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기후테크 5대(클린/카본/에코/푸드/지오) 분야별 비즈니스 전략 모색을 위한 종합 분석

기후테크 5대(클린/카본/에코/푸드/지오) 분야별 비즈니스 전략 모색을 위한 종합 분석

  • IRS Global 편집부
  • |
  • IRS Global
  • |
  • 2024-03-04 출간
  • |
  • 512페이지
  • |
  • 준비중
  • |
  • ISBN 9791190870788
판매가

480,000원

즉시할인가

43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탄소중립 시대의 기후테크

1. 국내외 기후변화, 온실가스 현황
1-1. 글로벌 기후변화와 향후 전망
1) 주요 현황
(1) 지속적인 평균기온 상승
(2) 북극 해빙면적 감소
(3) 극심한 이상기후 현상 발생
(4) 경제적 피해 발생 지속
2) 분야별 전망
(1) 기온
(2) 해수면
(3) 강수량
1-2. 국내 기후변화와 향후 전망
1) 주요 현황
(1) 지구 평균 대비 더 빠른 온난화 속도
(2) 기록적인 폭우, 폭염, 겨울철 이상 고온 및 강한 한파 빈도 증가
(3)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발생
2) 분야별 전망
(1) 기온
(2) 강수량
(3) 극한 기후
1-3. 세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연도별 배출 현황
2) 지역별 배출 현황
3) 분야별 배출 현황
4) 요인별 배출 현황
5) 연료별 배출 현황
1-4. 국내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최근 온실가스 총배출량 현황
2) 부문별 배출량 현황

2. 탄소중립 목표와 대응 전략
2-1. 탄소중립 개요
1) 탄소중립, 기후중립, 넷제로(Net-Zero), RE100, CF100 개념
(1) 탄소중립, 기후중립, 넷제로(Net-Zero) 정의
(2) RE100, CF100 정의
2) 탄소중립 배경
3)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믹스(MIX)
2-2. 주요국 탄소중립 목표 및 주요 전략
1) EU
(1) 탄소중립 목표
(2) 탄소중립 주요 전략
2) 미국
(1) 탄소중립 목표
(2) 탄소중립 주요 전략
3) 중국
(1) 탄소중립 목표
(2) 탄소중립 주요 전략
4) 일본
(1) 탄소중립 목표
(2) 탄소중립 주요 전략

3. 기후테크 시장 동향과 대응 전략
3-1. 기후테크 개요
1) 개념
2) 중요성
3-2. 기후테크 시장 동향과 전망
1) 기후테크 투자 규모 및 건수
2) 기후테크 분야별 투자
3) 주요국별 기술 수준과 경쟁 동향
3-3. 기후테크 유망 분야
1) 운송·모빌리티 분야
2) 에너지 분야
3) 식품ㆍ농업ㆍ토지이용 분야
4) 탄소 분야
3-4. 기후테크 산업 육성전략
1) 기후테크 산업 육성전략
(1) 추진 배경
(2) 주요내용
2)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
(1) 추진 배경
(2) 주요내용

Ⅱ. 카본 기술(Carbon Tech, CCUS)

1. 국내외 CCUS 관련 정책 추진 동향과 시장 전망
1-1. 국내외 CCUS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분야별 시장 전망
(3) 지역별 시장 전망
(4) 최종 사용자 산업별 시장 전망
(5) CCS 프로젝트 동향
(6) CCS 포집 비용 동향
(7) CCS 프로젝트 투자 동향
(8) 세계 탄소배출권 거래 현황
2)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 전망
(2) 탄소배출권 시장
(3) 국내 산업계별 대응 동향
3) 기술 수준 평가
(1) 국가별
(2) 제품군별
1-2. 주요국별 CCUS 관련 정책 추진 동향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일본
5) 동남아시아
6) 한국
(1) 정책 추진 동향
(2) K-CCUS 추진단
(3) CCUS 기술 관련 지원 및 정책
(4) CCS 유망 저장소 발표
(5) CCUS 관련 법률안 국회 통과

2. CCUS 세부 분야별 연구개발 동향과 향후 과제
2-1. CO2 포집ㆍ저장(CCS)
1) 개요
2) 세부 분야별 주요 개발 동향
(1) CO2 분리 포집 기술
(2) CO2 저장 기술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CO2 분리 포집 기술
(2) CO2 저장 기술
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1) CO2 분리 포집 기술
(2) CO2 저장 기술
5) 핵심 과학기술 과제
(1) CO2 분리 포집 기술
(2) CO2 저장 기술
6) 기타 과제
(1) CO2 분리 포집 기술
(2) CO2 저장 기술
7)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CO2 분리 포집 기술
(2) CO2 저장 기술
1-2. CO2 활용
1) 개요
2) 세부 분야별 주요 개발 동향
(1) CO2 포집 기술
(2) 고체 촉매에 의한 CO2 전환 기술
(3) CO2RR
(4) 인공 광합성(광촉매)
(5) 생체 촉매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고체 촉매
(2) 전기화학 반응
(3) 인공 광합성
(4) 생체 촉매
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5) 핵심 과학기술 과제
6) 기타 과제
7)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일본
(2) 미국
(3) 유럽
(4) 중국
(5) 한국

Ⅲ. 에코 테크(Eco Tech, 자원 순환/재활용)

1.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1-1. 개요
1-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1-3. 주요 기술개발 이슈
1) 청정생산 기술 개발
2) 전기차 산업의 新비즈니스 모델 창출
3) 실행 방안 구축
1-4. 주요업체별 기술 동향
1) 해외
2) 국내

2. 희소금속 회수 시스템
2-1. 개요
2-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2-3. 주요 기술개발 이슈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한국
2-4. 주요업체별 기술 동향
1) 해외
2) 국내

3. 자동차 및 산업기계 재제조 부품
3-1. 개요
3-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3-3. 주요 기술개발 이슈
1) 재제조 부품 평가기술
2) 성능 복원을 위한 기술개발
3)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상생
3-4. 주요업체별 기술 동향
1) 해외
2) 국내

4. 화학제품 재활용 공정 및 제품
4-1. 개요
4-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4-3. 주요 기술개발 이슈
1) 물질 재활용 기술
2) 물질 재활용 공정 기술
3) 폐플라스틱 유화 기술
4) 재활용 화학제품 활용 기술
4-4. 주요업체별 기술 동향
1) 해외
2) 국내

5. 공장 폐열회수 및 재활용 시스템
5-1. 개요
5-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5-3. 주요 기술개발 이슈
1) 일반적인 폐열회수 시스템의 특징
2) 폐열을 활용할 수 있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시스템
3) 유기 랭킨 사이클(Organic Rankine Cycle) 발전 기술
4) 열전발전 기술을 활용한 폐열 재활용
5-4. 주요업체별 기술 동향
1) 해외
2) 국내

Ⅳ. 푸드 테크(Food Tech, 대체농업 / 대체육)

1. 대체농업(스마트팜, 식물공장)
1-1. 첨단 융복합 농업의 환경변화와 대응 동향
1) 변화하는 농업ㆍ농촌 환경변화
(1) 사회 환경의 변화
(2) 기술 환경의 변화
(3) 기후·환경의 변화
(4) 경제 환경의 변화
(5) 정책 환경의 변화
2) 국내외 농업 관련 정책 동향
(1) 국내 농업정책 동향
(2) 해외 주요국 농업정책 동향
1-2. 국내외 스마트팜 개발 동향과 전망
1) 스마트팜 정의 및 특징
(1) 스마트팜 정의
(2) 스마트팜 산업의 특징 및 구조
2) 스마트팜 기술 개발 동향과 전망
(1) 스마트팜 주요 기술
(2) 스마트팜 기술 개발 전망
3) 국내외 스마트팜 기술개발 동향
(1) 미국 동향
(2) 유럽 동향
(3) 일본 동향
4) 국내 동향
1-3. 국내외 스마트팜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스마트팜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1) 시설원예
(2) 노지과수
(3) 축산
(4) 수산양식
(5) 농축수산 유통물류
2) 국내 스마트팜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1) 시설원예
(2) 노지과수
(3) 축산
(4) 수산양식
(5) 농축수산 유통물류
1-4. 국내외 스마트팜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주요국별 스마트팜 시장 동향
(2)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규모 및 전망
2) 국내 스마트팜 시장 동향과 전망
(1) 국내 스마트팜 산업 동향
(2) 국내 스마트팜 전체 시장 규모
(3) 국내 스마트팜 적용분야별 보급 현황
(4) 국내 스마트팜 기술분야별 시장 규모
3) 국내 스마트팜 보급사업 현황
(1) ICT 융복합 확산-스마트팜 시설 보급사업
(2) 과수분야 스마트팜 확산사업
3)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

2. 대체육
2-1. 대체식품의 개요
1) 개념
2) 목적 및 분류
(1) 원 식재료의 입수가 곤란할 경우
(2) 음식제한자들을 위한 대체재
(3) 의외성을 목적으로 한 경우
3) 미래식품의 특징
(1) 기능성
(2) 생산성
(3) 지속가능성
(4) 편의성
4) 대체육
(1) 육류 소비 현황
(2) 대체육 개념
(2) 대체육 종류
5) 대체육 제조 과정
(1) 식물성 대체육
(2) 배양육
2-2. 국내외 대체육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2) 주요국별 시장 및 개발 동향
(1) 미국
(2) 싱가포르
(3) 이탈리아
3)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1) 시장 전망과 향후 과제
(2) 주요 기업별 개발 동향
4) 시장 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
(1) 지원과 규제
(2) 무혈청 배양액 개발
(3) 바이오리액터 효율화
(4) 가격
2-3. 주요국별 대체육 소비 동향
1) 조사 개요
2) 응답자의 속성
3) 식육의 소비 상황
4) 식육 대체식품의 소비 상황
5) 향후 식육 대체식품의 소비
6) 정리
2-4. 주요국별 대체육 관련 규제
1) 식품 안전의 논점
(1) 미국
(2) 유럽(EU)
(3) 싱가포르
2) 표시 규제의 논점
(1) 미국
(2) 유럽(EU)
(3) 싱가포르

Ⅴ. 지오 테크(Geo Tech, 기후변화 관측/예측)

1. 기후변화 관측 기술
1-1. 개요
1) 대기ㆍ육역 관측
2) 해양 관측
1-2. 세부 분야별 주요 개발 동향
1) 대기ㆍ육역 관측
(1) 온실가스의 지상, 항공기 관측 등
(2) 육역 생태계 데이터 등
(3) 에어로졸ㆍ구름
(4) SLCFs의 위성 관측
(5) 데이터 기반ㆍ정보 제공 시스템
2) 해양 관측
1-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대기ㆍ육역의 관측
(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만연 방지ㆍ록다운에 의한 배출량ㆍ대기 조성 변화의 정량화
(2) 극단적인 기후 현상과 대기-지표면 환경에 대한 영향 평가
2) 해양 관측
(1) 국제연합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연합 해양 과학의 10년
(2) G7 기후ㆍ에너지ㆍ환경 장관 회의
(3) Argo 프로그램이 IEEE Corporate Innovation Award를 수상
(4) 세계기상기구(WMO)가 새로운 데이터 방침 채택
(5)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 보고회 공표
1-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1) 대기ㆍ육역 관측
(1) 온실가스와 단수명 성분 분석ㆍ동시 제어(GHG/AQ 통합 분석)
(2) 대기오염ㆍ온실가스의 정지 위성 관측 움직임
(3) 북극 관측 연구의 중점화와 선박 관측
(4) 항공기 관측 관련
(5) 글로벌 카본 프로젝트(GCP : Global Carbon Project)
(6) Google Earth Engine 등의 오픈된 데이터 분석 플랫폼
(7) 대류권 오존 애세스먼트(Tropospheric Ozone Assessment Report : TOAR)
(8) 글로벌 메탄 플레지
(9) 에너지의 그린화로 인한 부차적 작용에 관한 평가
2) 해양 관측
(1) GO-BGC(Global Ocean Biogeochemistry Array(국제 해양생물지구화학 어레이)
(2) Observing Air-Sea Interactions Strategy(OASIS)
(3) Deep Ocean Observing Strategy(DOOS)
(4) Synergistic Observing Network for Ocean Prediction(SynObs)
1-5. 핵심 과학기술 과제
1) 대기ㆍ육역 관측
(1) 기후변화 관측에서의 소형 센서 및 드론, 분광 기술 이용
(2) 위성 라이더에 의한 에어로졸ㆍ온실가스 관측
(3) 빅데이터 대응
(4) 인위적 GHGs 배출량 추정 재검토
(5) 하천을 통한 유출 등 각 기본 과정 해명의 필요성
(6) 각종 데이터의 통합적 분석
(7) 최신 세대의 정지 기상 위성 관찰망을 이용하는 육역 모니터링
2) 해양 관측
(1) 프로파일링 플로트 기술 향상
(2 Argo 플로트에 탑재한 CTD 센서의 다중성ㆍ대체성 확보
(3) BGC Argo 플로트에 탑재하는 생물 지구화학 센서 기술 향상
(4) 데이터 제공ㆍ활용 기술 향상
1-6. 기타 과제
1) 대기ㆍ육역 관측
(1) 장기 관측 실시 체제
(2) 관측 전용 항공기
(3) 차세대 육성
2) 해양 관측
1-7.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대기ㆍ육역 관측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일본
(5) 한국
2) 해양 관측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일본
(5) 한국
(6) 기타 국가ㆍ지역

2. 기후변화 예측 기술
2-1. 개요
2-2. 세부 분야별 주요 개발 동향
2-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제1 작업부회) 공개
2) 초깃값 예측의 대규모 앙상블화
3) 실효적인 10년 규모 변화 예측과 요인 분석
4) 기동적 이벤트 애트리뷰션
5) 스토리 라인
6) 글로컬 분석과 선상 강수대(線狀降水帶)
7) 연안 해양 예측
8) 위성 관측과 모델링의 연계
9) 기계학습을 활용하는 모델의 고속화ㆍ고도화
2-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2-5. 핵심 과학기술 과제
1) 관측 정보를 활용하는 모델 평가 방법 확립
2) 저배출 시나리오 검토와 복합적인 지구 환경 문제
3) 연안 해양 예측의 스케일 갭
4) 빅데이터 조작
5) 프로그램 코드가 복잡해짐에 따른 유지 관리의 어려움, 계산기의 변화에 대한 대응
6) 모델 연구와 관측 연구의 상호작용
7) 오픈 데이터화에 대한 대응
8) 모델 튜닝, 기계학습과의 융합
2-6. 기타 과제
1) 모델링 업계의 인재 부족, 경력경로
2) 지속적인 기후변화 예측 체제 확립
3) 정부 기관간의 연계 체제 구축ㆍ강화
2-7.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일본
5) 한국

Ⅵ. 클린 테크(Clean Tech, 신재생에너지)

1. 신재생에너지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1-1. 세계 신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1) 신재생에너지 관련 글로벌 동향과 이슈
(1) 미국 :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2) EU :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3) EU : 에너지 위기 대응 ‘REPowerEU’ 계획
(4) EU : 미국 IRA 대응 녹색산업 보호ㆍ활성화 계획(안)
(5) 세계자원연구소(WRI) : 태양광 투자(2030년) 로드맵
2) 세계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과 전망
(2) 주요국별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3) 주요국별 신재생에너지 전망
3) 세계 신재생에너지 투자 동향
(1) IEA, 2030년까지 청정에너지 투자 2조 달러 이상 증가 전망
(2) 글로벌 인프라 펀드(칼라일, 맥쿼리) 재생에너지 사업 투자
(3) 중국, 글로벌 재생에너지부문 43% 투자
1-2.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실태와 정책동향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
(1) 총괄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종별 현황
2)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1)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설비용량
3) 에너지 환경 변화에 따른 재생에너지 정책 개선방안
(1) 재생에너지 정책 현황
(2) 재생에너지 정책 평가
(3)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
(4) 재생에너지 정책 과제
(5) 추진일정
4)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주요 내용
(1) 개요
(2) 기본 방향
(3) 전력수요 전망
(4) 발전설비 계획
(5) 발전원별 정책방향
(6)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구성
(7) 발전량 전망
(8) 온실가스 배출목표 달성방안
(9) 환경 개선효과
(10) 전력계통 확충
(11) 전력시장 개선(안)

2. 신재생에너지의 주요 분야별 연구개발 동향과 향후 과제
2-1. 태양광발전
1) 개요
2) 세부 분야별 주요 개발 동향
(1) 도입 상황
(2) 태양전지 모듈과 적용 용도
(3) 열화 메커니즘
(4) 신뢰성, 안전성
(5) 운용, 보수
(6) 전력 계통에 미치는 영향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PSC
(2) 탄뎀형 태양전지
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1) 미국
(2) 유럽
(3) 일본
5) 핵심 과학기술 과제
6) 기타 과제
7)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중국
(2) 미국
(3) 일본
(4) 유럽
(5) 한국
(6) 기타 국가ㆍ지역
2-2 풍력발전
1) 개요
2) 세부 분야별 주요 개발 동향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2) 경질 해저 지반에서의 대직경 모노파일 기초 적용
(3) 운전 보수(O&M)
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1)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
(2) 북해ㆍ발트해의 에너지섬 정비 계획(Energy Island Plan)
5) 핵심 과학기술 과제
(1) 공중 풍력발전(Airborne wind turbine)
6) 기타 과제
7)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유럽
(2) 미국
(3) 중국
(4) 일본
(5) 한국
2-3. 바이오매스
1) 개요
2) 세부 분야별 주요 개발 동향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5) 핵심 과학기술 과제
(1) 바이오 리파이너리
(2) 폐기물계 바이오매스 제로에미션
(3) CCU를 포함한 인공광합성
(4) 카본 리사이클 기술과 고농도 CO2 이용에 의한 바이오매스 증산 기술 확립
(5) 미세 조류 바이오연료 제조
6)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바이오매스 전반
(2) 미세 조류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