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역사 철학에 대한
신선하고 도발적인 시도!”
‘정의’(justice)를 중심으로
헤겔의 역사 철학 바로 세우기
◆ “헤겔의 역사 철학을 자극하는 문제들에 대해 흥미롭고 중요한 여러 반전을 제공한다. 철학적으로 도발적이고 가치가 있다.” -로버트 피핀(시카고 대학교)
◆ “이 책은 역사에 관한 헤겔의 실제 텍스트의 훌륭한 동반자이며, 헤겔 학문의 긴급한 필요를 충족한다.” -딘 모야르(존스홉킨스 대학교)
◆ “헤겔 역사 이론의 해석과 동시대적 의미에 대한 논쟁에서 테리 핀카드는 오랫동안 기여해 왔다.” -크리스토퍼 요먼스(퍼듀 대학교)
테리 핀카드(Terry P. Pinkard)는 미국 철학계에서 헤겔 철학의 부흥을 선도한 주역 중 한 명이다. 헤겔 철학에 대한 참신하고 영향력 있는 해석을 제시해 온 그는 이 책에서 헤겔의 역사 철학을 정의(justice)의 문제와 관련짓는다. 즉 정의의 역사적 형태에 관한 논의가 헤겔의 역사 철학의 중심에 선다고 본다. 이 과정에서 추상적 개념의 탑을 쌓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역사 현실들에 대한 헤겔의 해석을 재고하여 역사에서 무한한 목적이 무엇인지를, 헤겔의 역사론 다시 세우기를 시도한다. 헤겔의 역사 철학에서 지금까지도 오용되고 있는 비유럽인에 대한 편견을 비판하는 것은 물론이며, 유럽 사회 역사를 통해 ‘자유’와 ‘정의’의 문제를 분석한다. 핀카드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가져오는 풍부한 주석과 참고문헌은 헤겔 철학과 관련한 연구 자료를 찾는 독자들에게 또한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헤겔의 저작에 대한 헤겔주의적 논평
핀카드는 역사가 ‘정립-반정립-종합’의 운동이라는 ‘게으른’ 헤겔 해석, 그리고 헤겔이 역사에 특정한 ‘목표’가 있는 것으로 이야기했다는 식의 해석을 비판한다. 즉 이러한 해석들이 헤겔을 가르치기 쉽게 만들었을지는 몰라도 그의 견해를 공허한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는 역사의 필연성을 강조하거나 무조건적인 ‘역사의 진보’를 주장하는 진부한 헤겔 해석에 머물지 않고 자신만의 흥미로운 화법과 사례를 통해 헤겔의 주요 개념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이 책을 시작한다. 그리고 역사에 대한 철학적 이해는 ‘주체성의 형이상학’ 개념뿐만 아니라 그 개념 자체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한 이해라고 주장하며, 인간에 대한 자연학적 본성론 분석 또한 시도하고 있다.
‘무한한 문제에 직면한 유한한 피조물’,
인간이 품는 무한한 정의에 대한 욕망
헤겔은 자신의 저술에서 자유의 역사를 중요시 여겼지만, 핀카드가 보기에 헤겔의 자유는 ‘정의’에 대한 사고방식을 설명하는 것으로, 부제와 마찬가지로 ‘정의의 역사적 형태에 관한 논의’가 헤겔의 역사 철학의 중심에 선다고 본다. 헤겔에게 있어 세계사를 관통하는 것은 ‘사태들을 이해하려는(의미화하려는) 욕망’이며, 이 욕망 자체가 유한한 인간에게 ‘정의에 대한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핀카드는 헤겔의 역사 철학이 역사에는 실제로 ‘무한한 목적’, 즉 ‘정의의 확보’라는 목적이 존재하며, 근대에는 이 목적이 ‘자유로서의 정의’에 대한 관심으로 변모했음을 보여 준다고 주장한다. 즉, 자유는 원래 역사의 목표가 아니었지만, 근대적 삶의 원리가 된 것이다.
“핀카드는 헤겔의 역사 철학에서 중요한 부분은, ‘사태를 이해하려는 요구’가 어떻게 ‘정의의 개념’으로 이어지고 이 ‘정의의 개념’이 역사가 발전함에 따라 ‘자유의 필요성에 대한 개념’으로 변모하는지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정의의 무한한 목적은, 사회 정치적 삶에서 권한이 개별 주체에 의해 수용되고 거부되는 무수한 방식들에서 형성되고 집단적으로 추구되는 목적이다.” _「옮긴이 해설」 중에서
역사를 망각해서는 안 되는 이유
인간은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사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성적 동물, ‘스스로 해석하는 동물’로서 인간 주체는 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또한 “화해된 세계를, 즉 그것이 자신에게 이해되고 그 속에서 자신이 어떤 정당한 지위를 갖는 세계”를 열망한다. 여기서 화해(reconciliation)라는 용어는 헤겔이 제시한 것으로, ‘자유에 대한 요구’로부터 발생하는 더 심오한 요구를 가리킨다. 이는 사람들이 세계와 자신을 서로 이해하게 되었을 때 이루어진다. 화해는 사태들을 이해하는(의미화하는) 문제이고, 역사가 그러한 화해에 대한 인간의 요구, 즉 ‘이해하기에 대한 요구’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핀카드는 현대에 들어와 여러 조건으로 인해 역사를 무의미하다고 간주하려는 사람들에게, 이처럼 역사에서 발견되는 ‘자유의 무한한 목적’의 점진적 실현에 대한 헤겔의 복잡한 논리를 비교적 이해하기 쉽게 정당화하려고 한다. 인간은 사유 질서 아래에 놓임으로써 인간으로 존재하며, 이 질서 아래에 자신을 가져감으로써 이 질서 아래에 존재하게 된다. 결국 역사를 망각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역사란 우발적 사건들의 연속인 현재 우리의 연약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핀카드가 강조하듯, “우리가 무엇이 될지를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마다, 우리가 현재 존재하는 곳에 우리를 데려왔기 때문에 우리가 거기에 의존하고 있는 ‘경로의 세부 사항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