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 SIGNATURE 공법기록 1 이론편

2024 SIGNATURE 공법기록 1 이론편

  • 강성민
  • |
  • 필통북스
  • |
  • 2024-04-05 출간
  • |
  • 464페이지
  • |
  • 188x257mm(B5)/882g
  • |
  • ISBN 9791167921574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7,16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16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어느덧 저는 10년차 변호사가 되었고, 변호사가 됨과 동시에 강의를 시작하였기에 공법 강의를 한지도 10년이 되었습니다.

『공법기록 엑기스』는 제가 변호사시험을 합격한 그 해에 첫 선을 보였습니다. 법학전문대학원 3학년이던 시절 저와 동기들을 위해 정리해두었던 자료들을 다듬어 이듬해 세권의 교재를 출간하였습니다. 그 중 한 권은 『상법 엑기스』라는 교재였는데 해당 교재는 2019년 이후로 더 이상 출간하고 있지 않고, 또 다른 한 권은 『민사기록 엑기스』라는 교재였는데 이제는 제가 공법 전문 강사가 되었기에 해당 교재는 2020년 민사법을 강의하는 타 강사님에게 사용권을 넘겨드리고 현재는 교재 이름과 표시되는 저자명도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저의 변호사 경력과 오롯이 함께 하는 교재는 이제 본 서가 유일합니다. 그러다보니 저도 본 서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1판부터 과분한 사랑을 받았던 본 교재는 이제는 어느덧 공법기록형의 대표적 교재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책을 사랑해주신 여러분들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큰 책임감을 가지고 공법기록형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제6판까지는 『공법기록 엑기스』라는 서명을 사용하였으나, 제7판부터는 『시그니처 공법기록』으로 그것을 변경하였습니다. 더 책임감 있게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수험서를 쓰도록 하겠습니다.

 

열세번의 변호사시험을 거치면서 공법기록형의 출제 유형도 어느 정도 정형화되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여전히 시험장에서 당황할 수밖에 없는 까다로운 형태의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제8회 변호사시험에서는 3개의 서면을 작성하는 형태가 출제되고, 새로운 유형인 행정심판청구서가 출제되었습니다.

제9회 변호사시험은 취소소송 소장과 헌법소원심판청구서의 2개의 서면을 작성하는 형태가 출제되어 형식은 외관상 평이하였으나, 그 중 소장만 예로 들더라도 피고가 3명, 다툼의 대상인 처분도 3개가 출제되어 많은 학생들이 청구취지나 청구원인을 작성하는데 애를 먹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제10회 변호사시험에서는 행정법 파트에서 공용수용에 관한 수용재결과 이의재결, 보상금증액청구를 주위적・예비적 청구로 묻는 형태의 문제가 나왔습니다. 해당 문제는 출제시비로 전원만점처리 결정이 되었지만, 해당 부분은 차치하더라도 실제 시험장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한 반작용인지 제11회, 제12회 변호사시험 공법기록형은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가 되었습니다.

제13회 변호사시험은 본시험과 모의시험을 통틀어 처음으로 행정법에서 관련청구소송의 병합 쟁점이 출제되어 많은 학생들을 당황하게 만들었습니다. 헌법에서의 ‘가처분 신청서’는 최근 2번의 모의시험에서 출제가 되어 어느 정도 대비가 가능한 범위였습니다.

이처럼, 선택형‧사례형과 구별되는 공법기록형만의 특유한 쟁점과 문제해결방식에 대한 대비 없이는 공법기록형의 고득점이 어렵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본 교재는 수험생의 입장에서 이와 같은 고민들을 토대로, 여러분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공법 기록형 유형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쓰여졌습니다.

 

 

한편 제8판까지는 [제1부, 제2부]에 해당하는 이론편과 [제3부]에 해당하는 기출문제 해설편을 한 권으로 묶어 출간을 하였으나, 기록형 기출문제의 특성상 분량이 매해 최소 50페이지 이상씩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제9판부터는 이론편과 해설편을 분리하기로 하였습니다.

 

 

■ 본 교재의 목차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부 공법기록 작성을 위한 기초]에서는 헌법소송과 행정소송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공법적 분쟁의 유형에 따른 적합한 구제수단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서술하였습니다. 특히 공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분들은 이 부분을 여러번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제2부 공법기록 작성 방법론]에서는 다양한 서식과 기재례를 통한 실제적인 공법기록 작성방법에 대해 알기 쉽게 서술하였습니다. 해당 부분은 『signature 헌법』, 『signature 헌법 핸드북』, 『행정법 강해』, 『행정법 엑기스 핸드북』과 같은 표현으로 작성하였으므로, 위 교재들과 함께 학습하신다면 같은 문체와 같은 호흡으로 선택형·사례형·기록형에 대한 완전한 대비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별책부록 : 기재례 핸드북]에서는 본서에 소개된 다양한 기재례를 모아서 포켓북 사이즈로 만들어 마지막 정리때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다.

 

 

■ 본서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론편에 해당하는 본서를 충분히 학습하십시오.

② 변호사시험 기출문제 원본을 출력하신 뒤 시간을 재고 메모를 하시며 문제를 풀어보십시오.

③ 기출문제 해설편에 해당하는 교재의 ‘문제’ 부분의 가필을 읽으시면서, 저자와 여러분의 문제 풀이 논리를 비교해가며 고민해보십시오.

④ 그 이후에 기출문제 해설을 보십시오.

⑤ 본서와 함께 제공되는 핸드북은 틈틈이 보시면서 그 표현에 익숙해지시기 바랍니다.

 

 

본 교재에는 지금까지 출제된 총 13회분의 변호사시험 공법기록형 쟁점과 2011년 7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치러진 모의시험 공법기록형 쟁점을 본 책과 핸드북에 모두 표시해두었습니다. 출제 되었던 쟁점들을 한 번에 단권화 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특히 모의시험 문제에 대한 메모와 해설이 필요하신 분들은 별책인 『signature 공법기록 모의시험 기출문제 해설 1~3』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책에 관한 의견은 언제든지 gangseongmin@naver.com 으로 해주십시오.

 

여러분의 열심과 노력을 늘 응원합니다. 이 책으로 공부를 하는 여러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세상에 꼭 필요한 법률가가 되시기 바랍니다.

 

2023. 3. 14.

강성민 드림 

목차

 

제1부 공법기록 작성을 위한 기초 1

제1편 공법소송의 종류 3

제2편 공법소송의 분류 5

제1장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에 대한 구제수단 5

제1절 개 설 5

제2절 항고소송과 구체적 규범통제 6

Ⅰ. 개 설 6

Ⅱ. 항고소송 7

Ⅲ. 구체적 규범통제 15

제3절 권리구제형 헌법소원 20

제2장 그 밖의 공법상의 법률관계에 대한 구제수단 : 당사자소송 22

Ⅰ.의 의 22

Ⅱ.다른 소송과의 구별 22

Ⅲ.판례가 당사자소송으로 본 경우 23

제3장 권한분쟁에 대한 해결수단 25

제1절 개 설 25

제2절 권한쟁의심판 26

Ⅰ.권한쟁의심판의 의의 26

Ⅱ. 심판청구의 절차 26

Ⅲ. 심판청구의 적법요건 27

Ⅳ. 가처분 27

Ⅴ. 결 정 27

제3절 기관소송 29

제4절 권한분쟁의 해결수단으로서 항고소송의 활용 31

제4장 기타 헌법소송제도 32

제1절 탄핵심판 32

제2절 정당해산심판 33

 

제2부 공법기록 작성 방법론 35

제1편 시험에 나오는 기록형 서식 37

1. 소장 기재례 37

2. 항고소송 소장 + 관련청구의 병합 기재례 39

3. 답변서 기재례 40

4. 집행정지신청서 기재례 41

5. 행정심판청구서 기재례 42

6. 기관소송 기재례 43

7. 주민소송 기재례 44

8. 간접강제신청서 기재례 46

9.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기재례 47

10.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48

11.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50

12. 권한쟁의심판청구서 기재례 52

13. 가처분신청서 기재례 54

14. 정당해산심판청구서 기재례 55

15. 위헌법률심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에 대한 의견서 기재례 56

16.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대한 답변서 기재례 57

제2편 행정소송 59

Ⅰ. 소 장 59

A. 형식적 기재사항 59

17. 형식적 기재사항 총설 59

18. 원고의 표시 60

19. 피고의 표시 63

20. 사건의 표시 66

21. 청구취지 67

22. 청구원인 72

23. 입증방법 및 첨부서류 73

24. 날짜 및 대리인, 관할법원 74

B. 청구 원인 79

�� 이 사건 처분의 경위 79

25. 이 사건 처분의 경위 79

�� 이 사건 소의 적법성 (적법요건) 81

26. 적법요건 총설 81

27. 대상적격 83

28. 원고적격 99

29. 협의의 소의 이익 109

30. 피고적격 116

31. 제소기간 122

32. 행정심판 전치주의 130

�� 이 사건 처분의 위법성 (본안심리) 133

33. 본안심리 총설 133

34. 처분 내용의 하자 135

35. 처분 절차의 하자 157

36. 처분 주체의 하자 170

37. 처분 형식의 하자 171

38. 소송의 병합 172

Ⅱ. 답변서 175

39. 답변서 175

 

제3편 헌법소송 177

Ⅰ.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177

�� 형식적 기재사항 177

40.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형식적 기재 177

�� 신청이유 180

41.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 신청이유 180

Ⅱ. 제68조 제2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186

�� 형식적 기재사항 186

42.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형식적 기재사항 186

�� 청구이유 189

43.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청구 189

Ⅲ. 제68조 제1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197

�� 형식적 기재사항 197

44.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형식적 기재사항 197

�� 청구이유 202

45.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청구이유 202

46. 청구인능력 (기본권주체성) 203

47.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 206

48.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의 침해 주장 및 침해 가능성 215

49. 법적관련성 (자기관련성, 직접성, 현재성) 216

50. 보충성 221

51. 권리보호이익 또는 심판이익 223

52. 청구기간 준수 224

53. 변호사 강제주의 229

Ⅳ. 권한쟁의심판청구서 230

�� 형식적 기재사항 230

54. 권한쟁의심판청구서 형식적 기재사항 230

�� 신청이유 233

55. 권한쟁의심판 청구이유 233

Ⅴ. 청구대상의 특정 238

56. 위헌법령의 기재방법 238

57. 단순위헌결정 이외의 위헌결정 240

58. 처벌조항이 심판대상인 경우 249

Ⅵ. 본안에서 위헌 논증 251

59. 신청(청구)이유 中 위헌논증 총설 251

60. 과잉금지원칙 기재례 258

Ⅶ. 특수한 제한법리가 있는 기본권 263

61. 평등권 263

62. 직업의 자유 269

63. 재산권 272

64. 표현의 자유 275

65. 집회․결사의 자유 278

66. 기본권 보호의무 280

67. 사회권적 기본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등) 281

68. 생소한 기본권 기재례 282

Ⅷ. 자주 사용되는 헌법상 원칙 286

69. 위임입법의 한계와 통제 일반 286

70. 법률유보의 원칙 287

71. 포괄위임금지원칙 289

72. 명확성의 원칙 290

73. 소급입법 금지의 원칙 및 신뢰보호의 원칙 292

 

 

[핸드북 차례]

 

제1편 시험에 나오는 기록형 서식 3

[1] 소장 기재례 4

[2] 항고소송 소장 + 관련청구의 병합 기재례 5

[3] 답변서 기재례 6

[4] 집행정지신청서 기재례 7

[5] 행정심판청구서 기재례 8

[6] 기관소송 기재례 9

[7] 주민소송 기재례 10

[8] 간접강제신청서 기재례 12

[9]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기재례 13

[10]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14

[11]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16

[12] 권한쟁의심판청구서 기재례 18

[13] 가처분신청서 기재례 20

[14] 정당해산심판청구서 기재례 21

[15] 위헌법률심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에 대한 의견서 기재례 22

[16]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대한 답변서 기재례 23

 

제2편 행정소송 25

Ⅰ. 소 장 26

1. 형식적 기재사항 26

[17] 원고의 표시 26

[18] 피고의 표시 28

[19] 사건의 표시 29

[20] 청구취지 30

[21] 청구원인 34

[22] 입증방법 및 첨부서류 35

[23] 날짜 및 대리인, 관할법원 36

2. 청구 원인 38

➊ 이 사건 처분의 경위 38

[24] 이 사건 처분의 경위 38

➋ 이 사건 소의 적법성 (적법요건) 39

[25] 총 설 39

[26] 대상적격 40

[27] 원고적격 48

[28] 협의의 소의 이익 54

[29] 피고적격 58

[30] 제소기간 62

[31] 행정심판 전치주의 66

➌ 이 사건 처분의 위법성 (본안심리) 68

[32] 본안심리 총설 68

[33] 처분 내용의 하자 70

[34] 처분 절차의 하자 84

[35] 처분 주체의 하자 93

[36] 처분 형식의 하자 93

Ⅱ. 답변서 94

[37] 청구취지에 대한 답변 94

제3편 헌법소송 95

Ⅰ.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96

[38]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 적법요건 96

Ⅱ. 제68조 제2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100

[39]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적법요건 일반 100

Ⅲ. 제68조 제1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106

[40]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적법요건 일반 106

[41] 청구인능력 (기본권주체성) 108

[42]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 110

[43]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의 침해 주장 111

[44] 법적관련성 (자기관련성, 직접성, 현재성) 112

[45] 보충성 115

[46] 권리보호이익 또는 심판이익 116

[47] 청구기간 준수 117

Ⅳ. 권한쟁의심판청구서 119

[48] 권한쟁의심판 적법요건 119

Ⅴ. 청구대상의 특정 120

[49] 위헌법령의 기재방법 120

[50] 단순위헌결정 이외의 위헌결정 122

[51] 처벌조항이 심판대상인 경우 126

Ⅵ. 본안에서 위헌 논증 128

[52] 신청(청구)이유 中 위헌논증 총설 128

[53] 과잉금지원칙 기재례 130

Ⅶ. 특수한 제한법리가 있는 기본권 131

[54] 평등권 131

[55] 직업의 자유 133

[56] 재산권 135

[57] 표현의 자유 137

[58] 집회‧결사의 자유 139

[59] 기본권 보호의무 141

[60] 사회권적 기본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등) 142

[61] 생소한 기본권 기재례 143

Ⅷ. 자주 사용되는 헌법상 원칙 147

[62] 법률유보의 원칙 148

[63] 포괄위임금지원칙 및 위임의 한계 150

[64] 명확성의 원칙 151

[65] 소급입법 금지의 원칙 및 신뢰보호의 원칙 152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