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지 못하는 식량 이야기를 흥미롭게!
24절기,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같은 곡식 속담, ‘자식도 농사와 같다’처럼 농사 관련 속담들을 통해 전통 농사문화를 초등 3~4학년 눈높이에 맞춰 흥미진진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잔칫날 왜 국수를 먹을까? 전통문화 음식에 대한 유래도 알 수 있습니다.
도표, 그래프, 통계 자료를 통해서 한눈에 보여준다
조선시대 밥그릇 크기 사진, 연대별 밥그릇 크기 비교 그림을 통해서 우리나라 식습관이 서양화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세계 밀 생산 순위 막대그래프, 세계와 국내 종자 시장 규모 변화 도표 등을 적재적소에 사용해서 텍스트를 자세히 읽지 않아도 한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장 담그기(메주 만들기 ->간장 담그기 ->된장 만들기 -> 고추장 만들기), 농사짓는 순서, 퇴비 만들기, 쌀국수, 칼국수 만드는 방법들도 그림으로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불편한 진실들을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쉽게!
유전자 변형 식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나 부작용 문제들, 해마다 늘어나는 종자 수입량, 다가오는 식량 위기 같은 심각한 이슈들을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춰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식량문제는 왜 발생할까? 식량문제와 환경의 연관성, 어린이들이 실천할 수 있는 행동도 알려줍니다.
■ 구성
(1) 생존을 위해 필요한 먹거리, 식량
사람들은 대부분 아침, 점심, 저녁, 삼시세끼를 먹습니다. 사람에 따라서 하루에 두 끼를 먹기도 하고, 한 끼만 먹기도 하며, 식량이 없어서 굶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2) 5대 곡식들은 모두 모여
세계 5대 곡식 쌀, 밀, 옥수수, 보리, 콩입니다. 세계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3대 곡식은 쌀, 밀, 옥수수입니다. 그중에서 쌀은 전 세계 인구의 1/3이 주식으로 삼는 곡식으로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곡식 가운데 가장 중요한 곡식입니다. 밀은 껍질째 먹기 힘들어서 빻아 만든 밀가루로 빵, 과자, 국수를 만들어 먹습니다. 옥수수는 재배하기가 쉬워 곡식 가운데 최고의 생산량을 자랑합니다. 보리는 주요 곡식도 되지만 맥주를 만드는 데도 사용합니다.
콩은 단백질을 비롯해 다른 영양소들도 풍부해서 밭에서 나는 소고기로 불립니다.
(3) 식량 생산방법의 변화
땅에 씨앗을 뿌리고 기다린다고 식량이 생산되는 건 아니고, 땅을 갈고, 씨앗을 뿌리고, 김매고 수확까지, 농부들은 허리를 펼 새도 없이 일을 해야 했지만 농사짓는 도구는 해를 거듭할수록 발전해서 이젠 커다란 트랙터가 농지를 다니며 땅을 갈고 드론을 통해 농약을 뿌립니다.
(4) 식량 위기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식량이 100이라고 하면 40~50은 가축 사료로 쓰고. 또 자동차 연료로도 사용합니다. 육식 문화가 증가하면서 가축용 사료가 많이 필요해졌기 때문입니다.
식량이 부족해서 매일 25,000명의 사람이 굶어서 죽습니다.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은 얼마나 될까? 쌀을 제외한 곡식의 자급률은 3.4%밖에 안 되기 때문에 식량 안보가 위태롭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로 농작물의 생산량이 줄어들고, 농촌에서 곡식을 생산하던 농지가 다른 용도로 바뀌고 있어서 식량 위기가 심각해집니다. 우리가 먹는 먹을거리의 재료는 대부분이 땅에서 납니다. 미래의 우리 후손들에게 좋은 먹거리를 물려주기 위해서는 지구의 환경을 잘 보호하고 지켜나가야 합니다.
(5) 미래 식량
미래 식량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건 식용 곤충이며, 인공 고기에는 식물 성분을 사용한 고기와 동물 세포를 배양한 고기가 있어요. 육류는 가축을 키울 때 곡식도 많이 소비되고 환경오염도 일으키는 데 곤충은 환경오염도 전혀 없습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연구진이 고기쌀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