미만, 1,000억 원 미만, 1,000억 원 이상), 브랜드규모별(점포 수 0개, 5개 미만, 10개 미만, 10개 이상 20개 미만, 20개 이상 30개 미만, 30개 이상 50개 미만, 50개 이상 100개 미만, 500개 미만, 1,000개 이상), 지역별(강원,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세종, 울산, 인천,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해외)이다.
● 본 보고서는 산업전반에 대한 통계지표, 업종별 통계지표, 정보공개서 업종분류별 통계지표, 기업규모별 통계지표, 브랜드규모별 통계지표, 지역별 통계지표, 생산성지수, 성장성지수, 수익성지수, 안정성지수로 구성되었다.
● 각 연도는 정보공개서 최종 등록일을 기준으로 차기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2022년도 데이터에 속하는 브랜드는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정보공개서 신규·변경 등록한 브랜드이다).
● 생산성, 수익성, 안정성에 속한 지표의 값을 산출함에 있어서 극단 값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지표의 값이 프랜차이즈 기업, 브랜드의 데이터 중 표준화 값이 ±3이상인 케이스는 제외하고 산출했다.
● 성장성 지표의 경우 모든 지표의 결과 값이 비율로 표기되는 특성상 극단 값이 매우 많아 각 기업/브랜드의 평균값이 아닌 업종 전체의 지표 값을 도출하여 표기했다.
● 본 보고서는 2023년 12월 31일까지 정보공개서를 등록한 모든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정보공개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통계자료를 제공하며 정보공개서를 등록하지 않은 브랜드의 데이터는 통계자료에서 누락되었음을 명시한다.
● 한편, 정보공개서를 등록한 기업 중 매출액 2조원 이상인 프랜차이즈 기업(프랜차이즈 사업 외의 매출액이 재무현황에 포함)은 프랜차이즈 사업만의 데이터확보가 불가하여 분석에서 제외했다(예, 블루핸즈_현대자동차(주), 노브랜드_(주)이마트, 아리따움_(주)아모레퍼시픽 등). 단, 매출액 2조원 이상의 브랜드 중 프랜차이즈가 주 사업으로 판단되는 일부 브랜드는 분석에 포함되었다(예, 세븐일레븐, 씨유(CU), 다이소, 올리브영 등).
● 또한, 해외에 본사를 둔 브랜드 중 정보공개서만 등록하고 최근 3년간 국내에서 가맹사업을 개시하지 않은 브랜드는 제외했다.
● 추가적으로, 가맹점이 0개인 사업 미 개시 브랜드 수가 많아 점포수(가맹점 및 직영점) 및 가맹점 평균매출 데이터의 왜곡이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데이터를 추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