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 공부」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인 ‘소개, 교실, 고향, 음식, 식당, 쇼핑, 휴일, 교통’을 중심으로 단원을 구성하였다. 각 단원은 〈도입〉, 〈어휘〉, 〈문법〉, 〈대화〉, 〈말하기〉, 〈심화 학습-듣기〉, 〈심화 학습-읽고 쓰기〉로 구성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ㆍ도입에서는 단원의 주제와 관련된 사진을 제시하여 단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단원에서 배울 의사소통 기능, 문법, 어휘를 학습 목표로 제시하였다.
ㆍ어휘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단어를 의미장으로 묶어 제시하였으며, 사진이나 삽화를 이용하여 초급 학습자들이 쉽고 빠르게 단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ㆍ문법에서는 단원의 주제 및 의사소통 기능과 관련된 두 개의 문법을 배우도록 하였다. 예문을 통하여 목표 문법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이고, 형태 정보를 함께 제시하였다. 문법 연습에서는 대화를 통해 담화 안에서 문법을 익히도록 하였는데, 형태 연습에만 그치지 않도록 유의미한 연습을 포함하였다. 좀 더 상세한 문법 설명이 필요한 학습자를 위하여 〈부록〉에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문법 해설을 제시하고, 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페이지를 표기해 놓았다.
ㆍ대화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전형적인 담화를 제시하여 실용적인 표현을 충분히 익히게 하고,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대화를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새로 등장한 단어와 표현 및 발음 정보를 제시하는 한편 대화 상황과 관련된 한국 문화 영상 자료나 텍스트 자료를 QR코드에 담아 제시하였다.
ㆍ말하기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의사소통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단원에서 목표로 하는 의사소통 기능을 익히도록 하였다. 또한 앞에서 학습한 어휘와 문법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단계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ㆍ심화 학습-듣기와 심화 학습-읽고 쓰기는 자가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 교실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ㆍ심화 학습-듣기는 앞에서 배운 어휘와 문법으로 구성된 듣기 지문과 내용 관련 문제를 제시하여 구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특히 듣기 지문은 구어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자연스러운 구어 담화를 경험해 볼 수 있게 구성하였다.
ㆍ심화 학습-읽고 쓰기는 먼저 단원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의 읽기 텍스트를 제시하여 문어 이해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고, 읽기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에 답하면서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어서 작문 활동을 제시하여 쓰기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는데, 읽기 텍스트를 응용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도록 유도 질문을 함께 포함하였다.
ㆍ부록으로는 〈듣기 지문〉, 〈듣기 정답〉, 〈문법 해설〉, 〈대화 번역〉, 〈읽고 쓰기 번역〉, 〈읽고 쓰기 정답〉, 〈어휘 색인〉, 〈단어장〉을 두어 교수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특히 〈대화 번역〉과 〈읽고 쓰기 번역〉은 입문 수준의 학습자를 고려한 구성 요소로 학습자가 ‘대화문’과 ‘읽기 텍스트’의 의미를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부담을 완화하면서 학습 초기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자 하였다. 또 〈심화 학습-듣기〉와 〈심화 학습-읽고 쓰기〉 문제의 정답을 〈듣기 정답〉과 〈읽고 쓰기 정답〉에서 제시하여 학습자가 스스로의 성취 수준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읽고 쓰기 정답〉에는 내용 관련 질문의 정답뿐만 아니라 작문 활동의 모범 답안도 넣었다. 〈단어장〉은 단원별로 주요 어휘들을 번역과 함께 제시하여 학습자의 자가 학습을 지원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