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아세안 소지역 연계성의 전환과 도전

아세안 소지역 연계성의 전환과 도전

  • 김동엽
  • |
  • 솔과학
  • |
  • 2024-03-15 출간
  • |
  • 305페이지
  • |
  • 153 X 225mm
  • |
  • ISBN 9791192404745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아세안에 대한 우리의 학술적 지식과 이해는 개별국가 단위로 파편화되어 있으며, 우리의 대중들은 아세안을 피상적이며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본다.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은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을 통해 개별국가로 파편화된 아세안에 대한 인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체적으로 전략적 파트너로서 아세안이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에 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접근 방법으로 아세안 소지역(ASEAN Subregions)과의 연계와 협력을 제안하였다. 아세안 소지역의 역내외 연계성과 현안에 대한 이해는 ‘한-아세안 상생 번영의 평화공동체 구현’이라는 우리 정부의 대 아세안 비전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전략적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그동안 우리 정부의 대 아세안 외교·안보적 접근은 주로 한-아세안 다자간 대화채널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접근법은 모든 이슈마다 아세안 10개 회원국 모두의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는 어려움 때문에 그 결과가 대부분 선언적 차원에 머물렀다. 한편 우리의 대 아세안 경제교류와 개발협력은 주로 개별국가와의 양자 간 관계로 접근해왔다.
아세안 회원국 대부분은 여전히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발전이라는 목표를 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정치적 변화 요인이 크다. 이는 양자 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외교 및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데 불안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아세안 차원의 다자간(multilateral) 접근법이 가지는 공허함과 개별국가 차원의 양자 간(bilateral) 접근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소지역 차원의 소다자주의(minlateral) 접근법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포스트-코로나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아세안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우리나라의 강점을 활용한 ICT 기반 스마트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는 주변 강대국들이 막대한 규모의 자본을 앞세워 아세안에 접근하는 방식과 차별화된 우리의 대 아세안 협력전략이 될 것이다.
본 책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아세안 소지역은 대륙부 5개국(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이 포함된 메콩경제권(GMS)과 해양부 4개국(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으로 구성된 동아세안성장지대(BIMPꠓEAGA)이다. 이들 두 소지역은 아세안 내에서도 저개발 지역이며, 아세안과 회원국 정부에서도 국제 협력을 통한 개발사업에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지리적으로 GMS는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One Belt and One Road) 계획의 출발지점에 위치하며, BIMP-EAGA는 미국이 추진하는 인도-퍼시픽(Free and Open Indo-Pacific) 전략의 중간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들 소지역과의 밀접한 협력관계는 최근 미·중 간 전략경쟁의 심화로 인해 급변하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에서 우리의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고 입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이 책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는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일부로 지난 3년간의 연구 결과물을 종합하여 제작되었으며, 아세안 소지역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이해를 제공한다. 『아세안 소지역 연계성의 전환과 도전』이란 제목 하에 3부로 구성된 이 책은 아세안 지역의 동향과 도전, 특히 아세안 소지역 간의 연계성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시각에서 아세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정부의 새로운 對 아세안 접근법을 제시한다. 특히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아세안 소지역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통찰력을 제공하며, 아세안과 한국 간의 상생 번영을 위한 새로운 추진전략을 제공한다. 이 책이 독자 여러분의 아세안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대 아세안 관계 증진과 협력 강화를 위한 실천적 지식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목차

차 례
머리말 4

| 제1부 | 아세안 소지역 연계 체계
1. 미·중 전략경쟁 하에서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방안ㆍ김동엽 12
I. 머리말 12
II. 아세안중심성과 소다자주의 19
III. 아세안 소다자주의 협력 현황과 아세안중심성 25
Ⅳ. 한국의 대 아세안 소다자주의 협력과 아세안중심성 36
Ⅴ. 맺음말 43
참고문헌 45

2. 아세안의 해양안보 협력과 한국의 아세안 정책ㆍ이재현 49
I. 아세안 협력에서 해양 협력의 의미 49
Ⅱ. 해양안보와 아세안 협력 53
Ⅲ. 아세안 해양안보협력의 구조와 제도 58
Ⅳ. 아세안 플러스 해양안보협력 65
Ⅴ. 아세안 해양안보협력의 한계 69
Ⅵ. 아세안 해양안보협력과 한국에 대한 정책적 함의 74
Ⅶ. 진일보한 아세안 협력을 위한 해양 협력 84

3. 한국과 동남아시아 국가의 과학기술·ICT 국제개발협력 사례ㆍ류법모 86
Ⅰ. 과학기술·ICT 국제개발협력 필요성 86
Ⅱ. 우리나라의 과학기술·ICT 국제개발협력 89
Ⅲ. 동남아시아 국가의 ICT 역량 93
Ⅳ. 한-베과학기술연구원(VKIST) 협력 사업 102
Ⅴ. 교류협력국 대상 교육정보화 지원사업(KLIC) 111
Ⅵ. 과학기술·ICT 국제개발협력 개선 방안 122
참고문헌 123

| 제2부 | GMS 소지역 연계 이슈
1. 동남아 GMS 국가와 고등교육 및 문화 교류에 관한 제언ㆍ배양수 126
I. 고등교육 분야의 교류 현황 126
II. 베트남과의 문화교류에 관한 제언 138
III. 고등교육 분야의 교류를 위한 제언 146
참고문헌 148

2. 메콩강위원회(MRC) 수자원 외교의 역할과 과제ㆍ이요한 150
Ⅰ. 메콩 수자원의 중요성 150
Ⅱ. 메콩강과 수자원 외교 153
Ⅲ. MRC의 수자원 외교(water diplomacy) 158
Ⅳ. MRC 수자원 외교의 과제 170
Ⅴ. MRC의 역할과 전망 176
참고문헌 178

| 제3부 | BIMP-EAGA 소지역 연계 이슈
1. BIMP-EAGA의 인적자원개발 현황과 전망ㆍ구보경 184
Ⅰ. 아세안 소지역에 대하여 184
Ⅱ. 아세안 소지역과 인적자원개발 189
Ⅲ. BIMP-EAGA의 인적자원개발 현황 199
Ⅳ. BIMP-EAGA의 과제 210
Ⅴ. BIMP-EAGA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218
참고문헌 220

2. 아세안 소지역협력의 제도화 과정과 함의: BIMP-EAGA를 중심으로ㆍ구보경 223
Ⅰ. 아세안의 소지역 223
Ⅱ. 아세안의 소지역협력체 227
Ⅲ. BIMP-EAGA 개발과 협력 245
Ⅳ. BIMP-EAGA의 과제 257
Ⅴ. 아세안 소지역협력의 함의 262
참고문헌 265

3. 중국과 BIMP-EAGA 협력: 성과와 과제ㆍMuhammad Zulfikar Rakhmat 270
Ⅰ. 소개 270
Ⅱ. BIMP-EAGA에 대한 중국의 이해관계 274
Ⅲ. 성장과 장애물 281
Ⅳ. 결론 292
참고문헌 29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