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아는 토우 장식 항아리에 담긴, 아무나 알지 못했던 이야기
·수동적인 정보 습득에서 주체적인 역사 경험을 제안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우리나라 대표 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이 심도 있는 유물 해설서를 내놓았다. 많고 많은 전시품 중에서도 국립경주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가장 인기 있는 10가지 유물을 선정했다. 큐레이터의 관점에서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두었던 기존의 전시 방식에서 관람객이 주체적으로 다양한 역사를 경험하게 하는 현재의 과정으로 변화하는 경향에 맞추었다. 화려한 유물만큼이나 선명한 사진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감탄과 설렘을 느끼게 한다.
흙으로 만든 신라 시대의 미니어처, 토우
1600여 년 만에 토우가 흙 밖으로 나온 것은 일제 강점기 공사 현장에서였다. 다양한 형상의 토우가 가득 붙어 있던 토기들은 마구잡이 발굴 과정에서 기록도 없이 훼손되었고, 부주의하게 다룬 탓에 토우만 따로 떨어져나와 보관되기도 했다. 이 토우들이 토기에 붙어 있었다고 확신하게 해 주는 완전한 모습의 목 항아리 두 점은 1970년대 발굴되어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책에서는 국보 목 항아리 외에도 여러 토기에 장식된 토우들을 입체적으로 살펴본다.
과감하고 솔직한 표현, 해학적으로 그린 신라인의 생활 모습
신라 토우는 당시 시대상을 가늠하여 볼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하게 발견된다. 신라 시대 동물원을 연상케 할 정도로 갖가지 실제 동물과 상상의 동물의 모습이 나타난다. 악기와 춤, 노래, 잡기를 표현한 인물상이 신라 시대의 유희와 풍류를 떠올리게 하는 한편, 노골적이고 과장된 성적 표현도 눈길을 끈다. 만듦새는 투박하지만 기발하게 특징을 잡아 낸 토우들의 갈래를 나누고 해석하는 가운데 누구보다 많은 토우를 보고, 만지고, 다루어 보았던 국립박물관 학예연구관의 통찰을 담았다.
신라인들은 왜 흙 인형을 만들어 묻었을까?
선사 시대부터 무언가를 본떠 만드는 행위에는 의미가 담겨 있다. 신라인들은 사람과 동물, 사물을 본떠 만든 토우에 어떤 의미를 담았던 것일까. 사람이나 동물의 특정 부위를 파격적으로 강조하거나 생략해 간결하게 표현하면서 무엇을 상징하려던 것일까? 뱀과 개구리 같은 고정된 형상이 여러 장소에서 발견된 다양한 토기에서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토우에 담긴 의미를 알아본다.
국립경주박물관 기획 시리즈: 신라 천 년을 대표하는 10가지 인기 보물의 완벽 해설 가이드북
전ㆍ현직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들과 국내 최고의 연구자들이 유물의 발굴부터 최근 연구 결과로 알아낸 새로운 사실까지, 전시실에서 다 들려주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차곡차곡 풀어 낸다. 박물관에서만 제공할 수 있는 상세한 사진들이 실물보다 선명하게 유물을 만나게 해 준다. 연구자의 시각으로 유물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한편, 전시품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을 제공한다. 이 책을 읽은 뒤 국립경주박물관에 방문한다면 유물을 보는 시각이 훨씬 깊고 넓어져 있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