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숲의인문학

숲의인문학

  • 김담
  • |
  • 글항아리
  • |
  • 2013-03-18 출간
  • |
  • 440페이지
  • |
  • ISBN 978896735043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7,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가을 꽃잎 말리는 시간
몹시 놀라 넋을 잃다

봄 봄꽃들
노루귀 꽃밭에서 노루 울음소리를 듣다
뱀을 만나는 사이 나무는 베이고
봄빛에 물들다
감자난초
열쭝이는 어디로 갔을까
‘목우산방’ 나들이

여름 줄풀
중복물 지다
봉숭아물을 들이다

가을 싸리버섯
능이버섯 사이로 노인 모습이 어른거리고
머루는 어디에도 없고
초롱단은 용담
송이전골 냄비를 가운데 두고

겨울 항아리를 얻다
패름이 돌듯
설해목
생활 속 속도

봄 직박구리 떼 날다
물장구치는 수달
멧돼지
산불
찔레꽃머리

여름 쌍무지개
벌과 곤충이 사라진다면
멧돼지 새끼를 사로잡다
복달임
꾀꼬리 한 쌍
아무렇지 않게 전해진 부음

가을 고기를 먹는다는 것
벌에 쏘이다
저녁산책
대포알이 날아가도
가을가뭄
만산홍엽
‘추곡수매’하던 날
어이딸

겨울 콩 두 말로 메주를 쑤다
프랑켄 푸드(유전자 조작 작물)
화진포호수 한 바퀴

봄 건봉사 가는 길에
생강나무 꽃
진달래꽃
아무도 찾지 않는 나물들
솔 싹
간장을 달이고 된장을 담그다

여름 넘어진 김에 쉬어간다고

가을 단호박 두 통에 얹힌 인정

겨울 겨울 입새
죽임을 당하는 짐승들
말똥가리 날다
어정섣달
가든한 삶
그때 그 동무들은 다 어디로 떠났는지

봄 봄이다
어린 나무를 심다
산개구리들
공사 중
꽃샘잎샘
제비 돌아오다
꽃 무덤
귀룽나무는 구름나무
삼지구엽초
학생學生 하나에 유인孺人이 둘
비안개
조화 붙은 날씨
꽃배암들
참나물
천마

여름 장마 예보
구름타래
고양이는 나비를 쫓고 나비는 꽃을 탐하는 사이

가을 더넘바람
한가위 보름달
죽은 복작노루
오후 두 시
새품, 갈품
착살스럽다
신생이 탄생하는 순간
김장김치 260포기

겨울 선물 받은 도루묵

봄 불알고비
노란 고양이, 검은 고양이
송홧가루 날리고

여름 산작약 흰 꽃을 그리워하다
뽕나무 심다
개똥장마
잘고 어린 꽃들에게도 눈길을
까막까치
언젠가는 그리워질 한여름

가을 구름버섯(운지버섯)
죽은 이들은 어디로 가는지
기이한 하수오

도서소개

숲과 함께 거닐며 길어 올린, 살아있는 인문학! 『숲의 인문학』은 2007년 가을부터 2012년 가을까지 강원도 고성 인근의 숲의 이야기를 소설가 김담의 시선으로 담아 올린 기록이다. 집과 숲을 오가는 산책에서 만난 생명들에 대하여 사색한 내용이 깃들여 있다. 작은 풀꽃들을 크게 끌어당겨 관찰하고, 두세 뿌리와 대여섯 뿌리 사이를 방황하는 약초꾼의 욕심과 풀꽃엄마의 마음이 교차하며, 산골짜기 배추농사에서 약을 두 번이나 치고 콩나물국에 미원을 풀어 넣는 기솔 어른들의 변화된 삶에 대한 허탈감이 담겨져 있다. 에세이면서 일기체로 쓰여진 이 책은 사투리를 사용하는 듯하지만, 보다 내밀하게는 인간이 숲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온 의성어, 의태어들이 날것으로 살아 움직인다. ‘작벼리에 짐승이 매닥질 친 흔적’ ‘나뭇가지와 줄기들이 에넘느레하게 흩어져 있었다’ 등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는 몰라도 눈을 감고 그려보면 모두 이해되는 방언들로 가득차 있다. 숲에서 펼쳐지는 저자의 삶은 ‘과정으로서의 인문학’의 본질을 일깨우며, 우리에게 인문학하기의 가치를 되새기도록 안내한다.
20년째 숲에서 산 한 사람의 이야기……
앓음알이로 얻은 것들이 단아한 숲으로 태어나다

좀 엉뚱하지만 제목에 대한 변명 먼저
인문학이란 무엇일까? 소설가 김담의 세 번째 책에 ‘숲의 인문학’이란 제목을 붙이면서 든 생각이다. 요즘 반짝하는 ‘인문학’ 트렌드에 편승한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요즘은 꼭 인문학이 전가의 보도처럼 쓰이니 말이다. 하지만 ‘숲의 인문학’이라는 짝만큼 잘 어울리는 제목을 끝내 생각해내지 못했다. 그러다가 우연히 청대 김난생金蘭生이 편찬한 『격언연벽格言聯璧』에 나온 구절을 만나게 되었다.

“성현의 도로 다른 사람을 가르치기는 쉽지만, 성현의 도로 자신을 다스리기는 어렵다. 성현의 도를 입에서 꺼내기는 쉽지만 성현의 도를 몸소 실천하기는 어렵다. 성현의 도로 분발하여 시작하기는 쉽지만, 성현의 도를 끝까지 유지하기는 어렵다.以聖賢之道敎人易, 以聖賢之道治己難. 以聖賢之道出口易, 以聖賢之道躬行難. 以聖賢之道奮始易, 以聖賢之道克終難.”(번역 김영문)

격언의 도道를 일종의 인문정신으로 보자면 요구하는 인문학은 쉽지만 요청받는 인문학은 어렵다. 입으로 말하기는 쉽지만 몸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몸으로 익히는 것도 분발하여 시작하기는 쉽지만 끝까지 유지하기는 어렵다. 공부가 삶이 되지 않으면 도에 이르기는 애초에 글렀다. 그러면 평생 그림의 떡처럼 도를 걸어놓고 구경만 할 것인가. 이쯤 되자 도시에 살다가 젊은 날 훌쩍 귀향해 20년간 도시를 멀리 숲을 가까이 두고 생활한 한 사람의 생애야말로 어딘가 저 말과 어울렸다. 그 기간 얼마나 운기조식하며 다스려야 했을까. 매일 숲을 오가며 노루, 배암, 멧돼지와 마주치기도 하고, 땅에 포복해 풀꽃들을 만날 때 그의 머릿속을 반짝이며 채운 것은 무엇일까. 인간으로서 불가피하게 마주하게 되는 추위와 고독, 총천연색 삶과 죽음 등 자연이 주는 거대한 압박을 그냥저냥 받아내기까지의 시간은 스쳐지나가는 게 아니라 낙엽처럼 한 해 두 해 쌓였던 것이리라.

고요함 속에 천변만화하는 글의 표정
『숲의 인문학』은 2007년 가을부터 2012년 가을까지 강원도 고성 인근의 숲이 한 사람의 내면에 쌓인 기록이다. 집과 숲을 오가는 산책에서 만난 생명들에 대한 사색이다. 손톱 위의 반달보다도 작은 풀꽃들을 정월 보름달보다 더 크게 끌어당긴 미시적 관찰이다. 두세 뿌리와 대여섯 뿌리 사이를 방황하는 약초꾼의 욕심과 풀꽃엄마의 마음이 교차하는 연속이다. 산골짜기 배추농사에서 약을 두 번이나 치고 콩나물국에 미원을 풀어 넣는 시골 어른들의 변화된 삶에 대한 허탈감이다. 고욤나무를 기어 올라가고 성동격서 식으로 살모사를 따돌리는 타잔의 모험이다.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나무를 그린 풍경화이면서 느닷없는 낭떠러지에 간 떨어지고 늘 새로운 길을 스스로 개척하는 숲의 마술과 진화에 대한 놀라움이다.

『숲의 인문학』은 에세이면서 일기체다. 강원도 사투리겠지만, 보다 내밀하게는 인간이 숲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온 의성어, 의태어들이 날것으로 살아 움직인다. “작벼리에 짐승이 매닥질 친 흔적” “나뭇가지와 줄기들이 에넘느레하게 흩어져 있었다” “무두룩무두룩 한 바퀴를 돌아도”와 같은 구절에서는 가만히 눈을 감게 된다.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몰라도 눈을 감고 그려보면 모두 이해되는 게 이 책의 방언이다. 인간의 몸에 내재된 숲의 유전자가 이 책을 읽기 위한 사전인 셈이다. 그리고 저자의 산문이 보여주는 감칠맛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일종의 불규칙성의 규칙에서 오는 쾌감이다.

“눈길 위에는 왜뚤비뚤 술 취한 걸음걸이 같은 내가 지나간 발자국이 얼어붙고 들뜬 채 고스란했다. 내 지나간 자리가 저렇구나, 한참을 망연히 바라다봤다. (…) 눈길 위를 걸어온 신발 바닥은 눈과 같이 희었다.”(113~114쪽)

인용한 대목은 이 책의 산문미학의 일단을 드러낸다. 잘 다듬어진 단아한 산문이기보다는 어딘지 글이 “왜뚤비뚤”하다. 물 흐르듯 잘 나가다가 갑자기 나타나 새초롬하게 뚝 끊어버리는 단문 때문에 마치 산길을 오르는 것처럼 호흡 조절을 해가며 읽어야 한다. 이것은 저자가 머릿속에 염두에 둔 풀이나 나무를 찾아가는 여정과 글이 닮아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도라지든 청미래덩굴이든 보이면 발이 멈추며 글도 멈춰 그때는 글에 배어든 사념의 농도가 줄어들며 묘사에 집중한다. 그런데 갑작스러운 사태, 예를 들어 “베어 넘어진 엄나무 줄기가 발치에 놓여 있었다. 나무 둘레가 두 뼘 남짓 되었으며 무슨 일인지 껍질을 홀라당 벗겨냈다. 무릎 높이에서 톱도 아닌 낫으로 수십 번 찍어 줄기를 넘어뜨렸다. 왜 그랬을까”와 같은 문장에서는 사념이 짙어진다. 학살자가 남긴 흔적을 갈무리하는 문체에서 잘 감춘 증오가 묻어나온다.

숲길 끝에는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