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및 고체전해질 개발 전모와 향후 전망

전고체 배터리 및 고체전해질 개발 전모와 향후 전망

  • IRS Global 편집부
  • |
  • IRS Global
  • |
  • 2024-04-18 출간
  • |
  • 555페이지
  • |
  • 준비중
  • |
  • ISBN 9791190870825
판매가

480,000원

즉시할인가

43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이차전지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1.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1-1.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별 기술개발 동향과 이슈
1) 양극재
2) 음극재
3) 분리막
4) 전해질
5) 도전재
6) 바인더
1-2. 주요 이차전지별 연구개발 동향
1) 리튬이온 전지
2) 리튬 금속 전지
3)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전지
4) 리튬 유황 전지
5) 리튬 공기 전지
6) 리튬 전고체 전지
7) 그 밖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전지
1-3. 이차전지별 주요 이슈
1) 리튬이온 전지
2) 리튬금속 전지
3) 전고체 전지
4) 기타 전지

2. 이차전지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2-1.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1) 용도별 시장 전망
2) 종류별 시장 전망
3) 국가별 시장 전망
4) 리튬이온전지 가격 동향
2-2. 이차전지 소재별 시장점유율과 서플라이체인
1) 소재별 시장규모 및 전망
2) 양극재 분야
3) 음극재 분야
4) 분리막 분야
5) 전해액 분야
6) 도전재 분야
7) 바인더 분야
2-3.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
1)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of 2022) 개요
2) IRA 법안의 목적
3) IRA 전기차 관련 법안 내용
4) IRA FEOC(해외우려집단) 세부 규정 발표에 대한 대응
5) IRA 발효가 국내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6) IRA 발효가 국내 이차전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
7) IRA의 글로벌 영향
(1) 중국
(2) 일본
(3) 대만
(4) 캐나다
(5) 멕시코
(6) 유럽연합
8) IRA 대응 방안

Ⅱ. 전고체 전지 및 고체전해질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1. 전고체 전지 기술 개요 및 시장 전망
1-1. 전고체 전지 기술 개요
1) 개념
2) 리튬이온전지와의 비교
3) 구조 및 구성요소
4) 장단점
(1) 장점
(2) 단점
5) 개발 과정의 문제점
(1) Anode interface : Dendrite
(2) Cathode interface : Mismatch
(3) Electrolyte synthesis & discovery
(4) Cell fabrication
6) 종류
(1) 황화물계(Sulfide)
(2) 산화물계(Oxide)
(3) 폴리머계(Polymer)
(4) 기타 전해질
7) 제조 공정
(1) Componets Mixing
(2) Layer Forming
(3) Layer compaction
8) 용도
1-2. 글로벌 전고체 전지 시장규모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 및 전망
2) 용도별ㆍ지역별 시장규모 전망
3) 가격 전망
4) 전고체 전지 스타트업의 업계 지도와 자금 조달 랭킹
(1) 전고체 전지의 업계 지도(카오스맵)
(2) 전고체 전지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금액 랭킹
(3) 업계의 M&A
(4) 주요 전고체 전지 스타트업
(5) 전고체 전지 분야에 적극적인 VC, PE 펀드 및 전략적 투자가
5) 전고체전지 특허 동향
(1) 국가별/기업별 출원 동향
(2) 주요 특허
6) 전고체 전지 표준 경쟁

2. 주요국별 전고체 전지 및 고체전해질 개발 동향과 대응 전략
2-1. 주요국별 전고체 전지 개발 및 정책 동향
1) 일본
(1) 축전지산업전략
(2) NEDO-전고체 전지의 실용화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 시작
(3) 토요타
(4) 혼다자동차
(5) 닛산자동차
2) 중국
(1) 전고체 배터리 산학연 협동 혁신 플랫폼(CASIP) 출범
(2) 전고체 전지 특허 출원건수가 선두
(3) 광저우 자동차 그룹 : 전고체 전지 2026년 탑재
(4) BYD : 전고체 전지 2030년 양산화
(5) 반고체 배터리에 집중
3) 독일
(1) 전고체 배터리 역량 클러스터 사업 연장
(2) 폭스바겐 + PowerCo : 전고체 전지 2030년 양산
(3) BMW + Solid Power
4) 한국
(1) 전고체 전지 상용화에 2030년까지 20조 투자
(2) 삼성SDI
(3) LG에너지솔루션
(4) SK온
2-2. 고체전해질 종류별 기술 과제와 해결 방안
1) 고체전해질 개요 및 기술 이슈
(1) 개요
(2) 기술 이슈
(3) 주요 개발 동향
2) 황화물 고체전해질
(1) 개요
(2) 장점
(3) 종류
(4) 황화리튬
(5)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의 주요업체 개발 경쟁
(6) 기술 과제와 해결 방안
3) 산화물 고체전해질
(1) 개요
(2) 장점
(3) 종류
(4) 기술개발 이슈
(5) 기술 과제와 해결 방안
4) 폴리머 고체전해질
(1) 개요
(2) 장단점
(3) 개발 현황
(4) 기술 과제와 해결 방안
2-3. 고체전해질 종류별 개발 사례
1) 황화물계
(1) 한국
(2) 일본
2) 산화물계
(1) 한국
(2) 일본
3) 기타
(1) 한국
(2) 일본

3. 전고체 전지의 수요시장 동향과 전망
3-1. 전기차(xEV) 시장 동향과 전망
1) 전기차(BEVㆍPHEV)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지역별 시장규모 전망
(3) 주요국별 시장규모 전망
(4) 평균 가격
2) 배터리 전기차(BEV)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BEVㆍPHEV 판매 비중
(3) 대륙별 시장규모 전망
(4) 국가별 시장규모 전망
(5) 아메리카 시장
(6) 유럽 시장
(7) 아시아 시장
(8) 호주 & 오세아니아 시장
(9) 대륙/국가별 평균 판매가격
(10) 브랜드 매출 점유율
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BEVㆍPHEV 판매 비중
(3) 대륙별 시장규모 전망
(4) 국가별 시장규모 전망
(5) 아메리카 시장
(6) 유럽 시장
(7) 아시아 시장
(8) 호주 & 오세아니아 시장
(9) 대륙/국가별 평균 판매가격
3-2. 드론(Drone)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드론 판매 비중
3) 대륙별 시장규모 전망
4) 국가별 시장규모 전망
5) 대륙/국가별 평균 판매가격
6) 브랜드 매출 점유율
3-3.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2) 주요국별 ESS 정책 추진 동향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유럽
(5) 호주
(6) 인도
3) 국내 ESS 설치 및 시장 현황
(1) 설치 규모
(2) 시장 현황
(3) 산업 생태계
3-4.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동향과 전망
1) 전고체 전지로 인한 이노베이션
(1) 개요
(2) 산화물계 전고체 전지
(3) 新접근방식인 반고체 전지
(4) IoT 디바이스에도 운영
2) 글로벌 시장 전망
3) 분야별 시장 전망
4) 공급업체별 실적 및 점유율
5) 소비(Consumption) 동향
6) XR 디바이스(XR devices)

Ⅲ. 전고체전지 종류별 연구개발 및 특허 동향 분석

1.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 연구개발 및 특허 동향 분석
1-1. 연구개발 동향 분석
1) 분석절차
2) 연도별 연구 동향
3) 유형별 연구의 수
4) 인용 상위 연구
5) 주제 분석
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7) 연구 주제별 평균 인용 수
8) 연도별 평균 인용 수
9) 주요 학술지
10) 주제별 전망
11) 오픈엑세스 저널 비율
12) 펀딩연구의 비율
13) 주요 펀딩 기관
1-2. 특허 동향 분석
1) 분석절차
2) 연도별 특허 동향
3) 국가별 출원 동향
4) 기업별 출원 동향
5) 인용 상위 특허
(1) Method of preparing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
(2)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battery ~
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7) 주제 분석
8) 평균 인용 수
9) 주제별 전망

2. 산화물계 전고체 전지 연구개발 및 특허 동향 분석
2-1. 연구개발 동향 분석
1) 분석절차
2) 연도별 연구 동향
3) 유형별 연구의 수
4) 인용 상위 연구
5) 주제 분석
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7) 연구 주제별 평균 인용 수
8) 연도별 평균 인용 수
9) 주요 학술지
10) 주제별 전망
11) 오픈엑세스 저널 비율
12) 펀딩연구의 비율
13) 주요 펀딩 기관
2-2. 특허 동향 분석
1) 분석절차
2) 연도별 특허 동향
3) 국가별 출원 동향
4) 기업별 출원 동향
5) 인용 상위 특허
(1) Transition metal oxide containing solid solution lithium, ~
(2) Solid oxide battery
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7) 주제 분석
8) 평균 인용 수
9) 주제별 전망

3. 폴리머계 전고체 전지 연구개발 및 특허 동향 분석
3-1. 연구개발 동향 분석
1) 분석절차
2) 연도별 연구 동향
3) 유형별 연구의 수
4) 인용 상위 연구
5) 주제 분석
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7) 연구 주제별 평균 인용 수
8) 연도별 평균 인용 수
9) 주요 학술지
10) 주제별 전망
11) 오픈엑세스 저널 비율
12) 펀딩연구의 비율
13) 주요 펀딩 기관
3-2. 특허 동향 분석
1) 분석절차
2) 연도별 특허 동향
3) 국가별 출원 동향
4) 기업별 출원 동향
5) 인용 상위 특허
(1) Alkaline battery cathode with solid polymer electrolyte
(2) Battery having aluminum anode and solid polymer electrolyte
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7) 주제 분석
8) 평균 인용 수
9) 주제별 전망

Ⅳ. 주요 업체별 전고체 전지 개발 동향과 사업 전략

1. 완성차 업체
1-1. 일본
1) 토요타(TOYOTA)
2) 닛산자동차(Nissan Motor)
3) 혼다(Honda)
1-2. 미국
1) GM(General Motors)
2) 포드(Ford)
1-3. 독일
1) 폭스바겐(Volkswagen)
2) 메르세데스-벤츠 그룹(Mercedes-Benz Group)
3) BMW
1-4. 중국
1) BYD(比亚迪股份有限公司)
2) 상하이 자동차(SAIC,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3) 니오(Nio, 蔚来)
1-5. 한국
1) 현대자동차 그룹(Hyundai Motor Group)

2. 배터리 제조사
2-1. 일본
1) 파나소닉 홀딩스(Panasonic Corporation)
2) 막셀(MAXELL)
3) GS 유아사(GS Yuasa)
4) 무라타 제작소
2-2. 한국
1) LG에너지솔루션(LG Energy Solution)
2) 삼성SDI(Samsung SDI)
3) SK온(SK On)
2-3. 중국
1) CATL(宁德时代,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2) 간펑 리튬(Ganfeng Lithium)
2-4. 유럽
1) 노스볼트(Northvolt)

3. 스타트업
3-1. 미국
1) 솔리드 파워(SolidPower)
2)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
3) SES AI(舊, 솔리드에너지시스템)
4) 팩토리얼 에너지(Factorial Energy)
5) 24M 테크놀로지스(24M Technologies)
6) 엔파워 그린테크(Enpower Greentech, 恩力动力科技有限公司)
3-5. 유럽
1) 블루 솔루션(Blue Solutions)
2) 일리카 테크놀로지스(Ilika Technologies)
3-3. 중국
1)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ProLogium Technology)
2) 웨이란신에너지(北京卫蓝新能源科技)
3) GTC-POWER(高能时代(珠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4) 탤런트신에너지(太蓝新能源, TALENT NEW ENERGY)
5) 칭다오 에너지 개발(QingTao Energy Development)

4. 고체전해질 개발 기업
4-1. 해외
1) 앰프세라(Ampcera) : 미국
2) 미쓰비시 머티리얼(三菱マテリアル) : 일본
4-2. 국내
1) 이수스페셜케미컬
2) 에코프로비엠(ECOPRO BM)

5. 연구기관
5-1. 해외
1) 도호쿠 대학ㆍ나고야 대학ㆍ파인세라믹센터ㆍ고휘도광과학연구센터 등의 연구팀 : 일본
2) 이화학연구소ㆍ분자과학연구소ㆍ고에너지 가속기 연구기구ㆍ파인 세라믹스 센터ㆍJ-PARC 센터의 공동 연구 그룹 : 일본
2)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 産業技術総合研究所) : 일본
4) 아이멕(Imec) : 벨기에
5-2. 국내
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6. 기타
1) 산시 Huineng 기술 유한 회사(山西辉能科技有限公司) : 중국
2) 히타치 조선(Hitachi Zosen) : 일본
3) 万向A123(Wanxiang Group) : 중국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