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다니던 청년이 스마트팜을 시작하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취업이 아닌 대학원을 택하듯 저자 또한 치열한 준비 끝에 서울대 대학원을 나와 국내 굴지 기업에 들어갔다. 입사 후에도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았지만 수동적인 삶에 적응하며 일에 진정성을 잃어가는 도중 문득 생각했다. 끌려가는 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닌, 내가 이끄는 방향대로 결정되는 삶을 살며 새롭게 개척하고 도전하는 인생을 지향하고 싶다고 말이다. 그렇게 저자는 대기업이라는 안정된 삶을 그만두고 청년농업인이라는 새로운 인생 제2막을 시작했다. 본 도서는 영농창업을 결심한 한 청년이 창업 콘셉트를 정하고, 관련 교육을 받으면서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을 받기 위해 노력하며 영농창업을 준비했던 과정을 자세히 담고 있다.
PART 1. 농사를 창업으로 접근하자
농산업 분야의 미래 전망 가능성과 농업의 영향력과 범위, 기능이 확대되고 산업 규모가 극대화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농사를 단순 귀농이 아닌 창업으로 접근하는 시각을 가져야 함을 이야기한다.
PART 2. 영농창업을 위한 본격 준비 과정
자신만의 창업 콘셉트를 정하고, 정부지원사업을 이용해 농지를 매입하고 스마트팜 시설을 시공하기까지의 자세한 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소개한다.
PART 3. 영농창업 안정적 정착을 위한 노하우
영농창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의 정보를 찾아 분석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원 제도를 활용하고,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노하우를 알려 준다.
PART 4. 스마트팜의 현실과 문제점
농업과 기술의 접목으로서 스마트팜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지만, 정작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데 있어 맞닥뜨리게 되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전한다.
개정판에서는, 농지매입과 스마트팜 시공 정보를 추가하였으며 스마트팜을 통한 부가 가치 창출 사례를 보다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보완하였다. 아울러 2024년 트렌드에 맞는 농장 마케팅 방법을 추가 설명하고 각종 농업인 지원사업을 비롯한 영농창업 추천 정보를 현행 기준으로 업데이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