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 전망 2

2024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 전망 2

  • 산업동향연구소 편집부
  • |
  • 산업동향연구소
  • |
  • 2024-03-15 출간
  • |
  • 713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1512427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친환경차(전기차,수소차) 최신 이슈 및 소재·부품·시스템 관련 산업동향 및 기술전망

1. 전기수소차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추진계획
1) 연구개발 분야 및 주요성과
(1) 주요 연구개발 분야
가. 환경·안전규제 핵심 부품 고도화
나. 미래형 자동차 요소기술 개발
(2) 주요 성과
2) 연구개발 추진 계획
(1) 산업현안 및 주요동향
(2) 추진전략
(3) 중점 추진 연구개발 분야
2. 수소차 글로벌 기술시장경쟁력 비교분석
1) 수소연료전지차의 글로벌 동향 및 전망
(1) 수소연료전지차 개요
가. 수소연료전지차는 연료전지로 만든 전기를 구동모터에 공급하여 주행하는
(2) 글로벌 주요국 수소차 정책
가. 주요 국가별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금지, 탄소중립 선언
나. 주요 국가별 수소충전소 설치운영 현황
다. 글로벌 주요 국가별 수소차 지원 정책
(3) 글로벌 수소차 시장 동향 및 전망
2) 수소연료전지차 특허 데이터 분석
(1) 수소연료전지차 데이터 수집 및 기술 분류
가. 수소연료전지차 기술개발 트렌드 분석을 위해 특허정보 활용
(2) 수소연료전지차 글로벌 기술시장경쟁력 분석
가. 수소연료전지차 기술관련 글로벌 특허출원 현황
나. 수소차 세부기술분야 분석 : 연료전지시스템, 연료전지, 차량시스템, 촉매 기술
다. 수소연료전지차 글로벌 자동차 제조메이커의 기술분야별 특허출원 동향
3) 데이터 분석
3. 아세안 순수전기차 시장전망 및 진출전략
1) 배경
2) 아세안 자동차 수요
(1) 자동차 판매량
(2) 자동차 시장 경쟁구도
(3) 친환경자동차 판매량
(4) 친환경자동차 시장 경쟁 구도
3) 아세안 자동차 생산
(1) 자동차 생산량
(2) 친환경자동차 생산
4) 아세안 시장 진출 전략
(1) 주요국 SWOT 분석
(2) 진출 전략
가. 자동차 시장
나. 친환경자동차 시장
5) 결론 및 시사점
4. 한·중 전기차 경쟁력 비교
1) 전기차 시장 동향
2) 한·중 전기동력차 해외시장 진출 현황
(1) 수출
(2) 해외판매
(3) 지역별 진출 현황
3) 한·중 전기동력차 경쟁력
(1) 수출경쟁력
(2) 기술 경쟁력
4) 결론 및 시사점
5. 목적 기반 전기차(e-PBV) 기술 동향
1) 개요
2) 시장동향
3) 산업 동향
4) 기술 동향
5) 결론 및 시사점
6. 열관리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전력부품 및 배터리 열관리 기술
② 통합 열관리 제어 기술
③ 히트 펌프 열관리 기술
④ 전력변환 장치 열관리 기술
⑤ 연료전지 열관리 기술
⑥ 고효율 모터·트랜스미션 냉각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7. 전력변환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분석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전력변환 모듈 제조·활용 기술
② 고효율 컨버터 제조 기술
③ 다중전압 전원 시스템 구축 기술
④ 양방향 OBC 제조 기술
⑤ 고출력 인버터 제조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8. 배터리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배터리 열관리 기술
② 배터리 상시 정밀 진단 기술
③ 배터리 패키징 고도화 기술
④ 배터리 운영관리 공용 플랫폼 구축 기술
⑤ 사용 후 배터리시스템 해체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9.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① 미국
② 일본
③ 유럽
④ 중국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초고속 충전(HPC) 기술
② 전기차 P&C (Plug&Charge) 기술
③ 충전 인프라 관제 기술
④ 충전기 부품 내구성 향상 기술
⑤ 전기차 충전소 안전성 향상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10. 수소자동차 충전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 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분석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고효율 압축 시스템 구축 기술
② 고압 수소 충전 시스템 안전성 향상 기술
③ 수소 충전 시스템 온도 제어 기술
④ 수소 충전 제어관리 기술
⑤ 수소 저장 장치·설비 안정성 향상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Ⅱ. 배터리 및 핵심 주요부품 관련 산업동향 및 시장현황

1. 차세대 이차전지
1) 개요
2) 글로벌 기술/산업/정책 동향
(1) 기술개요
(2) 기술・산업 동향
가. 전고체전지(All Solid State Battery)
나. 리튬금속전지(Lithium metal Battery)
다. 리튬황전지(Lithium Sulfur Battery)
라. 나트륨(소듐)이온전지(Sodium-Ion Battery)
(3) 정책동향
3) 경쟁력 분석
4) 정책 제언
2. 배터리용 소재 공급망 이슈 및 기술 비교 분석
1) 배터리 산업 개요
(1) 전기차용 배터리 산업 전망
(2) 전기차용 배터리 산업 특징
2)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 증가에 따른 원자재 이슈
(1) 배터리 가격 변화 및 원자재 의존성
(2) 중국의 배터리용 원자재 확보 정책
3) 글로벌 공급망 확보 정책 및 자국 보호정책 심화
(1) 인플레이션 감축법(미국, IRA)
(2) 핵심원자재법(유럽, CRMA)
(3) 원자재 무기화
4) 삼원계 소재의 가격경쟁력 감소에 따른 LFP 양극소재 사용량 증가
(1) LFP 소재 및 배터리 특성
(2) LFP 양극소재 적용 증가에 따른 대응 방안
5) 원자재 수급 이슈 대응 현황
(1) 원자재 수급 다변화 및 자원 확보 전략
(2) 폐배터리 재활용
(3) JV 설립을 통한 국내 전구체 직접 생산 시도
6)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 이슈 극복을 위한 정책 및 연구개발 방향
(1)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정책 지원
(2) 원자재 재활용 및 폐배터리 표준화
(3) 저코발트 양극활물질 개발
(4) LFP 양극활물질 기술격차 조기 단축 및 차세대 LFP계 양극활물질 개발
3. 전기 자동차 배터리 구독 서비스
1) 개요
2) 제도 및 규제 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1) 시장 규모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4. 자동차용 연료전지
1) 시장의 개요
2)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1) 시장 규모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5. 친환경 자동차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1) 시장의 개요
2) 관련 정책 및 제도
3)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6. 전기 자동차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1) 시장의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1) 충전 과정에서의 이상 감지 기술 개발
(2) 배터리 항온성에 대한 기술 개발
(3) 배터리 열관리 정보분석 및 정보 공개 서비스 도입
(4) 국제 시장 진출을 위한 표준 준수
7. 친환경 자동차용 인휠 모터
1) 시장의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 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Ⅲ. 미래형자동차 정부정책 및 핵심전략

1.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방안
1) 개요
2) 그간의 성과 및 과제
(1) 성과
(2) 과제
3) 추진전략
4) 핵심 정책과제
(1) 상용차 중심의 수소차 보급 확대
(2) 고성능 수소차 시장 출시 및 사후관리 강화
(3) 재정ㆍ금융 지원으로 수소차 구매 매력도 향상
(4) 수소충전소 확대 및 충전서비스 품질 제고
(5) 수소충전소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대응체계 마련
(6) 수소차 홍보 강화 및 보급모델 확산
5) 이행계획
2.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
1) 우리나라 이차전지 산업의 현황
2)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
3) 세부 추진 계획
(1)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한 Korea team 구성
(2) 지속 가능한 배터리 순환체계(Closed Loop) 구축
(3) 배터리 첨단기술 혁신허브(Mother Factory) 구축
(4) 국내 투자 활성화
(5) 국내 생태계 강화
3. 2023 연말 기준 자동차 관련 데이터

Ⅳ. 국가별 미래형자동차 산업동향 및 시장현황

1. 미국
1) 미국 정부의 자율주행 상용화 추진 동향
2) 미국 전기차 부품 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1) 전기자동차 부품산업 개요
가.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변화
나. 전기자동차 부품 구성
다. 미국 전기자동차 부품산업 동향
라. 미국 자동차 부품산업 변화에 따른 부품별 전망
마. 전기차 생태계내 Tier 1의 투자 동향
(2) 미국 전기자동차 주요 부품 수입 현황
가. 전기자동차(HS Code: 870390)
나. 리튬 배터리(HS Code 850760)
다. 자동차 모터(HS Code 851140)
라. 자동차 인버터(HS Code 850440)
(3) 유통구조 및 GVC 변화 동향
가. 유통구조
나. GVC 변화 동향
(4) 정부정책 및 인증 동향
가. 자동차 연비 및 안전 규제
나. 전기차 관련 부품 인증제도
다. 미국 전기차 산업 정책
(5) 부품 제조사 미국 진출 및 사업재편 현황
가. 자동차 부품 협력사 미국 진출 현황
나. 자동차 부품 협력사 사업재편 현황
다. 전기차 부품·소재 협력사 미국 진출 현황
(6) 해외진출 전략
가. 자동차 부품산업의 해외 시장개척 및 수출 확대를 적극 활용
나. 현지 OEM의 현지화 요구 증대에 대응
다. R&D 통한 제품의 고부가 가치화를 통해 지속 성장
라. 현지 진출 결정 관련 미국 주정부 경제개발단체와 긴밀한 협의
마. 국내 자동차생산 지속 VS 해외 전기차 전용공장 투자 정밀 검토
바. 우리 정부의 금융 지원책 활용 모색
(7) 기업활력법 사업재편 제도 개요
가. 개요
나. 승인 절차
다. 인센티브
(8) 미국 중서부 투자 진출 기회
가. 인디애나
나. 오하이오
다. 네브래스카
3) 미국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현황 및 전망
(1) 미국 전기자동차 충전 시장 동향
가. 미국 전기자동차 성장 배경 및 시장 현황
나. 미국 전기자동차 충전 시장 현황 및 계획
(2) 캘리포니아 전기자동차 충전 시장 동향
가. 캘리포니아 전기자동차 성장 배경 및 시장 현황
나. 캘리포니아 전기자동차 충전 시장 현황 및 계획
(3) 정부 인센티브 및 진출방안
가. 미국 연방정부 인센티브 프로그램
나. 캘리포니아주 정부 인센티브 프로그램
다. 진출방안
4) 미국,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입법 동향과 쟁점 분석
(1) 연방 정부
가. 정책 동향
나. 자율주행을 위한 자동차 안전기준 개정
다. 주요 입법안 및 사례
(2) 주(州) 사례: 캘리포니아
가. 캘리포니아의 자율주행 관련 법령
① 자율주행차의 시험운행 관련
② 자율주행차의 상용운행
나. 자율주행 관련 기관의 역할
2. 중국
1) 2023년 중국 자동차 수출 세계 1위, 전기차가 주도
2) 중국 자율주행 산업 전망
3) 자동차 산업 한·중 가치사슬 분석과 시사점
(1) 자동차산업의 단계별 가치사슬 정의
(2) 한ㆍ중 자동차산업의 단계별 가치사슬 현황
가. 디자인
① 한국
② 중국
③ 한ㆍ중 특성 비교
나. 연구개발
① 한국
② 중국
③ 한ㆍ중 특성 비교
다. 부품조달
① 한국
② 중국
③ 한ㆍ중 특성 비교
라. 생산
① 한국
② 중국
③ 한ㆍ중 특성 비교
(3) 한ㆍ중 자동차산업의 단계별 가치사슬 경쟁우위 분석
가. 디자인
나. 연구개발
다. 조달
라. 생산
마. 종합경쟁력
(4) 자동차산업의 한ㆍ중 가치사슬 관계 분석
가. 디자인/연구개발
나. 조달
다. 생산
라. 한ㆍ중 가치사슬 관계 종합
(5) 한ㆍ중 가치사슬 분석이 자동차산업에 주는 시사점
가. 자동차산업 가치사슬별 한ㆍ중 협력 및 분업 전략
① 기업의 대중 진출 및 중국 활용 전략
② 정부 정책
나. 자동차산업의 가치사슬별 대중 경쟁전략
① 기업 전략
② 정부 정책
3. 유럽(EU)
1) EU, 중국산 전기자동차 반보조금 조사 착수 계획 발표
(1) 조사 개요 및 배경
(2) 반(反) 보조금 조사 절차
(3) EU 시장 내 중국산 전기자동차 현황
(4) 집행위 조사 개시 관련 주요 반응
2) 독일,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입법 동향과 쟁점 분석
(1)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입법적 개요
가. 3단계 이하 자율주행(자동주행) 관련
나. 4단계 이상의 자율주행 관련
(2)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 관련 법령의 주요 내용
가. 「StVG」 등의 개정
나. 「AFGBV」제정
4. 일본
1) 자율주행 기술 경쟁 환경 및 일본 추진 현황
2) 자율주행의 윤리적·법적·사회적 과제 고찰
3) 일본, EV전지를 자동차, 통신, 전력 등의 공유 인프라로 활용 추구
4) 일본,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입법 동향과 쟁점 분석
(1) 개요
(2) 3단계 자율주행 관련 과거 입법 성과
가. 「도로운송차량법」 및 하위 법령 개정
나. 「道路交通法」개정
(3) 4단계 자율주행을 기반한 입법 성과
가.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에 대한 「道路交通法」 개정의 개요
나. 「道路交通法」 개정의 쟁점 및 시사점
(4) 국가별 특징 및 시사점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