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에 따라 주목받는 2024년 글로벌 이차전지 전주기 밸류체인별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전략

2024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에 따라 주목받는 2024년 글로벌 이차전지 전주기 밸류체인별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전략

  •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편집부
  • |
  • 씨에치오 얼라이언스(CHO Alliance)
  • |
  • 2024-03-25 출간
  • |
  • 643페이지
  • |
  • 210 X 297mm
  • |
  • ISBN 9791193250068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고효율 중대형 리튬이차전지 전후방 핵심 밸류체인 시장 동향과 전망 33

1.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과 핵심광물 시장 동향과 전망 33
1-1. 전략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 안정화를 위한 대응동향 33
1) GVC 재편의 중심이 된 핵심광물 이슈와 전망 33
(1) 핵심광물의 정의와 종류 33
(2) 주요 핵심광물 수요처와 광물 35
(3) 핵심광물의 공급망 이슈 40
(4) 글로벌 4대 핵심 광물 생산량 및 매장량 43
2) 주요국의 핵심광물 확보전략 45
(1) 미국 45
(2) EU 50
(3) 중국 57
3) 국내 핵심광물 확보전략 67
(1) 국내 핵심 광물 현황 67
(2) 국내 핵심광물 확보 전략 69
4) 글로벌 8대 핵심광물 수급전망(’20∼’50) 78
1-2. 글로벌 이차전지용 핵심 광물 시장과 공급망 동향 79
1) 리튬이온 배터리용 핵심광물 공급망 동향 79
(1) 글로벌 배터리용 핵심광물 공급망 동향 79
(2) 국내 배터리용 핵심광물 공급망 동향 81
2) 6대 핵심광물 시장과 공급망 동향 82
(1) 리튬 82
(2) 니켈 85
(3) 코발트 88
(4) 흑연 90
(5) 희토류 93
(6) 백금족 96

2. 글로벌 전기차(EV) 시장 동향과 전망 99
2-1. 글로벌 전기차 시장 주요 이슈와 전망 99
1) 중국 전기차 기업의 약진과 글로벌 진출 확대 99
2) 부상하는 하이브리드카 시장 동향과 전망 100
(1) 글로벌 하이브리드카 시장동향 100
(2) 국내외 주요 OEM 대응 동향 101
3) IRA가 가져온 공급망(GVC) 재편과 부상하는 북미 전기차 시장 103
(1) 전기차 제조와 배터리, 핵심광물 경쟁 103
(2) 주요 전기차 OEM 북미 투자 동향 104
4) 전기차 가격 경쟁 본격화와 LFP 배터리 부상 105
(1) 테슬라발 전기차 가격경쟁 105
(2) LFP 배터리 부상과 보급형 전기차 확대 107
5) 전기차 충전 규격과 전압 규격 표준 경쟁 108
(1) 북미, 전기차 충전 규격 표준 경쟁 108
(2) 전기차 전압 규격 표준 경쟁 110
2-2. 글로벌 전기차(EV) 시장 동향과 전망 113
1) 글로벌 전기차 시장 동향 113
(1) 글로벌 전기차 시장 동향 113
(2) 글로벌 전기차 보급 실적 추이와 동향 115
(3) 글로벌 오프하이웨이 전기차 시장 전망 115
2) 글로벌 OEM 전기차 전환계획과 성과 119
(1) 글로벌 OEM 전기차 전환계획 119
(2) 글로벌 OEM 전기차 판매 실적 동향 120
(3) 글로벌 OEM 전기차 전환 평가 123
(4) 글로벌 OEM 매출 실적과 수익성 124
3)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 126
(1) 글로벌 선도국의 전동화 목표와 전기차 가격 전망 126
(2)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 128
(3) 중국 전기차(신에너지차) 시장 동향과 전망 133
2-3. 국내 자동차 및 친환경차 시장 동향과 전망 137
1) 국내 자동차 산업 동향과 전망 137
(1) 2023년 국내 친환경차 시장 동향 137
(2) 2024년 국내 자동차 시장 전망 137
2) 2023년 국내 자동차 및 친환경차 보급 현황 139
(1) 차종별, 연도별, 제작사별 보급현황 139
(2) 2023년 말 기준 자동차등록 통계 세부내용 140
3) 2024년도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148
(1) 개편 방향 148
(2) 차종별(전기승용, 전기승합, 전기화물) 개편안 149
(3) 변경 내용 비교 현황 152

3. 글로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 기술 동향과 전망 154
3-1.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개요와 동향 154
1) ESS 정의 및 분류 154
(1) ESS 정의 154
(2) ESS 구성 및 분류 155
(3) ESS 기술별 분류와 특징 158
2) ESS 화재 사고 대응과 안정성 검증 강화 163
(1) 국내 ESS 화제 대응 동향 163
(2) 해외 ESS 화제 대응 동향 164
3) 주요국 ESS 정책 동향 168
(1) 미국 168
(2) 중국 169
(3) 일본 169
(4) 유럽 170
(5) 기타(호주, 인도) 170
3-2. ESS 주요 기술별 개요와 동향 171
1) 계통안전화 ESS 기술 개요와 동향 171
(1) 주파수 조정용 대용량 ESS 171
(2) 피크부하 절감 ESS 173
(3) 에너지 회생용 ESS 177
2) 대용량 ESS 및 신재생에너지 연계 ESS 기술 개요와 동향 179
(1) 액체공기 ESS 179
(2) 이차전지(리튬이온전지·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ESS 183
(3) 하이브리드 양수 발전·압축공기 ESS 187
(4) 태양광·풍력 발전 연계 ESS 189
3-3. 글로벌 ESS 시장 동향과 전망 192
1) 국내외 ESS 시장 동향과 전망 192
(1) 글로벌 ESS 시장 동향과 전망 192
(2) 국내 ESS 시장 동향과 전망 197
2) 주요 ESS 시장별 동향과 전망 198
(1) 소형 ESS 시장 동향과 전망 198
(2) 선박용·군수용 ESS 시장 동향과 전망 202

Ⅱ. 고효율, 중대형 리튬이온전지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11

1. 이차전지·리튬이온전지 개요와 최근 이슈 211
1-1.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및 리튬이온전지산업 개요 211
1) 이차전지 개요 211
(1) 이차전지 정의와 종류 211
(2) 이차전지 원리와 구성 212
(3) 이차전지의 활용 213
2) 리튬이온전지 개요 213
(1) 리튬이온전지 특징과 핵심 소재 213
(2) 양극재 소재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분류 217
(3) 셀 형태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분류 219
(4) 이차전지(소형전지, 중·대형 전지, 전기차용 전지) 특성 221
(5) 주요 용도별 차세대 전지 기술 224
3) 이차전지산업 제조 과정과 밸류체인 현황 225
(1) 이차전지 제조과정 225
(2) 이차전지산업 밸류체인 229
(3) 밸류체인별 한·중·미 경쟁력 비교 231
(4) 글로벌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별 유력기업 맵 232
4) 글로벌 이차전지 및 소재 수급 동향과 전망 232
(1) 글로벌 이차전지 및 리튬이온 전지 수급 전망 232
(2)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및 핵심 광물 시장 전망 235
1-2. 미국 IRA 대응 국내 배터리 기업의 대응동향과 전략 238
1) IRA(Inflation Reduction Act)와 이차전지 공급망 변화 238
(1) IRA(Inflation Reduction Act)와 이차전지 공급망 238
(2) 미국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현황과 향후 전망 239
2) 국내 기업 IRA 대응 동향 240
(1) 단기 대응 전략-가이던스 활용 240
(2) 중장기 대응 전략- 북미 현지 공장 건설 241
3) 국내 배터리 기업의 대응 동향 241
(1) 북미 생산거점 확대 241
(2) 핵심광물(소재) 중국 의존도 축소 247
(3) 공급망 재편 대비 유럽 진출 확대 251
4) 중국 배터리 소재 기업의 국내 진출 동향 252
(1) 중국기업의 한국 진출 동향 252
(2) IRA의 ‘우려 대상 기관(foreign entity of concern)’ 대응 254
1-3. 국내 이차전지용 핵심 광물과 공급망 전망 256
1) 이차전지용 핵심 광물 수요전망과 공급망 구조 256
(1) 이차전지용 핵심 광물 256
(2) 핵심 광물 공급망 불안과 중국 의존도 심화 258
2) 국내 배터리 핵심소재 공급망 구조, 수급 동향과 전망 260
(1) 국내 배터리 핵심소재 공급망 구조와 다변화 동향 260
(2) 국내 배터리 핵심 소재 수급동향과 전망 262

2. 글로벌 xEV용 배터리 관련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64
2-1. 글로벌 xEV용 배터리 시장 이슈와 동향 264
1) 급성장하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요와 시장 전망 264
(1) LFP 배터리 개요 264
(2) LFP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266
2) 상용화 단계의 나트륨(소듐)이온전지 개요와 동향 269
(1) 나트륨(소듐)이온전지(Sodium-Ion Battery) 개요 269
(2) 국내외 기술 개발, 상용화 동향 270
3) xEV OEM의 배터리 공급망 확보 및 배터리 개발 전략 271
(1) 배터리 공급망과 핵심 광물 271
(2) OEM 기업의 배터리 공급망 확보 및 차세대 배터리 개발 전략 274
2-2. 국내외 xEV용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282
1) 글로벌 xEV용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282
(1) 글로벌 xEV용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282
(2) 글로벌 xEV용 배터리 기업 점유율 현황 285
(3) 차세대 xEV용 배터리 개발 동향 288
2) 중국의 xEV용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략 290
(1) 중국의 xEX용 배터리 시장 동향 290
(2) 중국 xEX 배터리 관련 정책 동향 292
(3) 중국 xEX 폐배터리 관련 시장 동향 293
3) 국내 이차전지 수출 실적 및 전망 294
(1) 2023년 국내 이차전지 수출 실적 294
(2) 국내외 기업 최근 동향과 대응 전략 295
2-3. xEV용 배터리 4대 부재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00
1) 이차전지 4대 핵심 부재 기술개발 방향과 전망 300
(1) 4대 핵심 부재 기술개발 방향 300
(2) 국내외 주요기업 4대 부재 기술개발 동향 300
2) 4대 핵심 부재별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01
(1) 양극재 301
(2) 음극재 306
(3) 분리막 310
(4) 전해질(액)과 고체 전해질 315
2-4. LIB(리튬이온배터리) 4대 부재 세계 시장 출하 동향 321
1) LIB 4대 부재의 연간 출하량 추이 321
(1) 양극재 321
(2) 음극재 321
(3) 전해액 321
(4) 세퍼레이터 322
2) 주요 4대 부재의 국가·지역별 출하량, 출하 점유율 322
(1) 양극재 322
(2) 음극재 323
(3) 전해액 324
(4) 세퍼레이터 325
3) LIB 4대 부재 주요 10사의 출하량과 점유율 326
(1) 양극재 326
(2) 음극재 328
(3) 전해액 329
(4) 세퍼레이터 331
4) 주요 4대 부재 상위 5개사 출하량과 출하 점유율 332
(1) 양극재 332
(2) 음극재 333
(3) 전해액 334
(4) 세퍼레이터 334

3. 차세대 이차전지 관련 기술 개발 동향과 전략 336
3-1.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개발 동향과 전망 336
1) 전고체전지(All Solid State Battery) 336
(1) 기술 개요 336
(2)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336
2) 리튬금속전지(Lithium metal Battery) 339
(1) 기술 개요 339
(2)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341
3) 리튬황전지(Lithium Sulfur Battery) 341
(1) 기술 개요 341
(2)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342
3-2. 국내 이차전지용 미래소재 기술 개발 전략 344
1) 이차전지 미래소재 기술 개발의 필요성 344
(1) 이차전지 소재의 역할과 중요성 344
(2) 이차전지 시장 환경 변화와 분야별 주요 이슈 345
2) 이차전지 소재분야 기술 로드맵(2022-2035) 348
(1) 이차전지 분야 총괄 기술 로드맵 348
(2) 이차전지 분야 8대 세부 기술 로드맵 349

Ⅲ. 국내외 EV배터리기반 유망 BaaS(Battery as a Service) 기술, 시장 전망과
정책동향 363

1. EV배터리기반 유망 BaaS(Battery as a Service)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63
1-1. EV 폐배터리 회수 및 재활용 기술과 시장전망 363
1) 자원 순환경제(Circular Economy)와 폐배터리 재활용 363
(1) 배터리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개념 363
(2) EV 폐배터리 활용 유형 364
(3) EV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밸류체인 368
2) 배터리 성능 평가와 재활용 공정 기술 372
(1) 배터리 잔존성능 평가와 분류 및 처리 방법 372
(2)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Recycle) 기술과 주요 공정 374
3)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전망 378
(1) 글로벌 EV 폐배터리 발생량과 재활용 시장 전망 378
(2) 중국 EV 폐배터리 발생량과 재활용 시장 전망 383
(3) 유럽 EV 폐배터리 발생량과 재활용 시장 전망 385
(4) 미국 EV 폐배터리 발생량과 재활용 시장 전망 387
4) 국내외 주요국 정책 동향 389
(1)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389
(2) 국내 주요 정책 동향 391
5) 국내외 주요 기업 대응 동향 398
(1) 주요 자동차 기업 대응 동향 398
(2) 북미 주요기업 대응 동향 398
(3) 중국 주요기업 대응 동향 400
(4) 일본 주요기업 대응 동향 401
(5) 국내 주요기업 대응 동향 402
1-2. EV 배터리 교체(스와핑), 충전, 진단 서비스 409
1) 전기차 배터리 교체(스와핑) 서비스 개요와 동향 409
(1) 개요 409
(2) 전기차 배터리 교체 시장 구조와 과제 410
(3) 중국 배터리 교체 서비스 시장동향과 전망 413
(4) 국내 주요 사업자 동향과 전망 422
2) 전기차 이동식 충전(온디맨드: On-Demand) 서비스 424
(1) 전기차 이동식 충전 서비스 사업 동향 424
(2) 환경부,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에 2024년 300억 지원 427
3) 전기차 배터리 진단 및 구독(렌탈, 리스) 서비스 427
1-3. EV 배터리기반 V2G(Vehicle to Grid) 사업 동향과 전망 431
1) 전기차 내 잉여 전력 저장 및 활용 방법 431
(1) 전기차 잉여전력 저장과 활용방안 431
(2) V2G(Vehicle to Grid) 개념과 기능 431
2) 주요국 V2G 기술개발 프로젝트 개요와 동향 433
(1) 일본, e-Mobility Power 프로젝트(2019∼) 433
(2) 중국, 상하이 V2G 시범 프로젝트(2020∼) 434
(3) 독일, BCM(Bidirectional Charging Management) 프로젝트(2020∼) 435
(4) 미국, 전기 스쿨버스 V2G 프로젝트(2021∼2022) 435
(5) 영국, Shift Project(2019∼2024) 437
(6) 호주, 남호주 V2G 양방향 충전 승인 438
(7) 인도, ChargeGrid Flare 프로젝트(2020∼) 439
3) 국내외 V2G 사업화 사례 및 OEM 대응 동향 440
(1) 일본의 V2H(Vehicle to Home) 사례 및 동향 440
(2) 국내외 주요 자동차 OEM 대응 동향 442
4) 국내외 EV기반 가상발전소(VPP) 사업화 사례와 동향 443
(1) VPP 개요와 EV기반 VPP 443
(2) EV기반 VPP 사업화 사례와 동향 445

2. 국내 이차전지 산업 관련 정책 동향과 추진 전략 447
2-1. 이차전지 전주기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447
1) 추진 배경 447
2) 추진 전략 449
3) 이차전지 전주기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450
(1)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 450
(2) 핵심소재 및 배터리 셀 제조 경쟁력 강화 452
(3) 사용 후 배터리 산업생태계 활성화 454
(4)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조성 462
4) 추진전략별 추진 일정 469
(1)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 469
(2) 핵심소재 및 배터리 셀 제조 경쟁력 강화 469
(3) 사용 후 배터리 산업생태계 활성화 470
(4) 이차전지 산업생태계 조성 471
2-2. 차세대 전지 초격차 R&D전략 472
1) 추진 배경 472
(1) 사물배터리(BoT: Battery of Things) 시대 본격 도래 472
(2) 2050 탄소중립 솔루션으로서의 핵심기술 472
(3) 경제 블록화/기술 무기화 기조에 대응 473
2) 기술개발 현황 분석(R&D투자, 논문/특허, 산업동향) 475
(1) 정부 R&D 분석 475
(2) 기술/산업 동향 476
3) 과제와 대응방향 478
(1) 중ㆍ장기적 기초원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미래 시장 선제적 대응 478
(2) 차세대 기술 선점을 위한 한계(효율성, 안전·내구성) 돌파형 R&D 추진 478
(3) 민간 수요 중심, 핵심난제 발굴 및 해결을 위한 R&D 팀플레이 강화 478
4) 비전ㆍ목표 및 추진 전략 480
5) 차세대 전지 27대 핵심기술 개발 481
(1) 이차전지 481
(2) 수소연료전지 484
(3) 동위원소전지 487
6) 추진 전략 및 향후 계획 490
(1) [R&D]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혁신 기반 R&D 추진 490
(2) [인력 양성] 기술ㆍ산업 선도형 인재 양성 490
(3) (생태계) 협력ㆍ개방형 생태계 구축 491
2-3. 국내 첨단산업 글로벌 강국 도약 위한 핵심광물 확보전략 492
1) 추진 배경 492
2) 비전 및 전략 493
3) 핵심광물 확보전략 494
(1) 핵심광물 수급지도(Map) 개발 494
(2)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494
(3) 자원협력 강화 495
(4) 국내·외 자원개발 활성화 495
(5) 재자원화 기반조성 497
(6) 비축 확대 498
(7) 법·제도 정비 499
(8)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499
2-4.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전략 500
1) 추진 배경 500
2) 비전 및 추진 전략 501
3) 세부추진 과제별 전략 502
(1) 장기 스토리지믹스 최적화 502
(2) 시장 참여 활성화 및 보급 확대 505
(3) 시장선점을 위한 핵심 ESS 기술개발 509
(4) 산업기반 조성 및 글로벌 시장 진출 513
(5) 안전관리 체계 강화 516
4) 추진전략별 추진 일정 519

Ⅳ. 이차전지 관련 특허, 전략기술 로드맵, 연구테마 523

1. 이차전지 관련 특허 동향 및 중견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523
1-1. 이차전지 기술 관련 유망 특허 동향 523
1) 차세대 바나듐 배터리 특허동향 523
(1) 연도별 출원동향 523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524
(3) 주요 출원인 분석 525
2)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특허동향 526
(1) 연도별 출원동향 526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527
(3) 주요 출원인 분석 528
3) 전기자동차용 폐배터리 재사용(Reuse) 특허동향 529
(1) 연도별 출원동향 529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530
(3) 주요 출원인 분석 531
1-2. 이차전지 관련 중견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532
1) 차세대 바나듐 배터리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532
(1) 핵심 요소기술 532
(2) 기술로드맵 532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533
2)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534
(1) 핵심 요소기술 534
(2) 기술로드맵 534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535
3) 전기자동차용 폐배터리 재사용(Reuse)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536
(1) 핵심 요소기술 536
(2) 기술로드맵 536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537

2. 이차전지 관련 유망 기술 개발 연구테마 538
2-1. 2024년 신규 추진 연구테마 538
1) (총괄) 급속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 구현을 위한 실리콘 고함량
음극 전해액 및 셀 기술 개발 총괄 지원 538
2) (1세부) 급속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용 고용량 고효율 실리콘 음극
소재 개발 540
3) (2세부) 실리콘 고함량 음극극판의 고접착력 및 고전도성 기능 강화를 위한 박막
코팅 집전체 및 수계 바인더 기술 개발 542
4) (3세부) 실리콘 고함량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용 급속충전 전해액 개발 544
5) (4세부) 고함량 실리콘 기반 전기차용 고에너지밀도/급속충전 리튬이온전지 셀 구현
기술 개발 546
6) (총괄) 공급망 안정형 160Wh/kg급 나트륨이온배터리 구현을 위한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 및 셀 기술개발 총괄 지원 548
7) (1세부) 나트륨이온배터리용 저가격/고용량 층상계 양극 소재 개발 550
8) (2세부) 나트륨이온배터리용 고용량/고효율 음극 소재 개발 552
9) (3세부) 나트륨이온배터리용 고신뢰성 전해질 개발 554
10) (4세부) 나트륨이온배터리용 폴리올레핀계 세라믹 코팅 분리막 개발 556
11) (5세부) 공급망 안정형 160Wh/kg급 나트륨이온배터리 셀 개발 558
12) 리튬이차전지용 전기화학 구동안정성을 갖는 양극 전극 소재의 개발 560
13) 저탄소 건식공정용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차전지 전극소재 565
14) 폐전지 직접 재생기술 기반 전기차용 단결정 양극 소재 568
15) 120Wh/kg급 고성능 차세대 수계아연전지 원천기술개발 570
16) 220Wh/kg급 나트륨이온전지 고성능 핵심 소재 및 셀 기술 개발 573
17) (총괄) 열 최적화 기반 전기차 고안전 배터리 시스템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 576
18) (1세부) 급속충전 열관리시스템 능동제어 다면 냉각 기술개발 577
19) (2세부) 직접냉각 기술적용 80kWh 이상급 대용량 배터리 열관리 기술개발 578
20) (3세부) 열전이 방지 기술 적용 구조개선 배터리 시스템 기술개발 580
21) (4세부) 배터리팩 시스템 안전성 검증을 위한 신뢰성 검증 및 실차적용 실증 582
2-2. 2024년 계속 연구테마(2023년 신규과제) 584
1) (총괄) 200Wh/kg 이상의 고성능 리튬인산철전지 구현을 위한 친환경 양극소재,
전해액 및 셀 제조기술 개발 584
2) (1세부) 고성능 리튬인산철 양극 복합재 대량 제조기술 개발 585
3) (2세부) 고성능 리튬인산철전지 후막전극용 고함침성 전해액 제조기술 개발 586
4) (3세부) 후막전극 기반의 200Wh/kg 이상의 고에너지밀도 리튬인산철전지 셀
제조기술 개발 588
5) (총괄)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용 공정 소재 기술 개발 589
6) (1세부)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용 고강도, 내부식, 경량형 집전체 소재 기술 개발 590
7) (2세부)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용 부반응이 작은 고순도/고결정성 비철계 탄소나노튜브
도전재 및 분산체 기술 개발 592
8) (3세부) 고체전해질 제작 및 극판 공정 조건에 적합한 고결착성 바인더 개발 594
9) (총괄) High-Ni계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를 위한 리튬 고내식성 내화세라믹 소재
및 부품기술 개발 596
10) (1세부) 나노기술을 적용한 리튬 고내식성 내화세라믹 원료 제조기술 개발 598
11) (2세부) High-Ni계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효율 향상을 위한 리튬 고내식성
내화세라믹 부품 제조기술 개발 600
12) (3세부) 양극재 제조공정 부산물(폐 반응용기) 활용 고순도(〉99.5%급) 리튬화합
물 소재 제조 및 잔사 재자원화 기술개발 602
13)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전지용 초박형 복합 리튬금속 기반 고용량 음극 개발 604
14) 고안전성/저비용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원천기술 개발 605
15) 분자접합 적용 이차전지 파우치용 금속/수지 복합시트 개발 609
16) 미래 모빌리티용 고온(200℃ 이상) 고분자막 연료전지 소재 개발 613
17)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전지용 초박형 복합 리튬금속 기반 고용량 음극 개발 617
18) (총괄) 차량용 균일한 열관리 접착제 및 Cell to Pack 배터리시스템 최적화 및 검증
기술 개발 618
19) (1세부) CTP 배터리용 고강도 저비중 열관리 접착제 개발 620
20) (2세부) 7 W/m·K 이상의 열관리 접착제 소재를 적용한 CTP 배터리시스템
최적화 및 검증기술 개발 622
21)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반구축 624
2-3. 2024년 계속 연구테마(2022년 신규과제) 626
1) (총괄) 이차전지 핵심부품용 희소금속의 순환자원화 및 응용기술 개발 626
2) (1세부) 유기산 사용 친환경 침출공정 개발 및 폐수 무방류 공정개발을 통한
이차전지용 소재 연간 1,000톤급 제조 공정 기술 개발 628
3) (2세부) 이차전지 스크랩 블랙파우더로부터 친환경 신공법을 활용한 순도 99% 이상
리튬계 양극재 원료 2kg/batch급 제조기술 개발 630
4) (3세부) 100% 재활용 희소금속을 활용한 방전용량 180mAh/g 이상의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기술개발 632
5) (총괄) 폐탄소자원 기반 이차전지용 음극소재 제조기술 개발 634
6) (1세부) 폐탄소자원 기반 이차전지 음극재용 고순도 인조흑연 제조기술 개발 635
7) (2세부) 폐탄소자원 기반 인조흑연을 이용한 고용량 이차전지 전극 제조기술 개발 637
8) 고용량 이차전지용 실리콘/그래핀 복합음극재 개발 638
9) 급속 충전용 리튬이온기반 전지의 기능성 탄소계 박막 복합 분리막 소재 개발 639
10) (2-6세부)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용 나노급 산화알루미늄 화학조성 표준물질 개발 641
11) (2-7세부) 이차전지 전극용 SWCNT 도전재 분산액 표준물질 개발 및 보급 64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