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도입에서는 각 단원의 주제에 맞는 사진을 제시하여 학습을 돕도록 하고, 흥미 유발을 위해 주제 관련 질문을 하며, 학습 목표를 표로 간략히 제시하였다.
ㆍ어휘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핵심 어휘를 제시하되, 사진이나 삽화를 이용하여 초급 학습자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휘를 학습한 후에는 배운 어휘로 유의미적 말하기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ㆍ문법에서는 각 단원마다 두 개의 문법을 배우도록 하였다. 예문을 통하여 목표 문법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이고, 대화를 통해 담화 안에서 문법을 익히도록 하였다. 좀 더 상세한 문법 설명이 필요한 학습자를 위하여 부록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문법 해설을 덧붙였으며, 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쪽수를 표기하여 놓았다.
ㆍ대화에서는 주제와 기능에 맞는 기본 대화를 통해 실제적인 담화를 익히고, 기본 대화를 응용하여 대화를 만들어 봄으로써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말하기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ㆍ말하기에서는 주제와 기능에 관련된 과제를 제시하여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앞에서 학습한 어휘와 문법을 활용하여 정확성과 유창성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ㆍ심화 학습-듣기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듣기 담화를 듣도록 하여 구어의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구어 사용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ㆍ심화 학습-읽고 쓰기에서는 단원의 주제와 기능이 포함된 산문을 제시하여 문어 이해 능력과 쓰기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읽기는 전 단계, 본 단계, 후 단계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읽기 후 단계에서는 읽기 텍스트를 응용한 통제된 쓰기를 유도하여 읽기와 쓰기의 통합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ㆍ문화 맛보기에서는 한국인의 여가 활동, 여행 명소와 먹거리 정보, 한국의 교통과 여행 정보 등을 소개하여 한국 문화를 맛보도록 하였다.
ㆍ부록에서는 ‘듣기 지문’, ‘듣기·읽기 정답’, ‘대화문 번역’, ‘문법 해설’, ‘어휘 목록’, ‘어휘 색인’을 두어 교사와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 책은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에 목표를 두고, 한국어를 단기간에 빨리 배울 수 있도록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대중문화도 함께 배울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아무쪼록 이 책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국내외의 많은 사람들에게 두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