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이 책에서 언론의 자유와 인격권 보호라는 헌법적 가치의 균형을 잃지 않으면서 언론 현안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미디어 관련 뉴스 속에 숨은 정치적, 사회적 의도를 해독하는 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빠른 전파와 각인 효과를 주는 언론의 속성 탓에 법원보다는 신속한 조정이 피해구제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에서는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가짜뉴스, 전략적 봉쇄 소송, 징벌적 손해배상, 과도한 손해배상청구 등 언론자유의 폭을 넓히면서도 인격권 보호의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는 여러 정책들을 다각적이며 깊이 있는 시각으로 제안한다. 언론정책, 언론법제에 관심 있는 시민, 학자, 입법부, 정부 관계자들이 주목해야 할 정책 제안들이다.
“Part 01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가짜뉴스와 언론중재”에서는 정치적인 목적이 혼입되면서 그 해결이 더 요원해지는 가짜뉴스의 현실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해법으로, 열람차단청구권, 시사 유튜브 채널의 언론조정대상 편입 방안 등을 제시한다. 이 밖에 가짜뉴스를 바로잡는 정정보도가 실려도 현행으로는 이에 대한 주목도가 희석되기에, 이를 해결할 방법과 함께 잘못된 행정처분 보도 시 구제방안, 시정권고의 맹점, 그리고 선거보도 관련성 공직선거법 규정의 허실을 논한다.
“Part 02 언론조정신청에 담긴 함의”에서는 언론조정신청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함의를 다루면서 언론조정결과의 양면성과 이를 이해하기 위한 통계 읽기와 관련된 전문적인 내용이 실려 있다. 그 밖에 언론중제위원회의 독립성을 위해 운영재원을 분리할 것에 대한 의견도 담는다.
“Part 03 언론보도로 인한 손해배상, 현실과 과제”에서는 실제 조정 과정 중이거나 이것이 성립된 경우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과도한 손해배상청구의 개선방안, 지나치게 적은 손해배상액의 원인, 언론 겁박의 도구로 이용되는 전략적 봉쇄 소송의 해결 방안 등을 다룬다.